본문내용
1. 서론
1.1. 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는 자연적인 현상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문화는 인간의 도와 가치관, 생각, 사회적 관습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좁게는 예술과 관련된 활동들을 의미한다. 문화인류학자이자 사회학자인 클리프 기어츠는 문화를 "삶에 대한 인간들의 지식과 태도를 소통하고 지속시키고 발전시키는 상징적 형식으로 표현되어 전달된 개념의 체계"라고 정의하였다. 즉, 문화는 일상적인 실천과 요소들이 서로 소통하고 영향을 주어 만들어지는 인간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문화는 후천적으로 습득되는 것으로, 한 사회의 구성원들 간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정보의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기존 문화에서 다음 세대로 이어짐으로써 생성된 문화는 소멸되지 않고 축적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게 된다. 이처럼 문화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은 상호유기적 연관성을 맺고 통합된 형태로 발현되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즉, 문화는 사회의 재생산화 기능을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요소들로 인해 재생산화된 문화적 요소들은 하나의 사회를 구성하고 변화, 발전하는 데 주요한 구성요소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1.2. 문화의 자연화 현상 개념
문화는 자연적인 현상이 아니지만 어떤 특정 지역이나 집단을 대표하는 상징성을 띠게 됨으로써 마치 자연발생적인 것처럼 표상되는데, 이를 문화의 자연화 현상이라고 한다. 즉, 문화는 일상적인 실천과 요소들이 서로 소통하고 영향을 주어 만들어지는 인간의 산물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정 문화가 그 지역이나 집단을 대표하는 것처럼 여겨지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문화가 단순히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발전해온 것처럼 보이게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자연화 현상을 통해 문화는 그 지역이나 집단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2. 문화의 자연화 사례
2.1. 배달 및 온라인 쇼핑 문화의 자연화
코로나19 이후 배달 및 온라인 쇼핑 문화가 급격히 확산되며 일상화되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와 외출 자제가 강조되면서 음식 배달 및 온라인 쇼핑이 일상화되는 문화의 자연화 현상이 나타났다.
우선 음식 배달 문화의 경우,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대면 배달 서비스가 속속 도입되었다. 요기요, 배달의민족 등 대형 배달 앱에서는 문 앞 배달, 앱 내 간편 결제 등의 비대면 배달 서비스를 강조하며 이를 일반화했다. 배달원이 직접 고객과 접촉하지 않고 음식을 문 앞에 두는 방식으로 배달되면서 안전한 배달 문화가 자리 잡게 되었다.
또한 온라인 쇼핑 문화도 확산되었는데, 외출이 제한되고 대면 접촉을 기피하면서 생필품부터 취미용품, 운동기구 등 다양한 제품을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행태가 보편화되었다. 한 홈트레이닝 업체의 경우 신규 회원 가입자 수가 전년 동기 대비 300% 늘었으며,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덤벨 판매량이 65% 증가하는 등 언택트 생활 문화가 자리 잡았다. 이처럼 코로나19로 배달 및 온라인 쇼핑 문화가 일상화되면서 새로운 소비 행태와 생활양식이 자연스럽게 자리 잡게 되었다.
2.2. 코로나19로 인한 '온택트' 시대의 자연화
코로나19로 인한 '온택트' 시대의 자연화는 사회 전반적인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라는 바이러스의 공포가 전 인류를 위협하면서 이로 인한 우리의 삶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한 보고서가 나왔다. 이노션 월드와이드의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