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배터리 수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 배터리 산업의 현황과 과제
1.1. 한국 배터리 수출 증가의 이면
1.1.1. 양극재 핵심 원료의 중국 의존도 증가
1.1.2. 원료 수입 국가 다변화 필요성
1.2. 전기차 배터리 수요 급증과 수출 증가
1.2.1. 전기차 배터리 수출액 역대 최고 기록
1.2.2.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의 협력 강화
1.3. 차세대 배터리 개발을 위한 정부-기업 협력
1.3.1. 정부의 차세대 배터리 개발 지원
1.3.2. 보급형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의 중요성
1.3.3. 국내 배터리 기업의 대규모 R&D 투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 배터리 산업의 현황과 과제
1.1. 한국 배터리 수출 증가의 이면
1.1.1. 양극재 핵심 원료의 중국 의존도 증가
양극재 핵심 원료의 중국 의존도가 증가하고 있다. 리튬과 전구체의 대부분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리튬 무역적자의 약 60%가 중국으로부터 발생하고 있으며, 전구체의 경우 100%가 중국으로부터 수입되고 있다. 한국의 양극재 수출량이 증가할수록 중국에 대한 핵심 원료 수입량도 늘어나게 된다. 이는 한국의 배터리 수출 증가가 오히려 중국에게 이익이 되는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1.1.2. 원료 수입 국가 다변화 필요성
한국 배터리 산업의 수출량 증가로 중국이 혜택을 받는 것은 양극재의 핵심 원료를 중국에서 대부분 수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극재 핵심 원료의 수입 국가를 다변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의 배터리 수출량이 늘어날수록 중국으로부터의 원자재 수입량이 증가하게 된다. 리튬 무역적자의 60% 정도가 중국에서 나오고 있으며, 전구체의 경우 적자의 100%가 중국으로부터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의 배터리 수출 증가가 중국에게 이익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극재 핵심 원료의 수입 국가를 다변화해야 한다. 현재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므로, 리튬과 전구체 등의 원료를 호주, 칠레, 아르헨티나 등 다른 국가에서도 안정적으로 수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원자재 수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원료 수입 국가 다변화 전략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 등 보호무역주의 정책으로 인한 리스크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 기업에 대한 제재가...
참고 자료
韓 배터리소재 수출액 88%, 고스란히 中으로"
박정일 저, 디지털타임즈, 2023
작년 전기차 배터리 수출액 26억달러
김지웅 저, 전자신문, 2023
韓은 언제 금리 낮추나…전기·가스비 ‘고공행진 물가’ 관건
이용우 저, 이코노미스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