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초음파 유방 진단검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유방의 구조와 기능
1.1. 유방의 위치와 구성
1.2. 유방의 선 조직과 기능
1.3. 유방의 혈액 공급과 배출
2. 유방암의 진단
2.1. 유방암 환자의 발생 연령
2.2. 유방암 환자의 발병 원인
2.3. 유방암의 증상
3. 유방암의 진단검사
3.1. 유방암의 영상학적 진단법
3.1.1. 유방촬영술
3.1.2. 유방초음파검사
3.1.3. 유방 자기공명영상
3.1.4. 기타 영상 진단법
3.2. 유방 검사의 조직검사 방법
3.2.1. 흡인 생검
3.2.2. 절침 생검
3.2.3. 절제 생검
3.2.4. 절개 생검
3.2.5. 피부 생검
4. 유방암의 예방과 조기 발견
4.1. 건강한 여성의 검진
4.2. 유방암 고위험 여성의 관리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유방의 구조와 기능
1.1. 유방의 위치와 구성
여성의 유방은 치부로 덮인 선 조직으로 제 2~6 늑골 사이에 위치하며 흉골 외측면에서 액와 중앙선 사이에 대칭으로 놓여있다. 보통 유방의 크기는 직경이 10~12cm이고, 두께는 5~7cm이며 각각의 무게는 150~200g 정도이다. 유방은 복잡한 선 조직, 유관, 지방조직, 림프관, 혈관, 근막, 결체조직 등으로 망상조직을 이루며 대흉근과 전거근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방의 중앙 표면에는 유륜과 유두가 돌출되어 있다.
1.2. 유방의 선 조직과 기능
유방의 선 조직은 유방의 핵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유방의 선 조직은 여러 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엽은 다시 수많은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방의 선 조직은 유즙을 생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유즙은 유관을 통해 유두로 배출된다. 유방의 선 조직은 주변의 지방조직과 섬유성 결합조직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유방의 선 조직은 월경 주기와 임신, 출산 등 여성의 생리적 변화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화한다. 월경 전에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증가로 유방의 선 조직이 증식하고 부피가 증가한다. 반면, 월경 후에는 이러한 호르몬 수치가 감소하면서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다. 임신과 출산 후에는 유방의 선 조직이 더욱 확장되고 발달하여 수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폐경기에는 에스트로겐 수치 감소로 인해 유방의 선 조직이 점차 축소되고 지방조직으로 대체된다.
이처럼 유방의 선 조직은 여성의 생리적 변화에 따라 그 구조와 기능이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선 조직의 변화는 유방암 발생의 위험 요인이 되기도 한다.
1.3. 유방의 혈액 공급과 배출
유방의 혈액 공급과 배출은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유방은 내유선동맥과 흉부동맥의 측면 가지에서 혈액을 공급받는다. 내유선동맥은 제2~6늑간동맥에서 나오는 가지이고, 흉부동맥은 제1~6늑간동맥에서 나오는 가지이다. 이러한 혈관들이 유방의 여러 부분에 분포되어 있어 유방 전체에 걸쳐 혈액을 공급한다.
유방에 분포된 정맥은 유두정맥, 표재성 정맥, 심부 정맥 등이 있다. 이들 정맥은 유방에서 폐, 골반, 척추, 머리 등 다양한 방향으로 혈액을 배출시키는 통로가 된다. 유두정맥은 유두에서 시작되어 유두동맥을 따라 주행하며, 표재성 정맥은 유방 표면의 얕은 층을 따라 주행한다. 심부 정맥은 유방 내부의 깊은 층을 따라 주행하며 늑간 정맥과 연결된다.
이처럼 유방에는 복잡한 혈관 분포를 가지고 있어 유방 내외로 다양한 방향으로 혈액이 순환되며, 이를 통해 유방조직에 충분한 혈액과 영양분이 공급되고 대사 노폐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이러한 혈액 순환은 유방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와 발달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2. 유방암의 진단
2.1. 유방암 환자의 발생 연령
우리나라 여성의 유방암 발생 연령은 40대가 가장 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30대, 50대 순으로 유방암이 호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의 유방암 환자들의 연령 분포가 젊은 층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40대에서 가장 많은 유방암 발생은 우리나라 여성의 유방암 발생 특성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특징이다. 젊...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2014, 조경숙 외, 현문사
이경식, 『유방암의 진단과 치료의 실제』, 의학문화사. 2002
p19-21, 25, 28, 40, 53-54
한국유방암학회, 『유방학』, 일조각, 2005
p84-85, 90, 92, 118, 121-124, 129-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