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농양 pcd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례연구 주제 및 목적
1.2. 간농양의 중요성
2. 간농양의 이해
2.1. 정의
2.2. 병태생리와 원인
2.3. 증상 및 징후
2.4. 진단 검사
2.5. 치료 및 간호
3. 간호사례 보고
3.1. 대상자 개인정보
3.2. 건강 사정
3.3. 진단적 검사 소견
3.4. 치료계획 및 경과
3.5. 간호과정
4. 간호중재 및 평가
4.1. 급성통증 관리
4.2. 감염 예방
4.3. 혈당 조절
5. 결론 및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례연구 주제 및 목적
사례연구 주제 및 목적은 간농양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현실에서 간농양은 초기 증상이 발열, 오한 등 감기와 유사하여 진단이 어려운 질환이다. 또한 간이 장기적으로 손상되면 재발하기 쉽고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치료와 예방, 간호가 중요하다. 따라서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간농양의 병태생리와 원인, 증상 및 징후, 진단 검사, 치료 및 간호 등을 이해하고, 실제 사례에서 관찰된 내용을 바탕으로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1.2. 간농양의 중요성
간농양(liver abscess)은 중요한 간질환 중 하나로, 간에 미생물의 침범으로 조직이 파괴되어 형성된 국소적인 농양이다. 간은 주요 대사기관이며 면역 기능이 강하지만, 면역기능이 저하되거나 간의 구조가 변화하면 세균이 침범하여 간농양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간농양은 초기 증상이 발열, 오한, 복통 등으로 간농양으로 알아차리기 어려운 질환이다. 그러나 간이 한 번 손상되면 재발하기 쉽고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와 예방, 간호가 매우 중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간농양의 대부분은 화농성 간농양으로, 가장 큰 원인은 간에서 생성된 담즙이 배출되는 담관을 세균이 역행하여 침범하는 경우이다. 또한 당뇨, 만성신질환, 간경변 등의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간농양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간농양은 초기 증상이 비특이적이어서 진단이 어렵고, 합병증으로 복강이나 흉강으로 파열되어 복막염, 늑막염 등으로 진행될 수 있다. 중증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간의 주요 질환 중 하나인 간농양에 대해 관심을 갖고, 환자의 치료 과정에서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여 질환의 악화와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2. 간농양의 이해
2.1. 정의
간농양(Liver abscess)이란 간에 미생물의 침범으로 인해 조직이 파괴되어 형성된 공동에 고름이 차있는 상태를 말한다. 정상인의 간에서는 미생물이 살지 못하지만, 당뇨병 등 기저질환으로 인해 면역기능이 저하되었거나 담도의 악성 종양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가 변화된 경우, 혹은 드물게 정상인에서도 세균이 간에 침범하여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감염으로 인해 정상 간세포와 간 조직이 파괴되고 그 자리에 고름이 고이게 되면 간농양이 형성된다."
2.2. 병태생리와 원인
간농양의 병태생리와 원인은 다음과 같다.
간농양은 감염을 일으키는 원인 미생물이 세균이냐, '아메바'라는 기생충이냐에 따라 나뉜다. 세균에 의한 간농양은 '화농성 간농양'이라고 부르고, 아메바에 의한 간농양은 '아메바성 간농양'이라고 부른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간농양은 대부분 화농성 간농양이다.
화농성 간농양은 간에 들어온 세균을 면역 세포들이 초기에 제거하는데 실패한 경우에 발생하게 되며, 이렇게 면역 기능이 저하된 경우가 간농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현재 화농성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은 간에서 생산된 담즙이 배설되는 경로인 담관을 세균이 역행하여 침범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 부위에 담석증, 간내 결석증, 담도 악성 종양 등 담도계 질환이 발생하거나 간이식 수술 등 이 부분의 구조가 바뀌는 수술을 하는 경우, 정상적으로 세균의 침입을 막던 구조가 손상되어 세균이 침범하고 화농성 간농양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이 부위의 구조적 변화 없이도 당뇨병, 만성 콩팥병(만성 신질환), 간경변증과 같은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면역 기능이 저하되어 세균의 침입을 막지 못하고 화농성 간농양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아메바성 간농양은 이질 아메바(Entamoeba histolytica)라는 기생충에 의해서 발생한다. 이질 아메바에 이미 감염된 환자의 대변으로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먹으면 감염된다. 이 기생충이 장염 다음으로 흔하게 일으키는 감염이 간농양으로, 장에서 혈액의 흐름을 따라 간까지 침범하여 감염을 일으키고 고름집을 형성하는 것이다.
2.3. 증상 및 징후
화농성 간농양의 주요...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상) / 황옥남, 유약숙, 조경숙 외 2명 저 / 현문사
성인간호학(하) / 황옥남, 유약숙, 조경숙 외 2명 저 / 현문사
간호학대사전 / 대한간호학회 / 한국사전연구사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간농양”, “PCD(경피적 카테터 배액술)”
약학정보원 (www.health.kr)
성인간호학 상권 제 6판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황옥남 외 [현문사]
성인간호학 하권 제 6판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황옥남 외 [현문사]
기본간호학 1권 수정판 양선희, 원종순 외 8명 [현문사]
기본간호학 2권 수정판 양선희, 원종순 외 8명 [현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원종순, 김남초 외 [현문사]
네이버 건강백과 terms.naver.com/entry 의약사전
킴스온라인 www.kimsonline.co.kr 의약품 정보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질병정보 www.snubh.org/service/disease/list.do
국민건강정보포털 health.mw.go.kr
유양숙 외, 현문사 성인간호학 상, pp. 464~465
성미혜 외. 2020.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정문각. p.199~301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p.583~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