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실존치료에 대한 정리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상세정보

소개글

"실존치료에 대한 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존주의 심리치료
1.1.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역사적 배경
1.2.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이론적 특징
1.3.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대표적 학자들
1.4.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상담 목표와 과정
1.5.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치료 기법
1.6. 실존주의 미술치료
1.7. 실존주의 심리치료 사례

2. 상담이론과 실제
2.1. 상담이론의 분류와 특성
2.2. 성 정체성 혼란에 대한 상담
2.3. 인본주의/실존주의 상담이론의 적용
2.4. 실존주의 상담의 장단점 분석

3. 인간중심적(비지시적) 상담기술
3.1. 지도상담의 특성
3.2. 인간중심 상담의 역사와 발전
3.3. 인간중심 상담의 핵심 원리
3.4. 인간중심 상담의 목표와 과정
3.5. 인간중심 상담의 기술과 기법
3.6. 인간중심 상담의 장단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존주의 심리치료
1.1.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역사적 배경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역사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해 유럽에서는 근대화의 위기와 비참한 전쟁의 경험으로 인한 현실생활의 혼란과 파탄, 이에 따른 사회적 불안과 생의 위협에 직면한 새로운 문제에 대한 답을 해 줄 수가 없게 되었다. 여기에서 생의 긍정보다도 부정의 입장을 취하면서 초월성을 추구하는 '실존' 의식이 대두됨으로써 현대사상에 반항하는 조류가 확산되었다. 포이에르바하(L.Feuerbach), 니이체(F. Nietzsche), 마르크스(K. Marx), 프로이트(S. Freud), 사르뜨르, 키에르케고르(S. Kierkegaard) 등은 모두가 기독교의 비판과 허무주의를 신봉하고 인간 실존의 소외의식을 깨달았던 실존주의자들로서, 이들은 실존주의 바람을 불러일으킨 대표적 지식인들이다. 실존주의 철학은 이성중심의 합리주의에 대한 반발이며, 근대과학문명에 대한 반발에서 태동하였다. 실존주의가 20세기 후반의 서구를 대표하는 철학사조로 성장하게 된 데는 1차 및 2차 세계대전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에 걸친 세계대전이 몰고 온 신과 인간과 문명에 대한 절망과 고뇌가 실존주의를 20세기 후반의 대표적 철학사조로 발전되게 하였다.


1.2.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이론적 특징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이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실존주의 심리치료는 인간의 실존에 대한 깊은 관심과 통찰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접근법은 인간을 인위적인 틀에 가두지 않고 개인의 주관적 경험과 의미 추구에 초점을 맞춘다. 실존주의 심리치료는 인간의 자유와 책임, 불안과 절망, 고독과 소외와 같은 실존적 주제에 깊이 천착한다.

실존주의 심리치료는 인간 본질에 대한 전통적 관점을 거부한다. 대신 실존주의자들은 인간이 자유로운 선택을 통해 자신의 본질을 스스로 구축해나간다고 본다. 따라서 이 접근법에서 인간은 결정론적 존재가 아니라 자아실현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능동적 존재이다.

또한 실존주의 심리치료는 개인의 주관적 경험과 개인이 세계를 해석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이들은 객관적 진실보다는 개인이 지각하고 경험하는 주관적 진실에 관심을 기울인다. 따라서 실존주의 심리치료에서는 내담자의 독특한 경험과 관점을 존중하고 공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존주의 심리치료에서 상담자의 역할은 내담자가 자신의 실존적 상황을 주체적으로 직면하고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진솔한 관계 속에서 내담자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이해하는 태도를 보여줌으로써 내담자의 성장을 촉진한다.

결국 실존주의 심리치료는 인간 실존의 근본적인 문제에 천착하면서도 개인의 자유와 책임, 주관적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독특한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1.3.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대표적 학자들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대표적 학자들은 다음과 같다.

빅토르 에밀 프랑클(Viktor Emil Frankl, 1905~1997)은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난 유태인으로 2차 세계대전 때 유태인 강제수용소인 아우슈비츠에 갇혔다가 살아남았다. 프로이트의 제자였으며, 정신분석 지향적 정신의학에서 경력을 쌓기 시작한 오스트리아 빈 의과대학의 신경정신과 교수와 정신과 의사였다. 그의 저서 『의미의 탐색(man's search for meaning)』에서 나치 수용소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 최고의 목표는 사랑이며 이를 통해 구원받을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프랑클은 프로이트와 아들러의 영향을 받았지만, 자신만의 실존주의 철학과 심리치료인 '의미치료(Logotherapy)'를 고안하였다."

롤로 메이(Rollo May, 1909~1994)는 오하이오 주 에이다에서 태어났으며,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정신치료 분야로 교육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에서 실존적 접근의 가장 중요한 인물로, 유럽의 실존주의를 미국의 심리치료의 이론이나 실제의 주류로 전환하는데 가장 많은 공헌을 한 심리학자이다. 그는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직면하는 불안과 고독에 관심을 가진 실존주의적 상담사로, 인간의 존재(Being)는 '되어가는'(becoming) 과정을 함축하고 있으며 인간의 존재는 다른 생물과 달리 자기에 대하여 자각을 하는 특별한 존재라고 주장하였다.

어빈 얄롬(Irvin David Yalom, 1931~)은 1931년 워싱턴 DC에 있는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스탠포드 대학에서 1963년에 정신과 교수로 선정되었다. 그는 실존치료의 핵심을 '실존적인 정신 역동'이라고 강조하였는데, 인간의 갈등을 죽음, 자유, 소외와 무의미에 대한 갈등으로 규정하면서, 이런 갈등이 개인의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실존적인 역동성의 갈등이기에 도피가 아니라 직면을 통하여 변화를 꾀하고 잠재력의 통합적 실현을 통하여 실존의 더 높은 수준으로 승화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1.4.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상담 목표와 과정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상담 목표와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목표는 내담자가 자신의 실존을 있는 그대로 경험하도록 돕는 것이다.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잠재력을 근거로 하여 행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상담의 중요한 목표이다. 상담자의 주요 과제는 내담자의 주관적인 경험 세계를 있는 그대로 보고 이해하는 것이다.

실존주의 상담은 내담자가 자유인으로서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선택할 수 있는 조건이 자신에게 주어져 있음을 각성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자유는 책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이 접근은 내담자에게 자기 각성을 확대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실존주의 상담은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실존을 있는 그대로 경험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내담자의 잠재력들을 근거로 하여 행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담자의 주요 과제는 내담자의 주관적인 경험 세계를 있는 그대로 보고 이해하는 것이다.

실존주의 상담 과정에서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신뢰관계 형성, 내담자의 자기인식 촉진, 내담자의 성 정체성 탐색, 내담자의 자기수용 증진 등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성 정체성을 안전하고 지지적인 환경에서 탐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내담자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격려한다.

결과적으로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상담 목표와 과정은 내담자가 자신의 실존을 있는 그대로 경험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며, 이를 통해 내담자가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긍정적인 자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5.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치료 기법

실존주의 접근은 특정한 한두 명의 창시자에 의해 생겨난 단일한 체계적인 이론이 아니라 심리학, 정신의학, 철학, ...


참고 자료

고미숙, 2013, “사회복지사의 소진 극복을 위한 실존주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대동, 2005, “ 실존주의 상담에서의 죽음의 의미와 상담교육적 기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정희 역, 2004, 『현대 심리치료』, Corsini, R. J., and Wedding, D., 2000, Current psychotherapies, 서울: 학지사.
김춘경·이수연·최웅용·홍종관 역, 2008,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해』, Stephen Palmer, 2000, 서울: 학지사.
김형란, 2013, “상담학개론 교재에 나타난 상담이론 내용분석”,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두은미, 2011, “교류분석 상담과 실존주의 상담의 이론 비교”. 『교류분석연구』, 2(2), 71-85.
박찬국, 2001, 『에리히 프롬과의 대화』, 서울: 철학과현실사.
백상창 역, 2010, 『자아를 잃어버린 현대인』, Rollo May, 2009, Man's search for himself, 서울: 문예출판사.
심성보, 2008, “실존주의적 상담기법을 통한 인성교육”, 『초등도덕교육』, 26, 61-93.
심양섭, 2011, “빈센트 반 고흐 미술의 기독교적 의미”. 『신앙과학문』, 16(3), 47-172.
양명숙·김동일·김명권·김성희·김춘경·김형태·문일경·박경애·박성희·박재황·박종수·이영이·전지경·제석봉·천성문·한재희·홍종관, 2013, 『상담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오제은, 2009, “상담일반”, 『상담학연구』, 10(3), 1305-1325.
오제은 역, 2007, 『칼 로저스의 사람-중심 상담』, Carl Rogers, 1995, (A)way of being, 서울: 학지사.
이대순, 2010, “공황장애의 실존적 불안분석과 기독교 상담의 가능성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임경수 역, 2007, 『실존주의 심리치료』, Irvin D. Yalom, Existential psychotherapy, 서울: 학지사.
조현춘·조현재·문지혜·이근배·홍영근 역, 2013,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Gerald Corey, 2013,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
주리애, 2010, 『미술치료학』, 서울: 학지사.
천성문·김진숙·김창대·신성만·유형근·이동귀·이동훈·이영순·한기백, 2013,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개념 및 사례』, Richard S. Sharf, 2012, Theories of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 concepts and cases. 5th ed.,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
최현주, 2012, “타로의 상징을 이용한 실존주의 상담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현명호·유제민 역, 2011, 『상담 및 심리치료의 통합적 접근』, Gerald Corey and Robert Haynes, (The)art of integrative counseling,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
현정환, 2013, 『상담심리학 : 상담이론·실제·연습』, 파주: 양서원.
홍푸르메, 2013, “실존주의 심리학 관점에서 본 미술치료- 죽음과 불안을 중심으로 -”,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Marianne Corey and Gerald Corey, 2010, Becoming a Helper, CA: Brooks Cole.
조성자 외 2명(2021). 상담이론과 실제. 서울: 에듀컨텐츠휴피아.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