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의 마을 만들기 사업에 대하여 성공사례를 찾아보고 성공한 배경, 이론적 근거 등에 대하여 서술하여 봅니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지역의 마을 만들기 사업 이해
2.1. 마을 만들기 사업의 정의와 목적
2.2. 마을 만들기 사업의 주요 영역
3. 마을 만들기 사업의 성공사례 분석
3.1. 서울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
3.1.1. 장수마을의 문제점 및 배경
3.1.2. 장수마을의 성공요인
3.1.3. 장수마을의 이론적 근거
3.2. 경기도 파주시 문산 핫플레이스 사례
3.2.1. 문산읍의 배경 및 문제점
3.2.2. 문산 핫플레이스의 성공요인
3.2.3. 문산 핫플레이스의 이론적 근거
4. 마을 만들기 사업의 발전방향
4.1. 마을 만들기 사업의 목표와 방향성 설정
4.2. 마을 만들기 사업의 평가체계 마련
4.3. 마을 만들기 전문성 강화
4.4. 마을 만들기 사업의 홍보 및 확산
4.5. 마을 만들기 사업의 디지털 전환
4.6. 마을 만들기 사업의 지속 가능성 강화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지역의 마을 만들기 사업은 사회적 참여와 협력을 통해 지역 사회의 발전과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두는 사회복지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사업은 주거지, 교육, 보건, 문화 등 다양한 영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역 사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결속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역의 마을 만들기 사업은 지역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력을 중요시하며, 지역 리더십의 발전과 사회적 자본의 형성을 통해 지속 가능한 변화를 이끌어낸다. 본 레포트에서는 지역의 마을 만들기 사업에 대한 성공사례를 조사하고, 해당 사례의 배경과 이론적 근거를 분석하여 제시할 것이다.
2. 지역의 마을 만들기 사업 이해
2.1. 마을 만들기 사업의 정의와 목적
마을 만들기 사업은 특정 지역 사회의 발전과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적 참여와 협력을 촉진하는 사회복지 프로그램이다. 이 사업은 단순히 인프라 개발이나 경제적인 측면에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지역 사회의 삶의 질과 사회적 결속력을 강화하는 전체적인 접근을 추구한다. 주거지, 교육, 보건, 문화 등 다양한 영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역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소를 향상시키는데 주안점을 둔다. 이러한 사업은 특정 지역의 공동체 의식을 증진하고, 지역 주민들의 참여와 자발성을 이끌어내어 지역 사회의 개선을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2. 마을 만들기 사업의 주요 영역
마을 만들기 사업의 주요 영역은 다양하다. 첫째, 주거환경 개선이 핵심적인 사업 영역이다. 이는 지역 내 노후화된 주택의 정비와 공원, 녹지 공간 등 주거 인프라의 확충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주민들이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둘째, 교육과 문화 프로그램의 확대가 중요한 영역이다.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육 기회와 문화 활동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지역의 문화적 자산을 발굴하고 활용하며, 주민들의 문화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셋째,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사업 영역이다. 소상공인과 지역 기업에 대한 지원, 일자리 창출 프로그램 등을 통해 지역 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한다. 이는 주민들의 경제적 자립과 지역사회의 번영을 위한 중요한 전략이 된다.
넷째, 지역 공동체 활성화와 사회적 자본 형성이 중요한 사업 영역이다. 주민 참여와 협력을 통해 지역 사회의 결속력을 높이고, 주민들 간의 신뢰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는 지역 발전을 위한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환경 보전과 지속가능성 확보 또한 중요한 사업 영역이다. 지역의 자연 환경과 생태계를 보호하고, 환경 친화적인 개발을 추구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한다.
이와 같이 마을 만들기 사업은 주거, 교육, 문화, 경제, 공동체, 환경 등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의 발전과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것이다.
3. 마을 만들기 사업의 성공사례 분석
3.1. 서울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
3.1.1. 장수마을의 문제점 및 배경
서울 성북구 장수마을은 사적 10호인 서울 성곽 바로 밑에 위치한 달동네로, 1960년대부터 형성되어 현재 1,000여 세대가 거주하고 있다. 장수마을은 그동안 도시재개발로 인한 주택철거와 재개발 반대에 따른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어왔다. 또한, 고령화와 저출산 등으로 인한 공동체 붕괴, 주거환경 악화, 경제적 어려움 등이 주요 문제로 지적되었으며, 마을 공동체의 결속력이 약화되고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부족한 상황이었다. 이에 주민들은 주택 재개발로 인해 잃어버린 마을 공동체를 되살리고자 마을 만들기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3.1.2. 장수마을의 성공요인
장수마을의 성공요인은 주민 참여의 강화, 지역 자원의 활용, 정부의 지원 등으로 볼 수 있다.
첫째, 장수마을은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마을 만들기 사업을 추진하였다. 주민들은 마을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마을의 각종 행사와 사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마을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를 통해 주민들의 소유감과 참여도가 높아졌고, 지역 발전을 위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었다.
둘째, 장수마을은 지역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마을 만들기 사업을 추진하였다. 마을의 역사와 문화, 자연환경 등을 활용하여 주민들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높이고, 마을의 매력을 높였다. 또한, 지역의 기업과 단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마을의 경제적 자립을 도모하였다. 이는 마을의 특색을 살리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셋째, 정부의 지원은 장수마을 마을 만들기 사업의 성공에 큰 역할을 하였다. 정부는 마을의 주민 참여와 자발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지원을 제공하였고, 마을의 각종 사업에 필요한 재정과 인력을 지원하...
참고 자료
김현진, "마을 만들기 사업의 성공 요인과 발전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학회지, 2020, 제55권 제4호
페이지 337-362: 마을 만들기 사업의 성공요인 분석
이승진, "마을 만들기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정책적 함의",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22, 제40권 제2호
페이지 125-146: 마을 만들기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정책적 함의 제시
한국마을만들기중앙협의회, 「마을 만들기 성공 사례집」, 2021
페이지 10-11: 장수마을의 성공사례 분석
국토교통부, 「마을 만들기 사업 추진 지침」, 2022
페이지 02-03: 마을 만들기 사업의 목적과 목표, 추친 원칙에 대한 제시
이태희 외, 「지역사회복지론」, 공동체, 2023
류기형, 「지여사회복지에 있어서 주민참여의 확대방안」, 사회복지연구, 2004
신선화, 「마을만들기의 주민주체와 공동체 활동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김범수, 「지역사회복지론」, 학현사, 2011
김혜숙, 「일본의 주민주도형 마을만들기 성공조건 – 혁신주체의 역할」, 한국일본학회 115호, 2018
김선미, 「마을 공동체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마을 만들기 성공유형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2017
Reed, M. S., & Curzon, R. (2019). Community-led development: A review of the evidence. World Development, 122, 647-662.
문화체육관광부 (2015). 마을공동체 지원사업 운영 및 추진 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황태현 (2018). 마을만들기 사업의 성과에 관한 연구: 중소도시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