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천두술 케이스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상세정보

소개글

"천두술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문헌고찰
1.2. 수술실 사례연구

2. 수술과정
2.1. 절차 및 간호
2.2. 활력징후
2.3. 검사결과
2.4. 수술실 투여약물

3. 간호과정
3.1. 간호문제 및 우선순위 선정
3.2. 간호계획 및 수행기록

4. 수술명 및 정의
4.1. 천두술(Trephination)
4.2. 천두술의 적응증

5. 수술 기구 및 장비

6. 수술 전 간호

7. 수술 중 간호활동

8. 수술 후 간호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문헌고찰

천두술(Trephination)은 두개골을 천공하여 이루어지는 모든 수술을 일컫는 것으로, 뇌에 발생한 출혈 및 경색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주로 두개골에 burr hole을 만든 후에 이를 통해 출혈액이나 뇌척수액을 관을 통해 배출하는(EVD) 수술을 의미한다. 경막 밑에 고인 피를 제거하거나, 뇌실질에 출혈을 제거하고 뇌실 내에 출혈을 제거하기도 하며, 상승되는 뇌압을 줄이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천두술의 주된 적응증은 피를 밖으로 빼내는 경우로, 경막 밑에 피가 고인 경우, 뇌실질에 출혈이 있는 경우, 뇌실 내 출혈이 있는 경우 등이 있다. 또한 뇌압감지 장치를 넣을 때나 머리뼈를 들어내기 전 경막 등의 구조물이 손상받지 않도록 확인하기 위해서도 시행된다."


1.2. 수술실 사례연구

대상자 강OO는 61세 여성 환자로, 뇌출혈 진단으로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였다. 환자는 최근 계속 술만 마시고 술을 마신 후 돌아다니다 넘어져 머리를 다쳐왔으며 내원 당일 경련이 지속되어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진단명은 Lt' SDH(subdural hemorrhage) 경막하 출혈이었으며, 수술명은 Trephination 천두술(EVD)이었다. 환자는 전신마취 하에 수술이 진행되었다.

수술 전 간호 사정 결과, 환자의 의식수준은 drowsy 상태였고, 수술 전 준비사항들은 모두 확인되었다. 경막하 출혈의 정의와 원인, 증상, 진단검사 및 치료에 대해 문헌고찰이 이루어졌다.

수술 과정을 살펴보면, 마취 후 환자의 두부를 우측으로 60도 turning하였고, 좌측 두정골에 burr hole을 만들었다. dura mater가 노출되면 십자 절개를 하여 dark color의 SDH가 배출되었다. 그 후 EVD 카테터를 삽입하고 피하터널을 만든 뒤 배액을 확인하였다. 배액관을 거즈로 감싸고 고정한 후 봉합하여 수술을 마무리하였다.

수술 중 간호 활동으로는 수술 시작 시간 체크, 환자의 팔다리 고정, 수술부위 피부 소독, 무균술 준수, 수술 중 출혈 관리, 생리식염수 관류, 배액관 삽입 및 고정 등이 이루어졌다.

수술 후 간호로는 마취 회복 상태 관찰, 환자 모니터링, 다음 수술 환자 준비 등이 수행되었다.

종합적으로 이번 사례는 응급실을 통해 내원한 경막하 출혈 환자에 대한 천두술 수술 과정과 이에 따른 간호 활동을 잘 보여주고 있다. 수술 전부터 수술 중, 수술 후 간호까지 체계적인 간호 과정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2. 수술과정
2.1. 절차 및 간호

수술 절차 및 간호활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가 수술실에 들어오기 전 수술실을 깨끗이 청소하고 정리하며, 수술에 필요한 기계 및 장비를 점검하고 수술기구와 재료를 준비한다. 이후 환자가 수술실에 들어오면 환자를 맞이하고 이름과 수술 부위를 확인한다. 환자를 수술대로 옮기는 것을 돕고 낙상에 주의하도록 하며, 환자의 불편사항이나 궁금증, 요구사항을 알아보고 해결해준다. 그리고 Computer에 환자의 수술 시작을 입력하고 수술포를 펴준다.

수술 중에는 먼저 환자를 supine position으로 눕히고 전신마취를 시행한다. 마취 후 환자의 머리를 오른쪽으로 60도 회전시키고 팔다리를 고정하며, 왼쪽 종아리에 bovie plate를 부착한다. 이후 Betadine 용액으로 피부를 소독하고 드레이핑한 후 중방을 씌운다.

그 다음으로 왼쪽 측두부에 Mess #10으로 절개를 하고 bipolar와 suction을 이용하여 지혈한다. 노출된 골막은 bovie로 절개하고 parietal bone에 첫 번째 burr hole을 뚫는다. Curette #1로 hole을 정리하고 bone wax로 지혈한 후 dura를 십자가 모양으로 절개한다. 그러면 검은색의 혈종이 배출된다.

혈종이 배출되면 subdural space로 EVD 카테터를 삽입하고 피하터널을 만들어 카테터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10cc 주사기로 배액을 확인한 뒤 bag을 연결하고 생리식염수로 관류한다. 배액관은 4*4 거즈로 감싼 후 white silk #5로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근막, 피하조직, 피부 순으로 봉합한다.

수술 후에는 bovie plate 부착부위를 확인하고 환자의 신체적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또한 체온 보호를 위해 온포를 덮어주며, 수술실 이동 침대로 환자를 옮기는 것을 돕는다. 회복실에서는 Compu...


참고 자료

류세앙(2017), 성인간호학실습 Ⅳ 지침서
김금순 외(2014), 성인간호학Ⅰ,Ⅱ, 수문사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원종순 외 3명 /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2판 / 현문사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윤은자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기본간호학 Ⅱ, 수문사: 김종임외
의학 검색 엔진 www.kimsonline.co.kr 킴스온라인
약학정보원, 의약품 검색
네이버 지식백과, 약학용어사전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원종순, 김남초, 박수현, 송민선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제2판), 현문사
김정애 외 공저(2013). 「진단적 검사와 간호」. 수문사
의학검색엔진 KMLE / http://www.kmle.co.kr
드러그인포 / https://www.druginfo.co.kr
김종임 외, 『EBN 기본간호학 Ⅰ』, 수문사, 2018
김종임 외, 『EBN 기본간호학 Ⅱ』, 수문사, 2018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Ⅰ 9판개정』, 수문사, 2021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Ⅱ 9판개정』, 수문사, 2021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김금자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2
BIT Druginfo 홈페이지, 약학 정보 및 약물 사진
Lab tests online 홈페이지, 대한진단검사의학회
MSD 매뉴얼 일반인용 홈페이지
서울대학교병원 N 의학정보, “철결핍성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평생건강증진센터, “뇌졸중”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