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중문화와 대중문화 분석
1.1. 롤랑 바르트의 신화 개념
롤랑 바르트의 신화 개념은 대중문화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롤랑 바르트는 대중문화가 단순히 물건을 팔기 위한 것이 아니라 사회에 잠재되어 있는 이데올로기를 반영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일상생활 속의 모든 행위와 행동, 인과관계를 문화로 보며 이를 분석하고자 했다. 특히 당시 부르주아 사회에 팽배했던 특정 우상에 대한 신격화 현상을 "가짜 신화"로 규정하고 이를 폭로하고자 했다.
바르트에 따르면 대중문화는 사회의 고정관념과 편견을 담고 있는데, 이를 들춰보면 그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살펴볼 수 있다. 광고, 스포츠, 패션 등 일상적인 문화 현상들이 단순히 물건을 파는 것이 아니라 그 이면에 내재된 사회적 의미와 기호를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러한 문화적 신화가 해당 사회에 얼마나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했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는 복잡한 이해관계와 갈등이 내재되어 있어 이를 기호화하여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문화적 신화가 어떻게 포장되어 나타나는지, 그리고 그 속에 담긴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밝혀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바르트의 이론은 현재 광고, 사진, 영화, 영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분석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대중문화가 점점 더 확장되고 의미가 풍부해짐에 따라 바르트의 신화 개념은 대중문화를 이해하는 데 여전히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1.2. 대중문화 현상의 분석: 고정관념과 연예인의 영향
흔히들 살펴보면 유행했던 드라마, 영화를 잘 떠올려보도록 한다. 보통 가족들이 한 곳에 모여서 함께 저녁을 먹는다고 생각하면 앞치마를 두른 엄마가 열심히 칼질을 하며 여러가지 반찬과 국, 밥을 만들어내고, 딸이 숟가락을 놓는 등 상을 보는 것을 도와주고, tv나 신문을 보던 아빠, 그리고 남자 형제들은 밥먹으라는 엄마의 말에 그제서야 몸을 일으켜 식탁에 앉아 밥을 가만히 기다린다. 이와 같은 현상은 비단 드라마와 영화와 같은 밥을 먹는 장면에서만 그려지는 것이 아니다.
유아용품, 특히나 기저귀, 분유와 같은 포장지 겉면을 생각해보면 보통 아이을 안고있거나 들고 있는 것은 거의 엄마이다. 엄마와 아이가 환하게 웃고 있거나, 아이가 엄마를 바라보며 웃는 것이 포장지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특히나 아빠가 육아의 주체가 되어서 나오는 것은 아주 극히 일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를 다시 생각해보면 우리는 이 모든 것에 대해서 문제 삼지 않고 당연하게 받아들이거나 익숙하게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다시 생각해보면 이는 당연하지 않다. 모든 사람이 가정의 구성원으로서 모두 같이 가사노동을 짊어져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며, 또한 육아는 공동으로 하는 것이며 엄마의 의무가 아닌 엄마 아빠, 두 사람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