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활용 사례
1.1. 트위터 활용 마케팅 사례
1.1.1. 닛산 리프 전기자동차 홍보
닛산 리프 전기자동차 홍보는 트위터를 활용한 대표적인 마케팅 성공사례이다. 전기자동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회의적 시선은 유지비에 대한 걱정에서 기인하는데, 닛산은 이에 대한 통념을 깨기 위해 무료 택시 서비스를 운행하는 광고 전략을 펼쳤다. 이 광고에서 닛산은 전기자동차의 저렴한 유지비를 강점으로 내세우며, 이를 증명하듯이 유지비가 들지 않는 '무료 택시'를 시범 운행한다. 이처럼 기발한 아이디어의 광고 전략이 성공적일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트위터의 활용 때문이었다. 트위터의 해시태그(#)를 이용해 무료택시 이용을 요청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들은 손쉽게 무료택시를 이용할 수 있었다. 또한 이렇게 생성된 무료택시 이용 후기는 트위터의 특성상 빠르게 퍼져나가 바이럴 마케팅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 결과 별도의 마케팅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시민들의 전기자동차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보다 좋은 회사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었다. 실제로 이 캠페인을 통해 닛산은 32,000대라는 엄청난 판매량을 기록했다고 한다.
1.1.2. 트위터를 통한 실시간 미국 대선 토론 중계
트위터를 통한 실시간 미국 대선 토론 중계는 소셜미디어가 정치 분야에서 실제로 활용되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2016년 미국 대선 후보 토론회를 통해 트위터리안들은 토론 과정을 실시간으로 중계하고, 각 후보의 주장에 대해 즉시 자신의 의견을 게시하며 활발한 소통을 이어갔다.
트위터의 장점인 해시태그(#)와 리트윗 기능을 적극 활용한 이들은 토론회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신속하게 공유하고 의견을 교환할 수 있었다. 특히 트럼프 후보의 발언 중 "지구 온난화가 중국의 책략이라고 말한 적이 없다"는 주장에 대해 즉각 팩트 체크에 나섰으며, 트위터에 계속해서 남아있는 그의 과거 트윗을 통해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토론 현장의 생생한 실황 전달과 동시적 의견 표출, 그리고 정보의 즉각적인 교류는 트위터의 핵심 기능들이 발휘된 결과였다.
이처럼 트위터는 정치적 이슈에 대한 실시간 소통의 장이 되어, 대선 후보들의 정책과 공약에 대한 여론을 실시간으로 형성하고 확산시켰다. 실제로 이번 토론회 기간 동안 트위터에 게시된 내용들은 단순한 실시간 중계 수준을 넘어, 제안, 비평, 역동적인 토론 등의 양상을 보였다. 이에 IT 전문가들은 이번 대선을 "트위터 선거"라고 일컫기도 했다.
이처럼 트위터는 정치 분야에서 실시간 소통과 여론 형성의 주요 채널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짧은 글을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트위터의 장점은 정치인들과 유권자들 간의 소통을 활성화시켜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1.2. 페이스북 활용 마케팅 사례
1.2.1. 삼성 캐나다 지부의 소비자 상담 사례
삼성 캐나다 지부의 소비자 상담 사례는 페이스북을 활용한 성공적인 마케팅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많은 기업들이 소비자와의 소통을 목적으로 페이스북 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 페이스북은 접근성이 뛰어나 고객들이 쉽게 기업에 의견을 표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러한 특성 때문에 때로는 기업에 대한 장난스러운 요구나 부적절한 행동이 발생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