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살기좋은도시설계프로젝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주민참여형 도시재생 프로젝트 정책사례
1.1. 보스턴시 빅딕 프로그램
1.2. 보스턴 도시재생 프로젝트와 산업 클러스터의 조화
2. 포틀랜드시의 콤팩트시티 프로젝트
3. 일본 후쿠이현 사바에市의 안경산지 사례
4. 일본의 도야마시와 후쿠이시의 콤팩트시티 전략
5. 동대문 옥상낙원의 혁신과 동대문 오리지널 프로젝트
6. 건축의 사회적 역할
7. 건축과 과학/기술과 예술의 연계성
8. 지역 살리기 방안
8.1. 지역의 역사
8.2. 지역의 환경
9. 자연기반해법과 도시발전
10. 자연기반해법 관련 해외 사례
11. 자연기반해법 관련 국내 사례
12. 자연기반해법의 한계점과 향후 전망
1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주민참여형 도시재생 프로젝트 정책사례
1.1. 보스턴시 빅딕 프로그램
보스턴시의 위대한 굴착(Big Dig) 프로그램은 1970년대 시작된 환경 친화적 대중교통 수단정책의 전환과 더불어 흉물스러운 고가도로를 지하화하는 사업이었다. 1991년 첫 삽을 떴던 이 사업은 당초 1998년 완공을 목표로 했으나 2007년에야 완공되었고, 예상 공사비도 28억 달러에서 실제 146억 달러로 5배나 늘어났다.
이 사업을 통해 보스턴은 도심과 해변을 단절시키던 거대한 고가도로를 지하로 옮긴 뒤 지상부에 "그린웨이"라는 녹지공간과 공원을 조성할 수 있었다. 면적이 15에이커에 달하는 그린웨이에는 6개 공원과 3개 갤러리(화랑)이 자리 잡아 도심 곳곳에 열린 공간, 해안가, 역사적 건축물, 예술, 산업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시로 재탄생했다. 이로써 보스턴은 미국 주요 도시 중 걸어서 통근하는 비율이 가장 높아지는 등 살기 좋은 도시로 거듭났다.
보스턴시의 이 도심 재개발 사업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긴 기본원칙은 시민 모두의 동의를 얻어 진행한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공사 현황과 정보를 시민들과 수시로 공유했고, 그린웨이의 세부적 활용 방안도 시민들의 숙의와 의견 수렴을 거쳐 도출했다. 또한 "파급 효과 개선" 사업을 통해 사업지구에서 먼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도 간접적으로 혜택이 돌아가게 했다.
1.2. 보스턴 도시재생 프로젝트와 산업 클러스터의 조화
보스턴 도시재생 프로젝트와 산업 클러스터의 조화는 보스턴시의 도심 재개발 사업에서 중요하게 다뤄졌다. 보스턴시는 2010년 새로운 시도에 나서 조선업의 쇠망으로 버려진 남부 해안가의 땅 122만 평에 연구중심 대학과 기업 인재를 연결하는 공간을 확보하고자 했다. 하버드대학교, 보스턴대학교, MIT 등 세계 최고 수준 대학의 인재들과 그들의 아이디어, 기술을 사업화하려는 벤처기업에 기회의 땅이 제공된 것이다. MIT 출신의 교통계획가 살브치 F.Salvucci는 기존 주거지의 철거를 최소화하고 시민의 일상생활과 비즈니스 활동에 지장 없도록 공사를 진행하며, 이해당사자들의 최종합의가 도출되도록 유연한 계획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150억 달러에 해당하는 천문학적인 공사비 조달과 기술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다. 보스턴의 첨단 창조기술 분야 연평균 고용증가율은 마이너스 2.1퍼센트에서 9퍼센트로 증가했고, MIT 바로 옆의 케임브리지 캔들 스퀘어에는 바이오의료 벤처 기업들이 산업 집적(cluster)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매사추세츠 주에서는 제약 바이오 분야 투자액이 48억 달러에 달하고, 일자리도 4,300개가 새로 생겨났다. 보스턴시가 바이오의료산업의 메카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인재, 자본, 플랫폼의 삼요소를 완비했기 때문이다. 도시재생 프로젝트와 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조화롭게 이뤄낸 보스턴시의 성공 사례는 도시의 쇠락을 극복하고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있어 주민참여와 상호협력이 핵심적 요소임을 보여준다"."
2. 포틀랜드시의 콤팩트시티 프로젝트
오리건 주 포틀랜드시의 콤팩트시티 프로젝트는 지속 가능한 생활을 위한 도시개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포틀랜드는 작은 규모의 도시이지만 작은 도시를 유지하려는 정책을 추진해왔다는 점이 특징이다. 도시의 규모를 유지하면서도 정비된 교통 인프라와 환경 친화적인 건물, 걷기 편한 도로로 사람들을 끌어들여 다운타운의 매력을 높였다.
역사적인 도시경관 보전을 위해 도시설계 지침을 적용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건축물의 색채, 형태, 용도 등을 규정하고 있다. 특히 맥주 공장 구역의 재생 과정은 이러한 지침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또한 도시 성장경계선을 설정하여 경계 내에서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규제를 40년 이상 지속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고밀도의 압축형 도시가 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저밀도 교외 지역에 필요한 기반시설 설치 및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1979년부터 포틀랜드는 개별도시가 아닌 대도시권 계획기구를 조직하고 토지이용, 교통, 자원 관리 등을 주변 도시와 연합하여 상호 협력해왔다. 이는 매우 드문 일이지만 도시 확장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노력으로 포틀랜드는 인구와 지역 총생산이 크게 증가했지만 탄소 배출량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자동차 중심 도시 구조를 지속적으로 조정하여 건강하고 연결된 도시 구조를 만들어갈 계획이다. 포틀랜드시가 겪은 도전과 노력은 다른 도시들에게도 귀중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3. 일본 후쿠이현 사바에市의 안경산지 사례
일본 후쿠이현의 사바에市는 20세기 초부터 안경 산지로 유명했다. 그러나 1990년대 중국이 세계의 하청공장으로 대두하면서 사바에市 안경 업체 수가 40% 이상 급감하고 매출도 반토막 났다.
사바에市에서는 안경 산업의 부활을 위해 청년 기업가들과 연계하고자 했다. 외지에 진출한 청년 디자이너들을 마을 전체가 나서서 귀향하게 만들었다. 젊은이들은 새로운 트렌드에 맞는 안경을 만들어냈다. 티타늄과 신소재를 사용한 안경테부터 웨어러블 기기와 결합한 안경, 액세서리 안경 등을 개발했다. 그 결과 사바에의 안경은 유럽 시장에서 열리는 전시회와 박람회에 초청받아 명품 안경으로 자리매김했다.
현재 일본 전체 안경 생산의 96%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 세계 안경시장에서 20%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 이처...
참고 자료
미국 보스턴 인재-자본-플랫폼 삼박자 갖춘 세계 최대 바이오 클러스터, <주간동아>, 2019년 12월 27일
후지요시 마사하루, 이토록 멋진 마을, 김범수 옮김, 황소자리, 2016.
지방소멸 일자리에서 답을 찾다 -6. 일본 사바에시, <강원도민일보>, 2018년 9월 4일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소멸 직면한 지방도시의 해법, <한국경제>, 2020년 6월 6일
보스턴시의 위대한 굴착(Big Dig), 권원용 서울시립대 도시행정학과 교수, 도시칼럼 2004.2월호
원탁: 장미의 도시 포틀랜드, 민벙언, 해양한국, 1997.7.
중심부 고밀도 개발…꿈의 도시 변신, 매일경제, 2015.5.30. 글로벌 도시전쟁 ⑧ 콤팩트 도시, 도시계획의 새로운 교과서 美포틀랜드
[서평] 포틀랜드, 내 삶을 바꾸는 도시혁명, 국회도서관 금주의 서평, 포틀랜드는 어떻게 살고 싶은 도시가 되었는가?, 2018-03-28
2023 청주시립미술관 현대미술전, 김소원기자, 한국건축 온라인포털, https://www.c3korea.net/cheongju-museum-of-art-architecture-becomes-art/, 2023.08
자카르타의 건축과 도시공간 : 에릭 크리스탄토와의 인터뷰, 한국국제교류재단, https://www.kf.or.kr/achNewsletter/mgzinSubViewPage.do?mgzinSubSn=15588&langTy=KOR, 2021.08
철거되는 국내 최고령 충정아파트 가치, 이렇게 보존한다. 정봉오기자, 동아닷컴, 2023.06
녹색도시의 이해, 이재준(협성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도시재생종합정보체계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의 사업추진전략 특성에 관한 연구 : 부산시 내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제창휘, 우신구, 한국도시재생학회, 2023, vol.9, no.1, 통권 20호 pp. 32-57 (26 pages)
도시지역에서의 자연기반해법의 적용, 김오윤, 나무신문, 2023.01.20.
자연기반해법을 적용한 그린인프라 시설의 극한기후 영향 사례분석, MIGUEL ENRICO L. ROBLES /M. E. L. Robles, 한국습지학회, 2023, vol.25, no.4, pp. 353-365 (13 pages)
자연기반해법 관점에서 본 도시 여가산업으로서 국내 승마관광의 현황과 의의, 김지나, 한국도시지리학회, 2023, vol.26, no.2, 통권 69호 pp. 73-94 (22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