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총담관 결석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총담관결석증의 정의
1.2. 담낭과 담관의 구조 및 기능
1.3. 총담관결석증의 원인
1.4. 총담관결석증의 위험 요인
2. 증상 및 진단
2.1. 총담관결석증의 증상
2.2. 진단검사
2.2.1. 혈액검사
2.2.2. 영상검사
3. 치료
3.1. 내과적 치료
3.2. 시술 및 수술적 치료
3.2.1. 경피경관 담즙 배액술
3.2.2. 내시경적 치료
3.2.3. 기계적 쇄석술
4. 간호
4.1. 수술 전 간호
4.2. 수술 후 간호
4.3. 합병증 예방 간호
5. 예방 및 식이요법
5.1. 예방적 식이요법
5.2. 급성기 식이요법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총담관결석증의 정의
총담관은 간에서 만든 담즙이 나가는 간내담관과 담낭에서 이어지는 담낭관이 합류하여 만나는 곳에서 십이지장 내로 연결이 되는 곳이다.""총담관 담석은 담즙을 십이지장 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곳에 담석이 생기는 질환이다."" 담낭 절제술을 시행하는 환자의 5~20%에서 총담관 담석이 동반되는 것으로 보고된다.""
1.2. 담낭과 담관의 구조 및 기능
담낭은 간장 밑면에 일부가 부착되어 있고 그 모양은 서양배 모양의 주머니처럼 생긴 구조물이다. 정상인의 크기는 길이가 약 7~8cm, 폭은 약 3~4cm이며, 이 안에 약 40~60ml의 녹갈색의 담즙을 함유하고 있다. 담낭은 담낭 경부, 체부, 저부로 나뉘며 담낭 내면에는 미세한 주름이 있고, 점액 분비선이 있다. 담낭은 담즙을 농축, 저장하여 담낭관으로 배출하고 총담관을 통과해 오디 괄약근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들어간다.
담관은 간에서 분비된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배출되는 모든 경로를 말한다. 담관은 간의 간관과 합쳐져 총담관을 이룬다. 담관은 크게 간외담과 간내담관으로 나뉜다. 간장내에 위치하는 담관을 간내담관이라 하며 간장 밖에 위치하는 담관을 간외담관이라 한다. 간외담관은 총간관, 총수담관, 담낭관의 세 가지 부분으로 구분된다.
간에서는 1일 약 800ml의 담즙을 만들어 내어 담관으로 배출시킨다. 담즙은 담관을 통하여 십이지장으로 배출되지만 출구인 오디괄약근은 위상성 수축을 통하여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내보내는 펌프의 역할을 한다. 오디괄약근이 평소에는 폐쇄되어 있어 담즙이 소장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결국 담즙은 담낭에 저장되어 있으면서 높은 농도, 약 5~20배까지 농축된다. 음식물을 섭취하고 약 30분이 지나면서 지방 음식이 십이지장에 도달했을 때 담낭을 비우는 작용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지방 성분은 십이지장 점막에서 혈액으로 호르몬(콜레시스토키닌)을 분비시키고 이 호르몬은 오디괄약근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간은 담즙의 생산역할, 담관은 담즙을 간에서 담낭으로 보내는 통로의 역할, 담낭은 농축 및 보관의 역할, 오디괄약근은 담즙분비 조절의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1.3. 총담관결석증의 원인
총담관결석증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첫째, 담낭의 담석이 담낭관을 통해 빠져나와 총담관에 담석을 형성하는 경우이다. 이를 이차성 담관 담석이라고 한다. 둘째, 총담관 내에서 직접 담석이 생성되는 경우로, 세균 감염 및 담즙 정체와 관련이 있다. 이를 일차성 담관 담석이라고 한다.
총담관 담석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담낭에서 생성된 담석이 총담관으로 빠져나와 총담관 내에서 담석을 형성하는 것이다. 전체 총담관 결석 환자의 90% 이상이 이러한 경우에 해당한다. 담낭에서 생성된 콜레스테롤 또는 혼합형 담석이 담낭관을 통해 총담관으로 내려와 결석을 형성하게 된다.
반면 총담관 자체에서 담석이 생성되는 일차성 담관 담석은 상대적으로 드물다. 이 경우에는 주로 세균 감염 및 담즙 정체와 관련이 있다. 만성 용혈성 질환, 간담도 기생충증, 반복되는 담관염 등의 상황에서 총담관 내에서 색소성 담석이 형성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담관 감염과 담즙 정체가 일차성 담관 담석 형성의 주요 원인이다. 대장균 등의 세균이 담관내 정체된 담즙에 증식하면서 효소를 분비, 결합성 빌리루빈을 불결합성 빌리루빈으로 변화시킨다. 이렇게 변화된 빌리루빈이 담관 내 칼슘과 결합하여 칼슘 빌리루빈 결석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총담관 내에 담석이 생성된다.
종합하면, 총담관결석증의 가장 주된 원인은 담낭에서 형성된 담석이 담낭관을 통해 빠져나와 총담관에 생성되는 이차성 담관 담석이며, 일부 경우에는 총담관 내에서 직접 담석이 형성되는 일차성 담관 담석이 원인이 된다고 볼 수 있다."
1.4. 총담관결석증의 위험 요인
총담관결석증의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여성이 남성보다 발생 빈도가 2-3배 높다는 점이다. 에스트로겐이 중성지방 및 지방성분을 높여 콜레스테롤 담석의 위험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두 번째, 40대 이상의 고령층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간의 콜레스테롤 분비가 증가하고 담즙산 합성이 감소하면서 담석 발생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세 번째, 비만인 경우 담석 발생률이 높다. 비만은 담즙 내 콜레스테롤 농도를 높여 담석 형성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네 번째, 경산부에서 발생률이 높다. 임신과 출산 등의 경험은 에스트로겐 분비를 증가시키고 담즙 내 콜레스테롤 농도를 높여 담석 발생 위험을 높인다.
그 외에도 당뇨병, 다태임신, 국소적 장염, 간 질환, 호르몬의 변화, 만성 용혈성 질환 등이 담석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는 이들 질환이 담즙 성분의 변화나 담즙의 정체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전반적으로 볼 때 여성, 고령, 비만, 경산부 등 4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총담관결석증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2. 증상 및 진단
2.1. 총담관결석증의 증상
총담관결석증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가장 흔한 증상은 복통으로 주로 명치 부분과 우상복부에서 30분에서 수 시간 동안 증상을 호소하며, 오심과 구토를 동반하기도 한다. 총담관 결석이 직접 증상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며 결석이 담도를 폐쇄하여 증상이 발생하는데, 총담관 결석에 의한 임상 양상은 담관 폐쇄 발생의 급, 만성 여부와 담관 폐쇄의 정도, 담즙 내 세균오염 정도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가장 흔한 증상은 복통 및 위경련이다. 담석이 담관을 따라 움직이면서 담관 폐쇄를 일으...
참고 자료
이해나.(2018년 11월14일).국민 1000명 중 2명 ‘담석증’...매년 5%씩 늘고있어. 헬스조선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14/2018111401645.html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9판), 수문사, 2021
서울아산병원-건강정보-의료정보-질환백과-총담관 담석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79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의료정보- 질환백과- 담석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78
총담관결석증,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24120&cid=40942&categoryId=32774
약학정보원- 이노엔 0.9& 생리식염주사액1,000ml, 5% 포도당 주사액 500ml, 세프티족심주 1g, 메트로니다졸주 500mg, 에포세린주 1g, 트리젤주 500mg/100ml, 도란찐주 50mg/1mg, 호의주 100mg, 미다졸람주, 아네폴주사, 페치딘주사, 알피트주사, 가스터주, 뉴제닐주, 온단세트론주사 4ml, 넥시움 정 40mg, 로와콜연질캡슐, 우루사정 200mg
https://www.health.kr/
00대학교병원 EMR
성인간호학, 수문사
드러그인포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경피경간 담도 배액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825&cid=51007&categoryId=51007
경피적 농양 배액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830&cid=51007&categoryId=5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