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후 변화 선행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지구온난화
2.1. 지구온난화의 정의
2.2. 지구온난화 대응 방안
3. 사막화 현상
3.1. 사막화 정의 및 현황
3.2. 사막화 대응을 위한 국제적 노력
4. 탄소국경세 도입의 영향
4.1. 탄소세에 대한 선행연구
4.1.1. 국내 연구
4.1.2. 해외 연구
4.2. 탄소세 도입국가의 경제적 효과
4.3. 탄소세 도입이 국내외 통상에 미치는 영향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서론에서는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과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최근 지구온난화와 사막화 현상이 심각해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환경보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청년들도 환경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지만, 현실과는 괴리가 있어 온몸으로 환경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는 더 이상 환경 문제를 타인의 문제로 여기지 않고, 개인과 기업, 정부 차원에서 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다. 이에 지구온난화와 사막화 현상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지구온난화
2.1. 지구온난화의 정의
지구온난화는 온실가스로 발생되는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이다. 온실가스로 인한 온실효과는 지구의 에너지를 가두고 축적시켜 기온이 상승시킨다. 이로 인해 빙하가 녹고, 해수면이 상승하며 수온이 높아져 강한 태풍이 발생하는 등 지구환경에 나타난 여러 가지 변화 현상들이 발생한다. 물론 온실가스는 자연적으로도 발생한다. 하지만, 지금 문제가 되는 온실가스는 인간의 활동 때문에 발생된 온실가스이다. 화석연료의 사용, 대기 중 이산화탄소 등의 농도가 증가하면서 자연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지구는 더 이상 일정한 평균 온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되었고, 해가 지날수록 지구의 평균 기온은 오르고 있다. 이제는 "티핑 포인트"를 넘었다는 전문가의 의견도 적지 않다. 이제는 온도 상승을 막기에는 너무 늦었다는 것이다.
2.2. 지구온난화 대응 방안
지구온난화 대응 방안은 크게 네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태양 에너지의 유입을 차단하는 지구공학적 기법의 활용이다. 지구로 유입되는 에너지의 양을 줄일 경우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져도 지구온난화의 진행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태양 광선을 반사하거나 태양열을 우주로 방출하는 등의 기술적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둘째,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 화석연료 사용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저장하는 기술이나 이산화탄소 이외의 온실가스를 포집하는 기술 개발이 이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셋째, 탄소를 흡수하는 지구의 능력을 활용하는 것이다. 바다 생물과 산림은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저장한다. 이들의 활동을 촉진시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넷째, 경제활동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것이다. 석유, 메탄, 가스 등의 화석연료 사용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에너지원을 바꾸거나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정부는 각 부문별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탄소세 도입 등 규제 정책을 펴고 있다.
이 중에서도 경제활동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방안이 현재 기후변화 대응 정책의 근간이 되고 있다.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발전소, 산업, 수송 부문에서의 배출 감축을 위해 정부 차원의 규제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각국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립하고 탄소세 도입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3. 사막화 현상
3.1. 사막화 정의 및 현황
사막화는 대지가 메마르면서 사막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사막화는 자연적으로 발생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된다. 유엔환경계획(UNEP)이 2011년 발표한 바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육지면적 중 3분의 1에서 사막화가 진행되었고, 매년 서울 면적의 100배가 사막으로 바뀌고 있다. 실제로 사하라 사막은 이미 미국의 크기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사막화는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가 더해져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 사막화...
참고 자료
경기도 (2011). 「경기도 저탄소 녹색도시 계획기준 연구」.
김연수 (2009).「도시계획과정의 가치와 평가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학술대회.
권원태 (2005).「기후변화의 과학적 현황과 전망」.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오덕성, 성재욱, 이서정 (2013). 「저탄소 도시계획의 단계별 평가지표 설정 및 적용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이상혁, 강정은 (2018). 「도시계획 적용을 위한 도시홍수 취약성 및 리스크 평가」. 국토계획.
이승일 (2010).「도시기본계획의 환경성 강화를 위한 전략환경평가 적용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영경, 김찬용, 김동현, 임업 (2017). 「기후회복력 관련 도시계획수단의 우선순위 평가」.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이종호 (2011).「Urban Planning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nd Strategic Enviromental Assessmnet in Korea」. 청주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이재준, 이상문 (2001).「환경친화적인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성 평가 및 평가지표 적합성 판단 연구」. 국토계획.
이재준. (2011).「녹색도시의 꿈」, 상상.
성낙문, 김희경, 박경아, 권영인, 이주연, 박태윤, 강소정, 염세례 (2019). 「도시재생 교통부문 평가 지원사업」. 한국교통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1-244.
엄정희 (2011).「도시계획에서의 기후요소 평가기법에 관한 고찰.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성남시 (2015).「성남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성남시 (2020).「2035년 성남시 도시기본계획 수립」
Hyun Woo Kim & Ming-Han Li (2017) Managing stormwater for urban sustainability: an evaluation of local comprehensive plans in the Chesapeake Bay watershed reg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남성현(2020), 위기의 지구, 물러설 곳 없는 인간, 21세기 북스
이수광(2011). 세계의 사막화. 숲과 문화, 20(5), 6-16.
이승은, 고문현(2019), 기후변화와 환경의 미래, 21세기 북스
이충환(2018), 지구 온난화 어떻게 해결할까?, 동아앰앤비
600만 난민 부른 사막화, 매년 서울 100배 면적이 바뀐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628366 (2020.6.2.)
사막화 탈출 넘버원!, https://www.hanwha.co.kr/media/discover/view.do?seq=2484(2020.6.2.)
‘사막화를 막아라’, 사막화를 막기 위해 논의되는 기술들, http://www.ecofuturenetwor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360 (2020.6.2.)
탄소세 도입의 비교 우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Carbon Tax Introduction. 유삭, 심충진. 세무회계연구 제78호 2023년 12월 pp.265∼287. 한국세무회계학회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원세연, 2021.08.05., 빨라지는 유럽발 ‘탄소국경세’…국내 산업에 미칠 영향과 대책은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91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