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와 사막화 현상
- 최초 등록일
- 2024.04.15
- 최종 저작일
- 2022.03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지구온난화와 사막화 현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지구온난화
3. 사막화 현상
4.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현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들이라면 ‘친환경적, 재활용’과 같은 말을 들으며 자랐을 것이다. 아나바다를 시작으로 친환경 표어 만들기, 업사이클링 디자인하기 등 환경을 보전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학창시절부터 접해왔다. 아이러니하게도 친환경이라는 말에 익숙해진 청년들은 친환경에 무뎌졌다.
불과 5년 전만해도 환경오염은 다른 세계 문제라고 치부되어왔다. 투발루가 물에 잠기고 있다는 뉴스 기사에도 전문가들과 몇몇 환경 단체들만이 환경을 위해 노력할 뿐, 일반인들은 나와 관련 없는 문제라고 여기며 일상을 살아갔다. 그리고 우리는 환경위기를 온몸으로 느끼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제트기류의 변화는 2020년 역대급 장마를 만들었다...
<중 략>
3. 사막화 현상
사막화란 대지가 메마르면서 사막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가뭄이나 건조화 현상으로 자연적으로 발생되기도 하지만 무분별한 식물 벌채, 농경지 확대와 산업화, 지하수 고갈 등 인위적으로 발생되기도 한다. 유엔환경계획(UNEP)이 2011년 발표한 바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육지면적 중 3분의 1에서 사막화가 진행됐고, 매년 서울 면적의 100배가사막으로 바뀌고 있다. 실제로 사하라 사막은 이미 미국의 크기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사막화는 자연적인 현상보다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 인간의 활동과 기후변화, 지구온난화가 더해져 걷잡을 수 없는 속도로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참고 자료
남성현(2020), 위기의 지구, 물러설 곳 없는 인간, 21세기 북스
이수광(2011). 세계의 사막화. 숲과 문화, 20(5), 6-16.
이승은, 고문현(2019), 기후변화와 환경의 미래, 21세기 북스
이충환(2018), 지구 온난화 어떻게 해결할까?, 동아앰앤비
600만 난민 부른 사막화, 매년 서울 100배 면적이 바뀐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628366 (2020.6.2.)
사막화 탈출 넘버원!, https://www.hanwha.co.kr/media/discover/view.do?seq=2484(2020.6.2.)
‘사막화를 막아라’, 사막화를 막기 위해 논의되는 기술들, http://www.ecofuturenetwor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360 (202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