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능력시험(TOPIK) 듣기 영역 기출문제 중 한 회차의 한 수준(초급, 중급, 고급)을 골라 문항 유형 및 문제 내용을 분석해서 정리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어능력시험(TOPIK) 듣기 및 읽기 문항 분석
1.1.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개요
1.2. 한국어능력시험(TOPIK) 듣기 문항 유형 및 내용 분석
1.3.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읽기 문항 유형 및 내용 분석
1.4. 한국어능력시험(TOPIK) 문항 유형 및 내용의 특징
2. 한국어 듣기 평가에 대한 분석
2.1. 한국어 듣기 평가의 목적
2.2. 한국어 듣기 평가의 기능
2.3. 한국어 듣기 평가의 범주
2.4. 한국어 듣기 평가의 내용
3. 한국어 듣기 평가의 효율적인 방안
3.1. 구체적인 평가 항목 반영
3.2. 실제 생활에서의 다양한 듣기 담화 유형 반영
3.3. 대화나 담화 단위의 전체 이해
3.4. 평가 관리: 듣기 평가 시행 시 유의사항
4. 신HSK와 TOPIK 읽기 문항 유형 대조 분석
4.1. 신HSK와 TOPIK 읽기 문항 유형 비교
4.2. 차이점 및 개선방안 제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어능력시험(TOPIK) 듣기 및 읽기 문항 분석
1.1.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개요
한국어능력시험(TOPIK)은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시행된다.
첫째,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재외동포 및 외국인들의 한국어 학습 방향 제시와 한국어의 보급 확대이다. 둘째, 한국어 사용 및 활용 능력을 측정하고 평가하여 그에 따른 결과를 국내 대학 유학과 취업 등에 활용하는 것이다.
해당 시험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삼고 있지 않는 재외동포와 외국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보편적으로 한국어 학습자와 국내 대학 유학 희망자, 국내외 우리나라 기업체 및 공공기관에 취업을 희망하는 자, 외국 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또는 졸업한 재외국민이 그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최근 한국어능력시험은 한국어 활용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로 인정받고 있으며, 한류 등의 영향에 힘입어 지원자수 또한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상황이다.
1.2. 한국어능력시험(TOPIK) 듣기 문항 유형 및 내용 분석
'제35회 TOPIK' 듣기 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해보면, 통상적으로 1번에서 4번 문항은 질문을 듣고 적절한 대답을 선택하는 문제이다. 보통 1번과 2번은 의문사가 없는 질문에 '네' 또는 '아니오'를 고르고, 3번과 4번은 의문사가 있는 질문에 설명하는 대답을 선택한다. 5번과 6번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인사나 대화를 듣고 이어질 말을 고르는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만남, 헤어짐, 감사, 사과 등의 기본적인 인사와 관용 표현, 안부, 부탁, 축하 등에 대한 문제로 출제된다. 7번부터 10번은 녹음된 대화를 듣고 대화가 이루어지는 장소를 고르는 문제이다. 이때 문법과 문장 길이가 다소 어려워진다. 11번부터 14번은 대화의 주제를 고르는 문제이며, 대화에 선택지의 어휘가 등장하지 않는다. 15번부터 16번은 대화 내용과 일치하는 그림을 고르는 문제이다. 17번부터 21번은 대화 내용과 일치하는 것을 고르는 문제로, 이 범위부터 어려운 어휘와 문법이 출제되기 시작한다. 22번부터 24번은 대화의 핵심 생각을 찾는 문제이고, 25번부터 26번은 한 사람의 이야기 내용을 파악하는 문제이다. 27번과 28번은 대화의 주제와 내용을 고르는 문제이며, 29번과 30번은 대화 참여자의 행동 원인을 고르는 문제이다.
1.3.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읽기 문항 유형 및 내용 분석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읽기 문항 유형 및 내용 분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은 총 5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항 유형은 매우 다양하다. 먼저 1-4번 문항은 문장 내에서 적절한 어휘나 문장을 고르는 유형이다. 5-8번 문항은 글의 중심내용을 파악하는 문제이고, 9-12번 문항은 제시된 내용과 동일한 것을 고르는 유형이다. 13-15번 문항은 문단 순서를 배열하는 유형이며, 16-20번 문항은 문장 내 적절한 어휘나 문장을 고르는 유형이다.
21-22번 문항은 문장이나 단락의 중심내용을 파악하는 문제이고, 23-24번 문항은 문맥에서 어구의 의미를 파악하는 유형이다. 25-27번 문항은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종합적인 문제이며, 28-31번 문항은 문장 내 적절한 어휘나 문장을 고르는 유형이다.
32-34번 문항은 글의 내용을 파악하는 문제이고, 35-38번 문항은 글의 주제를 찾는 문제이다. 39-41번 문항은 문장이나 단락을 삽입/삭제하는 유형이며, 42-43번 문항은 내용을 이해하는 문제이다. 44-45번 문항은 주제문을 찾는 유형이고, 46-47번 문항은 문장이나 단락을 삽입/삭제하는 문제이다.
마지막으로 48-50번 문항은 필자의 태도를 파악하는 유형이다. 이처럼 TOPIK 읽기 영역은 어휘, 문법, 내용 파악, 주제 파악, 문장/단락 구조 등 다양한 능력을 측정하고 있다"
1.4. 한국어능력시험(TOPIK) 문항 유형 및 내용의 특징
한국어능력시험(TOPIK) 문항 유형 및 내용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TOPIK 시험은 객관식 문항(4지 선다형)과 주관식 문항(쓰기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쓰기 영역은 문장완성형(단답형) 2문항과 작문형 2문항(중급 수준 설명문 1문항, 고급 수준 논술문 1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쓰기 영역 작문 문항의 평가 범주는 내용, 언어사용, 문형, 표현력 등을 포함한다.
둘째,...
참고 자료
오주희. 한국어 능력 시험의 문제점 및 발전 방향. 한국말글학회. 2014.
한하림 외.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담화의 상황 맥락 연구. 이중언어학회. 2014.
김선정.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제 분석. 국립국어원. 2011.
김영아 (199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능력 평가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김유정 외 (1998), 한국어 능력 평가 방안 연구, 한국어 교육, 제9권 1호.
강우동(2015), 학문 목적의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구안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지연(2017),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텍스트의 난이도 분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모운탁(2015), 한국어능력시험 고급 읽기 텍스트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원유경(2015), 2014개편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이해 영역에 나타난 어휘 적절성 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우 홍(2015), TOPIK 개편 전•후 읽기 영역 비교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덕진(2016), 기출문항 분석을 통한 한국어능력시험 이해 영역의 평가 양상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수분(2013),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문항 유형 개선방안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韓紹飛(2016), 新HSK四級閱讀試題分析及應試策略研究, 魯東大學, 碩士學位論文.
姜沙(2015), 新HSK五級閱讀部分命題研究, 魯東大學, 碩士學位論文.
聶烽嬌(2013), 新HSK(一、二、三級)閱讀試題中詞彙題的研究與教學, 湖南大學, 碩士學位論文.
楊帆(2016), 新HSK六級閱讀試題研究, 重慶師範大學, 碩士學位論文.
周丹丹(2014), 新HSK閱讀理解中使用字、詞的計量研究, 安徽大學, 碩士學位論文.
박수자(2015), 한국어능력시험Ⅱ 읽기 문항의 정보 문식성 양상 분석, 한중인문학연구/48(-), 2015: 291-309.
신정하(2016),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읽기 텍스트의 난이도 연구- TOPIKⅡ의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62 (-), 2016: 29-48.
高晶晶. HSK閱讀理解之我見, 新課程研究(中旬刊)(2012): 125-126.
강승혜, 강명순, 이영식, 이원경, 장은. 한국어 평가론. 태학사,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