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 응급실 사전학습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응급환자 간호와 관련된 기본 지식 및 장비와 기구
1.1. Emergency cart 약물
1.2. Emergency kit 장비와 기구
1.3. 응급환자 분류체계
1.4. 기관 내 삽관
1.5. CPR
1.6. 부정맥 환자의 관리
1.7. 출혈 및 쇼크환자 사정 및 간호
1.8. 흉부외상환자 사정 및 간호
1.9. 골절환자 사정 및 간호
1.10. 호흡곤란 환자 사정 및 간호
1.11. 급성흉통호소 환자 사정 및 간호
1.12. 뇌졸중 환자 사정 및 간호
1.13. 약물 남용 및 약물 중독자 치료 및 간호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응급환자 간호와 관련된 기본 지식 및 장비와 기구
1.1. Emergency cart 약물
에피네프린 주사액은 심정지, 약물에 의한 심부정맥, 기관지천식 발작의 완화, 혈청병·두드러기·맥관신경성 부종의 증상 완화, 국소마취제 효력의 지속 등을 위해 사용된다"" 에피네프린은 교감신경 효능약으로서 심장에 대한 직접적인 자극작용으로 심근수축력과 심박출량을 증가시키고, 말초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상승시킨다"" 에피네프린의 투여 시 심실세동과 심실리듬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투여 후 심장 상태를 수시로 관찰해야 하며, 과민 반응의 전구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피하주사로 투여해야 한다"" 또한 혈액량 부족으로 허탈증세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혈액량을 정상으로 만든 후 투여해야 하며, 과량투여로 인한 부작용에 주의해야 한다""아트로핀황산염수화물은 부교감 신경 차단제로서 위장관의 경련성 동통, 담관·요관의 산통, 경련성 변비, 위·십이지장궤양 분비 및 운동항진, 방실전도장애, 미주신경성 서맥 등에 사용된다"" 아트로핀은 약물 농도에 따라 작용이 달라져, 0.5mg 이하 투여 시 부교감신경 흥분작용으로 오히려 서맥이 초래될 수 있으며, 과량 투여 시 부작용으로 빈맥, 고열, 의식장애, 혼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심근경색 등 심근허혈이 있는 환자, 녹내장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1.2. Emergency kit 장비와 기구
Emergency kit 장비와 기구"는 응급실에서 응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처치를 위해 준비된 장비와 기구들이다. 이러한 장비와 기구들은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상태를 안정화시키는데 필수적이다.
먼저 E-tube(기관 내 튜브)는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고, 위팽만을 방지하며 분비물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산소화와 환기를 돕는 역할을 한다. 크기별로 다양한 튜브가 준비되어 있어 환자의 상태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 기관 내 삽관 시 후두경, 스타일렛 등의 기구들이 사용된다.
Airway는 설근침하 등으로 인한 상기도 폐쇄를 방지하고 기도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코인두기와 입인두기가 준비되어 있어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흡인(Suction) 관련 기구로는 suction cath와 suction line이 있다. 이를 통해 기도 내 이물질이나 분비물을 제거할 수 있어 환기를 원활히 할 수 있다. 흡인 시 주의사항을 숙지하고 올바른 기술로 시행해야 한다.
Ambu bag은 환기와 산소 공급을 위해 사용되는데, 안면 마스크와 연결하여 인공호흡을 할 수 있다. 또한 벤추리 마스크는 일정한 농도의 산소를 공급하는데 유용하다.
그 밖에도 모니터, 제세동기, 정맥 주사 물품, 주사기, 전극, 드레싱 물품 등 다양한 응급 처치에 필요한 장비와 기구들이 비치되어 있다. 이러한 물품들은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처치를 신속하게 제공하는데 활용된다.
응급실에서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처치를 위해서는 이러한 장비와 기구들이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하며, 의료진들은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1.3. 응급환자 분류체계
응급환자 분류체계는 신속하게 의학적 중재를 받아야 하는 위중한 사람을 가려내기 위한 것이다. 응급상황이거나 생명이 위험한 환자는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고, 생명이 위험할 수 있는 긴급상태인 환자는 가능한 한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다. 생명위험의 징후가 없는 환자는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조치할 수 있다.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는 2012년 캐나다 응급환자 분류도구인 CTAS(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를 우리나라 의료상황에 맞게 변형한 것이다. KTAS는 단순히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의 진료 순서를 정하기 위한 목적 이외에도 병원 전 단계를 아울러서 응급의료체계 전반을 개혁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KTAS는 환자를 평가할 때 증상을 중심으로(symptom-oriented) 분류하는 도구이다.
KTAS에서는 응급환자를 5단계로 분류한다. KTAS 1단계는 소생이 필요한 환자로 생명이나 생체 징후가 악화될 위험이 있어 적극적인 처치를 필요로 하는 상황이다. KTAS 2단계는 긴급환자로 생명 혹은 생체 징후에 잠재적인 위협이 있어 빠른 처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KTAS 3단계는 응급환자로 응급 처치가 필요한 심각한 문제로 진행할 수 있는 잠재성이 있는 상태이다. KTAS 4단계는 준응급환자로 한 두 시간 안에 치료 혹은 재평가하면 되는 상태이다. KTAS 5단계는 비응급환자로 2시간 이내에 의사가 진료하고 120분마다 재평가되어야 하는 상태이다.
한편, START(Simple Triage and Rapid Transport) 알고리즘은 1983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개발된 환자분류 및 치료방법이다. 이는 대량환자 발생 사고 시 초기 대응자들이 수집한 객관적인 생리학적 자료와 관찰에 의한 자료로 환자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보행 가능성, 기도 개방 및 호흡수, 요골맥박 존재 유무 및 모세혈관 재충혈 시간, 간단한 명령에 따를 수 있는지 확인 후 환자를 즉각, 지연, 최소, 사망(또는 기대)으로 분류한다.
Triage sieve는 응급처치와 환자이송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가장 효율적인 치료로 가능한 많은 사람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환자 증상을 중증도별로 구분하는 방법이다. 이 역시 재난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보행 가능성, 기도 개방, 호흡수, 맥박을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마지막으로 소아의 중증도 분류를 위해 SAVE-A-CHILD 지침이 사용된다. 이 방법은 환아가 진찰 전 보호자의 품에 있을 때 관찰할 수 있는 피부, 활...
참고 자료
응급실에서의 감염관리 표준지침(안),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 대한감염관리간호사회, 질병관리본부, 2010. 8
이은자 외(2019). 『응급간호 병원 및 병원 전 처치』. 수문사
이윤미 외(2019).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수문사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접속일자 2022. 9. 5)
드럭인포(Druginfo), www.druginfo.co.kr, 약품검색 (접속일자 2022. 9. 5)
한국 응급 처치 교육 센터 http://www.ket.or.kr/subpage/sub0203.php (접속일자 2022. 9. 5)
2020년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요약본, 질병관리청·대한심폐소생협회 (접속일자 2022. 9. 5)
http://www.kacpr.org/ (접속일자 2022. 9. 5)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2019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2019
김금순 외, 최신 중환자 간호, 수문사, 2014
모스비 널싱스킬 홈페이지
약학정보원
더블유솔루션 응급카트 유튜브
성미혜 외, 쉽게 배우는 응급간호학, 정담미디어, 2017
충북대학교 응급의료센터
보건복지부-한국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기준
대한심폐소생협회 기본소생술 교재 P29-40
호매실 요양병원-손 씻기 포스터
서울종합방재센터-복부손상 응급치료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응급실에서의 감염관리 표준지침
김연숙 외 22저 (2012년 8월 25일). [ 응급간호학 ] , 수문사.
김동욱 외 17저 (2013년 9월 5일). [ 건강사정 ] , 포널스출판사.
조경숙 외 9저 (2014년 2월 10일). [ 성인간호학 하권 ], 현문사.
송경애 외 11저 (2014년 2월 14일). [ 최신 기본간호학 (상) ], 수문사
약학정보원 www.health.kr/
서울대학교 의학백과 사전 http://www.snuh.org/pub/infomed/sub02/sub01/index.jsp?s2_id=1&s3_id=&s4_id&s5_id=
보건복지부 www.mw.go.kr/
한국 응급 처치 교육 센터 http://www.ket.or.kr/subpage/sub0203.php
대한 심폐 소생 협회 http://www.kacpr.org/
서울대학교 병원 응급 처치 가이드 http://www.snuh.org/
국가 정보 포털 의학 정보 http://terms.naver.com/list.nhn?cid=51004&categoryId=5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