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탈춤 부분수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탈춤에 대한 이해
2.1. 탈춤의 정의
2.2. 탈춤의 역사
3. 봉산탈춤의 특징
3.1. 봉산탈춤의 등장 배경
3.2. 봉산탈춤의 구성
4. 봉산탈춤을 활용한 문학 수업
4.1. 수업 목표
4.2. 교수학습방법
5. 국어과 교육과정과의 연관성
6. 수업 지도안
6.1. 차시별 교수-학습 계획
7. 학습자 분석
8. 학습 목표 및 기대효과
9. 본시 학습 지도안
10.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봉산탈춤 수업지도안을 구성하며 가졌던 문제의식은 학습자가 얼마나 수업에 주체적으로 참여하는지에 있다. 학습자들은 단순히 주어진 정보를 받아적기에 급급할 뿐, 적극적으로 문학 작품을 읽어내고 반응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활동적이고 생동감 있는 문학 수업을 구성함으로써 진정으로 공감하고 감응하는, 정서적인 반응을 느낄 수 있는 학습자, 문학으로 소통할 수 있는 학습자로 성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문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여 문학과 함께하는 삶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본 대단원을 설정했다.
2. 탈춤에 대한 이해
2.1. 탈춤의 정의
탈춤은 "가면을 쓰고 추는 전통 연희극이다." 탈춤은 조선시대 서민들의 풍자와 해학을 담아낸 대표적인 문화 예술 형태로, 양반과 선비 등 지배계층의 허위의식을 비판하고 풍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주로 농민이나 하층민이 주도하여 연행되었기 때문에 민중의 소리를 반영하는 예술 형태라고 할 수 있다. 탈춤은 전통적인 무속 신앙과 유교적 가치관이 융합된 독특한 모습을 보이며, 탈춤 속 등장인물들은 각자의 성격과 신분, 역할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2.2. 탈춤의 역사
탈춤의 역사는 오래전부터 이어져 온 우리나라의 고유한 민속예술이다. 탈춤은 고구려 시대부터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으며, 고려시대부터 널리 보급되어 왔다. 특히 조선시대에 이르러 탈춤은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고구려 시대에는 활발한 무도(舞蹈) 문화가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탈춤과 유사한 가면무 형태가 존재했다. 이는 곧 현재의 탈춤의 원형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고려시대에 이르러서는 궁중의 연희로 자리 잡았으며, 민간에서도 널리 공연되었다. 특히 고려 말기에는 무신정변으로 인해 계급 갈등이 심화되면서 양반이나 관료를 풍자하고 비판하는 탈춤이 발달하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탈춤이 더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조선 초기에는 여전히 궁중의 연희로 공연되었으나, 점차 민간 연희로 확산되었다. 특히 16세기 중반 이후에는 지방 토착 탈춤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대표적으로 봉산탈춤, 강릉단오제 탈춤, 남사당패의 꼭두각시놀음 등이 있다. 이러한 지방 토착 탈춤들은 각 지역의 독특한 문화적 배경 속에서 발전하였으며, 민중들의 삶과 정서를 반영하고 있다.
조선 후기에는 계층 간 갈등이 더욱 심화되면서, 탈춤은 양반 계층에 대한 비판과 풍자의 도구로 활용되었다. 이에 따라 탈춤에서는 사회 계층 간의 대립과 갈등, 양반의 위선적 행태 등이 적나라하게 드러나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봉산탈춤, 거창 합천 탈춤 등에서 잘 나타난다.
이처럼 탈춤은 고구려 시대부터 시작되어 고려와 조선을 거치며 발전해 왔으며, 각 시대와 지역의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며 전승되어 왔다. 특히 조선 후기의 탈춤은 민중의 삶과 정서를 반영하며 계층 간 갈등을 극적으로 표현하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3. 봉산탈춤의 특징
3.1. 봉산탈춤의 등장 배경
봉산탈춤은 탈춤의 한 갈래로, 조선 후기 농민들에 의해 자발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당시 봉산 지방의 농민들은 향촌 사회에 만연했던 신분제도와 사회적 모순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탈을 쓰고 공연을 펼치며 양반 계층과 사회 윗층을 비판하고 풍자하였다"." 봉산탈춤은 서민들이 모순된 현실에 대해 자발적으로 대응하고 저항하는 문화예술 활동이었다고 할 수 있다"."
3.2. 봉산탈춤의 구성
봉산탈춤의 구성은 매우 다채롭고 복합적이다. 봉산탈춤은 무동마당, 주지마당, 백정마당, 할미마당, 파계승 마당, 양반선비마당, 혼례마당, 신방마당 등 다양한 마당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마당별로 다양한 등장인물과 주제가 펼쳐진다.
무동마당에서는...
참고 자료
박수현,「문학교과서와 정전 교육의 재구성 - 최인훈의 『광장』을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제64호, 2019, 47-82.
오판진, 「가면극 연행 체험 교육 연구: 인물에 대한 공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교육학박사학위논문, 2012.
정재찬 외,『문학교육개론 1-이론편』,역락, 2014.
최지훈 외,『국어과 교수학습 방법』,역락, 2007.
민병곤 외,「청소년 언어 문화 실태 연구」, 국립국어원, 2016.
2015 국어과 교육과정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26392&cid=56785&categoryId=56785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1584&cid=58721&categoryId=58724#TABLE_OF_CONTENT4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0616&cid=58840&categoryId=58856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0280&cid=47306&categoryId=47306
진주 탈춤 한마당
http://www.xn—ok1b32ku8n3wa05l2rfpsj.com/html/main2014.htm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
http://hahoemask.co.kr/bbs/content.php?co_id=origin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40158&cid=49386&categoryId=49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