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Iioc 태아손상위험성 간호과정 출혈위험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자궁경관무력증의 정의 및 특징
1.2. 자궁경관무력증의 원인
1.3. 자궁경관무력증의 위험요인
2. 자궁경관무력증의 증상과 진단
2.1. 임상 증상
2.2. 진단방법
2.2.1. 시진 및 촉진
2.2.2. 자궁 조영술
2.2.3. 초음파검사
3. 자궁경관무력증의 비수술적 치료
3.1. 침상 안정
3.2. 수액 요법
3.3. 약물 치료
3.3.1. 자궁수축 억제제
3.3.2. 항생제
3.3.3. 스테로이드
4. 자궁경관무력증의 수술적 치료
4.1. 쉬로드카 수술
4.2. 맥도날드 수술
4.3. 더블 맥도날드 수술
5. 자궁경관무력증 환자의 간호중재
5.1. 정서적 간호
5.2. 일반적 간호
5.3. 안위 제공
6. 사례연구: IIOC 환자의 간호과정
6.1. 일반정보 및 건강력
6.2. 임상검사 및 진단검사
6.3. 약물치료
6.4.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6.5. 간호평가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자궁경관무력증의 정의 및 특징
자궁경관무력증(Incompetent Internal Os of the Cervix, IIOC)은 임신 중 자궁경관 구조와 기능의 장애로 인해 진통 없이 자궁경관이 열리고 태아와 양수가 배출되어 조산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자궁경관무력증은 임신 초기부터 중기까지 발생할 수 있으며, 임신 14주에서 28주 사이에 가장 많이 나타난다.
자궁경관은 임신 중 태아가 자궁 내에 머물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상적으로 임신 중에는 자궁경관이 단단해져서 태아를 지탱하지만, 자궁경관무력증이 발생하면 자궁경관이 부드러워지고 열려서 태아와 양수가 빠르게 배출되어 조산을 초래한다. 이로 인해 자궁외 태아생존이 어렵고 수술적 처치가 필요하게 되는 등 예후가 좋지 않다.
1.2. 자궁경관무력증의 원인
자궁경관무력증의 원인은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선천적 요인으로는 자궁경부의 선천적 이상이나 임신 중 약물 노출 등이 있다. 후천적 요인으로는 과거 분만 및 유산 시술로 인한 자궁경부 손상, 자궁경부 원추절제술 등의 수술에 따른 외상 등이 있다.
자궁경부의 선천적 이상으로는 Diethylstilbestrol (DES)이라는 약물에 임신 중 노출된 경우 태아기 때 자궁경부가 비정상적으로 발육하여 짧거나 기형적으로 발달하는 경우가 있다. 이외에도 호르몬 또는 감염 등의 요인으로 인한 자궁경부 조직의 구성 이상과 모체의 스트레스가 조기 자궁경관 개대와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후천적 요인으로는 과거 분만이나 유산 시의 자궁경부 손상, 소파술이나 자궁경부 원추절제술 등의 수술로 인한 외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자궁경부 원추절제술은 자궁경부를 원추모양으로 제거하여 자궁경부가 단축되면서 임신 시 자궁경부를 단단히 지탱하지 못하게 되어 자궁경부무력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처럼 자궁경관무력증은 다양한 선천적, 후천적 요인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인 파악과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3. 자궁경관무력증의 위험요인
자궁경관무력증을 잘 발생시키는 주요 위험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 임신 경력이다. 난산 또는 임신 중기에서의 유산 및 조산 경력, 과거 출산 시 자궁경부의 손상 및 산후 출혈 경력, 빈번한 소파수술 및 습관성 유산경력 등이 있다. 특히 자궁 내구(안쪽입구)에 손상을 일으켜 자궁 입구가 저절로 확장되기 쉬운 조건이 된다. 이런 경우 특히 임신 12주 전후에 자궁무력증으로 잘 진단된다"".
둘째, 과거 자궁경부의 수술경력이다. 자궁경부 원추절제술은 자궁경부를 원추모양으로 제거하면 자궁경부가 단축되면서 임신 시 자궁경부를 단단히 지탱할 수 없게 되어 자궁경부무력증으로 진행되는 빈도가 상당히 높다. 또한 시험관임신, 자궁내 진단시의 빈번한 자궁(내시)경 수술 경력도 자궁입구의 내구 및 외구를 손상시켜 자궁경부무력증을 발생시킬 수 있다"".
셋째, 현 임신에서 동반된 질환이다. 자궁기형인 쌍각자궁, 중격자궁, 쌍자궁 등 각종 자궁 기형이나 자궁선근증 및 나궁내막증을 동반하는 경우 자궁의 단단함이 상대적으로 떨어져 자궁무력증을 발생시키는 빈도가 높다. 또한 쌍둥이 임신, 양수과다증, 임신성 당뇨, 비만 등 자궁내 압력을 증가시키는 모든 환경 또는 질환들은 결과적으로 자궁경부가 쉽게 열릴 수 있다. 그 외에도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자궁폴립, 자궁내막증 등 임신 중 자궁이 효과적으로 잘 늘어나지 않는 경우에도 자궁경부가 쉽게 열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심한 자궁경부염, 질염 등 감염질환도 자궁경관무력증의 위험요인이 된다"".
2. 자궁경관무력증의 증상과 진단
2.1. 임상 증상
자궁경관무력증의 임상 증상은 다음과 같다.
자궁경관무력증은 대개 임신 14~28주 사이에 자궁경부가 통증없이 저절로 열리게 되며, 임신 중 질 출혈, 질 분비물 증가, 골반의 압통, 생리통과 비슷한 통증, 요통, 배변감, 질 압박감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자궁경부 길이가 짧아지는 "short cervix" 역시 자궁경관무력증의 전조증상이 된다. 임신 중반기(16~24주)에 자궁경부 길이가 25mm 미만인 경우를 "short cervix"라고 정의하며, 자궁경부 길이가 짧은 여성일수록 조산의 위험이 높고 특히 분만 시 임신주수, 입원 후 분만까지의 기간, 조산율 및 신생아 체중 감소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2. 진단방법
2.2.1. 시진 및 촉진
자궁경관무력증(IIOC)의 진단을 위한 시진 및 촉진은 다음과 같다.
시진을 통해 자궁경관의 기형, 열상, 손상 등을 관찰할 수 있다. 자궁경관의 구조와 상태를 직접 관찰하여 자궁경관무력증을 진단할 수 있다.
촉진을 통해서는 Traction test와 Hegar test를 시행할 수 있다. Traction test는 Foley catheter를 자궁 내로 삽입한 후 catheter의 풍선 부위를 1cc로 부풀린 다음 잡아당겨 보는 것이다. 이때 자궁 내구를 쉽게 통과하면 자궁경관무력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Hegar test는 자궁경관 확장기인 8번 크기의 Hegar를 자궁 내구 쪽으로 삽입하였을 때 아무런 저항 없이 들어가면 자궁경관무력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다만 이 검사는 배란 시나 생리 주기를 피해 시행해야 한다.
이처럼 시진과 촉진을 통해 자궁경관의 구조와 상태를 직접 관찰하고 평가할 수 있으므로, 자궁경관무력증의 진단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2.2. 자궁 조영술
자궁 조영술은 자궁과 난관의 구조와 모양을 관찰하기 위해 방사선 조영제를 자궁강 내에 주입하여 X선 촬영을 하는 검사 방법이다. 자궁경관무력증 환자의 경우 자궁 조영술을 통해 비정상적인 자궁경관 내부 및 협착된 쐐기 형상이 관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궁 조영술에서는 자궁경관이 넓어져 깔때기 모양을 보이며, 자궁경부 내구의 길이가 25mm 미만으로 짧은 소견이 관찰된다. 이는 자궁경관무력증의 특징적인 소견이다. 또한 자궁강이 넓어지고 상부로 갈수록 좁아져 쐐기 형태를 보이는 것도 자궁경관무력증의 전형적인 자궁 조...
참고 자료
성미혜 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I』, 수문사, 2021
성미혜 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II』, 수문사, 2021
윤은자, 성인간호학 1, 수문사, 2021.02.05
윤은자, 성인간호학 2, 수문사, 2021.02.05
송경애, 최신 기본간호학 1, 수문사, 2021.02.28..
송경애, 최신 기본간호학 2, 수문사, 2021.02.28.
[수문사] 2021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Ⅱ
[네이버 지식백과] 자궁경관무력증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질환백과] 서울아산병원 자궁경관무력증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건강정보)
[동탄제일병원] 고위험분만센터, 자궁경관무력증 믈리닉
여성건강간호학 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수문사, 자궁경관무력증, 206-208p
서울아산병원, 자궁경관무력증,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44
삼성병원, 자궁경관무력증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bv/disease/info/view.do?CONT_ID=3385&CONT_SRC_ID=09a4727a8000f312&CONT_SRC=CMS
동탄제일병원, 자궁경관무력증, IIOC 클리닉
http://www.dongtanjeil.kr/main/sub.html?pageCode=134&NaPm=ct%3Dkjspa9vs%7Cci%3D0AW00035otLtbPYa9LoR%7Ctr%3Dsa%7Chk%3D5d882bc3eacab35e7fd015cacaa67edbd172a98e
자궁경관무력증 클리닉, http://www.iioc.co.kr/iioc/information/information3.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