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흡연 케이스스터디

  • 1
  • 2
  • 3
  • 4
  • 5
  • 6
  • 7
  • 8
>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흡연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주제 선정 이유
1.2. 지역사회 간호 문제 선정

2. 지역사회 간호계획
2.1. 20대 흡연자의 낮은 금연 시도율과 관련된 높은 흡연율
2.1.1. 목표설정
2.1.2. 수행계획
2.1.3. 평가계획

3. 지역사회 간호수행
3.1. '우리는 금연 우체부입니다' (금연 프로그램 교육 홍보)
3.2. '2029 찾아가는 금연 본능'
3.3. '금연 청바지! 캠프' (청춘은 바로 지금!)
3.4. 흡연 관련 설문지 조사
3.5. '금연 클리닉 금연 프로그램'
3.6. '금연 클리닉 중도 포기 방지 프로그램' 전화 상담
3.7. 이동차 운영
3.8. '이야기 꽃 피우기'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주제 선정 이유

전세계적으로 흡연율은 20%로 감소세를 보이지만, 매년 담배로 700만명이 사망에 이른다고 한다. 흡연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은 뇌졸중, 심장마비, 폐암, 식도암, 방광암 등으로 다양하다. 폐암의 85%가 흡연에 의해 발생하고, 전 세계 심혈관 질환 발생의 약 10%는 흡연이 원인이며, 관상동맥 질환의 사망에 20%, 암 사망에 29%를 흡연이 기여한다. 이러한 악영향이 끼치는 흡연율은 다른 OECD 국가들 보다 높은 수치로 2017년 기준 만 15세 이상 남성 흡연율 31.6%로 우리나라가 OECD 주요국에서 터키(40.1%) 다음인 높은 수치로 최상위권에 자리하였다. 따라서 2017년도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국민건강증진 및 흡연율 감소' 비전에 따른 지역사회 흡연자를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금연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새로운 금연사업 전략을 통해 지역사회 흡연율의 감소가 필요하다.


1.2. 지역사회 간호 문제 선정

광산구 50대 성인 남성의 금연에 대한 동기부족과 관련된 높은 흡연율이 지역사회 간호 문제로 선정되었다"는 것이다.

먼저, 광주광역시 내 구별 2017년 남자 현재 흡연율을 살펴보면 광산구가 41.5%로 가장 높은 편이다. 또한 광산구 50대 남성의 경우 금연 시도율이 10.3%로 광산구 평균 금연 시도율 20.8%보다도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는 광산구 50대 성인 남성의 경우 금연에 대한 동기부족으로 인해 높은 흡연율을 보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황에 대해 보건소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개선하고자 광산구 50대 성인 남성의 금연 동기 부족과 관련된 높은 흡연율을 지역사회 간호 문제로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이들의 금연 시도율과 금연 성공률을 높이고자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광산구 지역사회의 전반적인 흡연율 감소와 지역민의 건강증진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2. 지역사회 간호계획
2.1. 20대 흡연자의 낮은 금연 시도율과 관련된 높은 흡연율
2.1.1. 목표설정

20대 흡연자의 낮은 금연 시도율과 관련된 높은 흡연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0년 5월 5일부터 2021년 5월 5일까지 다음과 같은 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2020년 5월 5일부터 2021년 5월 5일까지 00구 주민 흡연율을 22.3%에서 20%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이다. 둘째, 2020년 5월 5일부터 2021년 5월 5일까지 흡연 대상자의 금연 프로그램 등록률을 27.1%에서 35% 이상으로 상승시키는 것이다. 셋째, 2020년 5월 5일부터 2021년 5월 5일까지 00구 금연클리닉 성공률을 38.4%에서 55% 이상으로 상승시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내 20대 흡연자들의 금연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건강한 생활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2.1.2. 수행계획

수행계획은 2020년 5월 5일부터 2021년 5월 5일까지로 총 1년간 진행된다. 첫째, 금연 프로그램 교육 홍보를 통해 20대 흡연자의 금연 프로그램 등록률을 높이고자 한다. 보건소 홈페이지와 안동시 내 대학교, 산업장에 전단지를 배부하여 금연 프로그램에 대해 적극적으로 홍보한다. 또한 20대들이 자주 가는 카페에 금연 관련 홍보물을 제작하여 배치하여 흡연자들의 관심을 끌 계획이다.

둘째, 이동 금연 서비스 센터를 운영하여 바쁜 일상으로 보건소를 방문하기 어려운 20대 흡연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한다. 대학교와 사업장을 방문하여 금연 상담과 CO측정, 금연 보조제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이동 금연 센터 참여자들에게는 금연 보조제와 행동 강화 물품 등의 혜택을 제공하여 프로그램 참여를 독려할 계획이다.

셋째, 금연 캠프를 홍보하여 20대 흡연자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지역 언론 매체를 활용하여 금연 캠프 참여자들의 성공사례와 금연 캠프에서 제공되는 금연 ...


참고 자료

https://www.wikitree.co.kr/articles/759832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886842
https://www.wikitree.co.kr/articles/760478
https://www.wikitree.co.kr/articles/631388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4828822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1064526
https://www.nocutnews.co.kr/news/5768117
https://www.gwangsan.go.kr/co/contentsView.php?pageID=gshealth0202020000 / 광산구 보건소 홈페이지 금연클리닉
https://www.gwangsan.go.kr/bb/bbBoard.php?boardID=MONTHPERSON&pageID=gwangsan0505010000 / 광산구청 홈페이지 인구현황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pblcVis/details.do?ctgrSn=3 / 통계청 만성질환 건강통계 – 금연시도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pblcVis/details.do / 통계청 만성질환 건강통계 – 흡연율
2018 광산구 행정통계
2017 광산구 주민등록인구 통계표
제 7기 광산구 지역보건의료계획
제 8기 광산구 지역보건의료계획

국민 건강증진 포럼 (2017)
제 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7년 지역금연 민간보조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보건소 금연 클리닉의 금연성공률과 비용효과 분석
통계청 http://kosis.kr/
질병관리본부 www.cdc.go.kr
보건복지부 www.mw.go.kr
대한보건협회 www.kpha.or.kr
지역사회건강조사 https://chs.cdc.go.kr/chs/index.do
한국금연운동협의회 www.kash.or.kr
국민건강보험 http://www.nhis.or.kr/retrieveHomeMain.xx
한국한국금연운동협의회 www.kash.or.kr
금연길라잡이 www.nosmokeguide.or.kr
지역사회간호학Ⅰ, 박인혜, 고정은 외 저, 현문사, 2018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