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네트워크 공부 자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상세정보

소개글

"네트워크 공부 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라우팅 프로토콜
1.1.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
1.2.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1.2.1. RIPv1 및 RIPv2
1.2.1.1. RIPv1 개요
1.2.1.2. RIPv2 개요
1.2.1.3. RIPv1과 RIPv2의 차이점
1.2.1.4. RIPv1 및 RIPv2 업데이트 방법

2. USN 기술과 스마트폰의 활용
2.1. USN과 스마트폰의 정의
2.2. USN을 활용한 스마트폰 응용사례
2.2.1. 헬스케어
2.2.2. 택시 위치제공 서비스
2.2.3. 스마트 농업기술
2.3. USN을 활용한 스마트폰 응용 발전 분야
2.3.1.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2.3.2. 증강현실 기술(AR)
2.3.3. 로봇

3. 간호정보학 동향
3.1. 국내외 간호정보학 연구 방법 및 절차
3.2. 이론적 배경과 관련된 연구
3.2.1. 사물인터넷 서비스
3.2.2.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3.2.3. 건강 라이프 로그 참조 모델
3.3. 제안한 시스템 구성 및 기능
3.4. 제안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성
3.5. 간호 적용 사례
3.6. 기대효과 및 활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라우팅 프로토콜
1.1.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은 라우팅 경로를 수동으로 지정해주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네트워크 관리자가 직접 라우팅 테이블을 구성하고 관리하여 원하는 경로로 패킷을 보낼 수 있다.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변화에 대한 자동 감지 및 재구성이 어렵기 때문에 단일 경로에 적합하며, 주로 Stub network에 적용된다.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 변화에 수동적이며, 라우팅 추가, 변경, 회선 등 자동 인지가 불가능하다. 둘째,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원하는 경로로 패킷을 보낼 수 있다. 셋째, 관리 부담이 증가하며, 정해진 경로 문제 발생 시 해결할 때까지 라우팅이 불가능하다.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은 주로 규모가 작고 변화가 적은 네트워크에 적합하다.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에 비해 구현과 설정이 간단하지만, 네트워크 변화에 따른 자동 적응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규모가 작고 변화가 적은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2.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1.2.1. RIPv1 및 RIPv2
1.2.1.1. RIPv1 개요

RIPv1은 Metric을 Hop Count로 사용하는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RIPv1은 목적지로 가는 경로 중에서 라우터를 가장 적게 거치는 경로를 선택한다. RIPv1은 설정이 간단하고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하며 Hop Count를 최대 15개 까지만 갖는다. RIPv1은 30초 주기로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을 이웃하는 장치들에게 브로드캐스트한다. RIPv1은 서브넷 마스크 정보가 없는 Classful 라우팅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CIDR, VLSM을 하지 못한다. RIPv1은 Metric으로 홉카운트를 사용하기때문에 홉이 더 많은 쪽이 네트워크 선로가 원활하여 빠르더라도 홉카운트를 적게 사용하는 경로를 채택하여 라우팅한다.


1.2.1.2. RIPv2 개요

RIPv2는 Classless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RIPv2는 네트워크 정보와 함께 서브넷 마스크의 정보도 함께 전달한다. 이는 RIPv1과의 큰 차이점이다. RIPv1은 Classful 라우팅 프로토콜로서 서브넷 마스크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RIPv2는 라우팅 정보의 전달을 위해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사용하지 않고 멀티캐스트 주소인 224.0.0.9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RIPv2는 불필요한 브로드캐스팅을 줄일 수 있다.

또한 RIPv2는 각 라우터에서 네트워크 경로 정보에 대한 인증을 할 수 있다. RIPv1에서는 이러한 인증 기능이 없었다. RIPv2의 인증 기능은 라우팅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게 해준다.

RIPv2는 라우팅 경로에 대한 Auto Summary(자동축약) 기능을 지원한다. 이 기능이 필요 없을 때는 Manual Summary(수동축약)을 사용할 수 있으며, no Auto Summary 명령어를 사용하여 자동 축약 기능을 해제할 수도 있다. RIPv1에는 이러한 자동/수동 축약 기능이 없었다.

종합하면, RIPv2는 RIPv1에 비해 Classless 라우팅, 인증, 자동/수동 요약 등의 기능이 추가되어 보다 발전된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다.


1.2.1.3. RIPv1과 RIPv2의 차이점

RIPv1과 RIPv2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RIPv1은 Classful 라우팅 프로토콜로서 서브넷 마스크 정보를 포함하지 않지만, RIPv2는 Classless 라우팅 프로토콜로서 네트워크 정보와 함께 서브넷 마스크 정보도 함께 전달한다. 따라서 RIPv2는 VLSM(Variable Length Subnet Mask)과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을 지원하지만, RIPv1은 이를 지원하지 않는다.

RIPv1은 라우팅 정보 전달을 위해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사용하지만, RIPv2는 멀티캐스트 주소인 224.0.0.9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RIPv2는 불필요한 멀티캐스트 업데이트를 받는 장치들의 부담이 적다.

또한 RIPv2는 각 라우터에서 네트워크 경로 정보에 대한 인증을 할 수 있으며, 라우팅 경로에 대한 Auto Summary(자동 요약) 기능을 제공한다. 반면 RIPv1은 이러한 기능이 없다.


1.2.1.4. RIPv1 및 RIPv2 업데이트 방법

RIPv1 및 RIPv2 업데이트 방법은 다음과 같다.

RIPv1 라우팅 업데이트 방식은 UDP 포트 520번을 사용하며, 출발지 IP 주소는 송신하는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 주소를 사용한다. 목적지 IP 주소는 브로드캐스트(255.255.255.255) IP 주소를 사용한다. 즉, RIPv1은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라우팅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반면 RIPv2 라우팅 업데이트 방식은 인접한 라우터 간 주기적인 시간(30초)을 이용하여 멀티캐스트(224.0.0.9) 방식으로 라우팅 업데이트를 반복적으로 실시한다. RIPv2에 포함된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PC 또는 서버들은 이러한 멀티캐스트 업데이트를 수신하게 된다.

이처럼 RIPv1은 브로드캐스트 방식을, RIPv2는 멀티캐스트 방식을 사용하여 라우팅 정보를 업데이트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RIPv2의 멀티캐스트 방식은 불필요한 브로드캐스트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USN 기술과 스마트폰의 활용
2.1. USN과 스마트폰의 정의

USN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라고 불리며, 센서가 센싱 후 얻은 데이터를 가공하고, 가공한 데이터를 지그비(zig bee)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로 보내는 것을 말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소형 센서 장치를 통해, 특정 장소의 상태 및 환경변화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하여 정보를 처리, 활용할 수 있게 만든다. USN의 특징으로는 가격이 저렴하여 공격받기 쉬운 센서노드로 구성되며, 소비전력이 많이 들지 않고 네트워크 자가 설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노드가 많아 네트워크 구성이 복잡해져 사전 구성이 어렵게 된다.
스마트폰은 PC와 다르게 이동성을 제공하고, GPS, 가속도 센서 등을 비롯한 다양한 센서를 기본적으로 장착하고 있어 다양한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에 활용이 가능하다. 2013년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열풍은 센서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의료기기와 스마트 기기의 발전으로 모바일 의료기기라는 하나의 트랜드를 만들었다.


2.2. USN을 활용한 스마트폰 응용사례
2.2.1. 헬스케어

헬스케어는 언제 어디서든 이용이 가능한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를 지칭한다. 굳이 병원에 ...


참고 자료

네트워크 교안 등
백과사전, 나무위키
http://wiki.hash.kr/index.php/USN
https://mydaum00.tistory.com/entry/%EC%9C%A0%EB%B9%84%EC%BF%BC%ED%84%B0%EC%8A%A4-%EC%84%BC%EC%84%9C-%EB%84%A4%ED%8A%B8%EC%9B%8C%ED%81%AC-%EA%B8%B0%EC%88%A0
https://chlalgud8505.tistory.com/66
https://www.itfind.or.kr/WZIN/jugidong/1165/116503.htm
https://ensxoddl.tistory.com/213
정남호 외(2016).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의료서비스 사례 연구 및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서비스경영학회
박종태 외(2012). U-헬스케어를 위한 스마트폰 활용 기술 동향 및 문제점 분석. 한국통신학과회
이미준 외 다수(2020). 간호정보학. 수문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