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곰팡이 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곰팡이의 분리 및 배양
1.1. 실험 목적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3. 실험 기구 및 시약
1.4. 실험 방법
1.5. 실험 결과
1.6. 토의 사항
2. 원생동물 및 곰팡이의 관찰
2.1. 실험 목적
2.2. 배경지식
2.2.1. 원생동물
2.2.2. 곰팡이생물계
2.3. 가설 설정
2.4. 실험
2.4.1. 실험 재료
2.4.2. 실험 방법
2.5. 결과
2.6. 고찰
3. 빵 곰팡이 관찰, 식품 속 세균의 그람염색
3.1. 원리 및 이론
3.1.1. 식빵에 번식하는 곰팡이와 방부제의 유무
3.1.2. 식품에서 분리한 세균의 그람염색관찰
3.2. 목적
3.2.1. 식빵에 번식하는 곰팡이의 형태학적 구조 확인
3.2.2. 식품에서 분리한 세균의 그람염색관찰
3.3. 실험방법 및 사진
3.3.1. 빵과 양파껍질의 곰팡이 관찰
3.3.2. 식품에서 분리한 세균의 그람염색
3.4. 결과 및 고찰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곰팡이의 분리 및 배양
1.1. 실험 목적
곰팡이는 토양, 물, 공기 등의 자연 환경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세균에 비해 크고 복잡한 구조를 가진 다세포의 균사상 진핵세포 생물로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형태학적으로 곰팡이를 분류하는 것은 실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실험 이론 및 원리는 다음과 같다.
실험 배경 배지의 pH를 낮추거나 살리실산나트륨 등의 화학 약품을 첨가하면 세균이나 효모의 발생이 억제되어서 곰팡이를 분리하기가 쉽다. 따라서 곰팡이의 내산성을 이용하여 구연산 발효에 사용되는 흑국 곰팡이를 분리한다. 곰팡이는 토양, 물, 공기 등의 자연 환경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세균에 비해 크고 복잡한 구조를 가진 다세포의 균사상 진핵세포 생물로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형태학적으로 곰팡이를 분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1.3. 실험 기구 및 시약
실험 기구 및 시약은 다음과 같다.
재료로는 토양, 멸균 생리식염수, 멸균 1N HCl이 사용되었다. 기구로는 Petri Dish, 멸균 Pipette, 삼각 플라스크, 시험관, 전자저울, Micro Pipette, 배양기가 사용되었다. 배지로는 Potato Dextrose agar가 사용되었다. Potato Dextrose agar는 감자 추출물 200g, Dextrose 20g, Agar 15g, 증류수 1ℓ로 구성되며 pH는 5.1이다.
1.4. 실험 방법
실험 방법이다.
먼저 목적하는 장소로부터 토양을 채취한다. 채취한 토양 1g을 멸균된 생리식염수 10㎖에 넣고 볼텍스 믹서로 섞는다. 이 중 1㎖를 각각 2개의 Petri Dish에 분주한다. 하나의 Petri Dish에는 마이크로 Pipette을 사용해 HCl 1㎖를 첨가하고 다른 Petri Dish에는 첨가하지 않는다. 이후 배지를 적당량 부은 뒤 배지가 고르게 섞이도록 S자 형태로 Petri Dish를 움직인다. 완성된 Petri Dish를 배양기에 넣고 2~3일간 배양시킨다.
1.5. 실험 결과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사용한 HCl의 양은 1㎖이며 채취한 토양의 무게는 1g이었다. 배양 시간은 2~3일이었고 배양 온도는 25℃였다. 배양 결과, 토양만을 첨가한 Petri Dish에서는 다른 곰팡이도 자라 Petri Dish를 가득 채웠지만, HCl을 첨가한 Petri Dish에서는 군데군데 곰팡이가 자란 모습이었다. HCl을 첨가하지 않은 Petri Dish에서는 털곰팡이도 자라 Petri Dish의 뚜껑에도 붙어있는 모습이었다. 이를 통해 털곰팡이는 내산성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HCl을 첨가한 Petri Dish에서 자란 곰팡이는 하얀색의 원형 곰팡이였는데, 이는 본래 균총이 선홍색 또는 자색을 띠고 균사 내에서 홍색 또는 도색의 색소를 생산하는 흑국 곰팡이와는 다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실험에서 배양된 곰팡이는 흑국 곰팡이가 아닌 다른 종의 곰팡이인 것으로 추측된다.
1.6. 토의 사항
흑국곰팡이가 배양되지 않아 이번에는 염산 첨가의 유무에 따른 차이점을 살펴보기 위해 하나의 Petri Dish에는 염산 1㎖를 첨가하고 다른 Petri Dish에는 첨가하지 않았다. 그 결과 토양만을 첨가한 Petri Dish에서는 다른 곰팡이도 자라 Petri Dish를 가득 채웠고, 염산을 첨가한 Petri Dish에서는 군데군데 곰팡이가 자란 모습이었다. 염산을 첨가하지 않은 Petri Dish에서는 털곰팡이도 자라 Petri Dish의 뚜껑에도 붙어있는 모습이었다.
염산을 첨가하지 않은 Petri Dish에서 자라고 염산을 첨가한 Petri Dish에서는 자란 것을 보면 이 털곰팡이는 내산성이 아닌 것 같다. 염산을 첨가한 Petri Dish에서 자란 곰팡이는 하얀색의 원형 곰팡이였는데 흑국 곰팡이는 본래 균총이 선홍색 또는 자색을 띠고 균사 내에서 홍색 또는 도색의 색소를 생산하는데 왜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일까? 흑국 곰팡이가 아닌 다른 곰팡이가 자란 것일까?
본 실험에서 배양이 되었다. 염산을 첨가하고 배지를 붓기까지의 시간이 그리 짧지 않았는데 실험에서는 염산을 첨가하자마자 10초 이내로 배지를 부어서 염산에 의해서 내산성 곰팡이도 죽지 않은 것 같다. 내산성 곰팡이도 염산에 의해서 죽을 수 있다는 것이 약간 이상했다. 염산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내산성 곰팡이도 죽을 수 있는 것일까? 아니면 또 다른 이유가 있는 것일까?
지난번...
참고 자료
식품과학, 허태련, 유한문화사, 2008
식품종합실험실습서, 박동기, 유한문화사, 2006
생물학실험.한국생물과학협회, 아카데미서적, 2006
식품미생물학 실험서, 박신인, 남은숙, 2004
미생물학, 최호형, 아카데미서적, 2004
오병운 외, ⌜일반생물학 실험서⌟, 바이오사이언스, 2021, pp.215-220.
푸른곰팡이.” 네이버 지식백과. 2022년 11월 26일 접속.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03388&cid=61232&categoryId=61232
송이.” 네이버 지식백과. 2022년 11월 26일 접속.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14782&cid=40942&categoryId=32106
깜부기균.” 네이버 지식백과. 2022년 11월 26일 접속.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31361&cid=60261&categoryId=60261
깜부기병.” 네이버 지식백과. 2022년 11월 26일 접속.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82254&cid=62861&categoryId=62861
김경진 저자, 2020, 기본 의약 미생물학 및 실험, ㈜ 바이오사이언스출판, p.16 ~ 19
Aifred Brown외 1인 공저, 2015, 밴슨의 미생물학 실험, 동화기술출판, p.129 ~ 133
강옥주 외 3인 저, 2018, 재미있는 식품 미생물학, 수학사출판, p.9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