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신분석이론에서 프로이드 심리성적발달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의 차이점을 서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이론
2.1. 심리성적발달이론의 정의
2.2. 심리성적발달이론의 단계
2.3. 심리성적발달이론의 특징
3.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3.1.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의 정의
3.2.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의 단계
3.3.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의 특징
4.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의 차이점
4.1. 중심 개념의 차이
4.2. 발달 단계의 차이
4.3. 발달에 대한 접근 방식의 차이
4.4. 사회적 영향의 차이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프로이드와 에릭슨 모두는 발달심리학에서 인간의 정신세계를 연구하였던 대표적인 학자들이다. 기본적으로 발달심리학은 인간의 전 생애에 걸친 모든 발달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한다는 특징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물리학 및 생물학 등의 과학 분야처럼 문제적 상황을 발견해 정해진 절차에 의거해 진위를 가려내는 가설 검증 방법을 활용한다. 아울러 인간의 전 생애에서 시기별로 발현되는 발달의 특징은 매우 상이하므로 연령대별로 시기를 구분해 발달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프로이드와 에릭슨은 이와 같은 발달심리학의 기본 인식을 토대로 하여 인간의 자아를 연구했다. 그들은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인간의 정신세계를 연구했는데, 프로이드와 에릭슨은 각각 심리성적 발달이론과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을 정립했다. 토대가 같기 때문에 두 이론에는 공통점도 많지만 분명히 차이점도 존재한다. 이에 나는 본 글을 통해 두 이론의 차이점에 대해 논해 보고자 한다.
2.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이론
2.1. 심리성적발달이론의 정의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이론은 인간의 성격이 선천적 역동과 이성적 통제 사이의 대립적 갈등으로 형성된다는 주장을 기반으로 한 이론이다. 이 이론은 프로이드 이론의 핵심인 리비도가 인간의 생애 발달 과정의 단계마다 집중되는 특정 부위가 존재하고를 그에 따라 독특한 단계별 발달이 촉진된다는 관점을 담고 있다.""
2.2. 심리성적발달이론의 단계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이론에서는 인간의 발달이 이루어지는 동기를 욕구로 보고, 이러한 인간의 욕구가 인간 성격의 발달을 가져온다고 본다. 그의 이론에서는 인간의 발달 단계를 구강기부터 성기기까지 총 5단계로 분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프로이드는 인간의 발달 단계를 ① 구강기(0-2세), ② 항문기(2-3세), ③ 남근기(3-6세), ④ 잠복기(6-12세), ⑤ 생식기(12세 이후)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각 단계는 성 에너지(리비도)가...
참고 자료
신명희 외, 발달심리학, 학지사, 2017.
정옥분, 영유아발달의 이해, 학지사, 2018.
김경희, 에릭슨과 프로이드의 성격발달 이론의 비교 분석, 대한산업경영학회, 2009.
전 생애 인간발달의 이론(정옥분, 학지사)
한 권으로 읽는 프로이트(지그문트 프로이트, 임홍빈 외 1명, 열린 책들
전생애 인간발달의 이론(정옥분, 학지사)
영유아발달 교안
정옥분. 영유아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