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다중지능이론 개념
1.1. 다중지능의 특성
다중지능이론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개개인은 이 여덟 가지 지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이 이론은 어떤 사람에게 맞는 한 가지 지능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개개인이 정도의 차이가 나겠지만 이 여덟 가지 지능을 모두 갖고 있다고 보며, 여덟 가지 지능이 합해져서 독특한 방식을 가진 한 사람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독일의 시인이자, 과학자이며 철학가인 괴테처럼 어떤 사람은 여덟 가지 지능이 모두 뛰어날 수 있고, 야구선수 박찬호처럼 한 가지 지능이 다른 지능에 비해 특히 우수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박찬호 선수가 신체-운동적 지능만 우수한 것은 아니며, 그는 다른 지능들도 뛰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모든 사람은 각각의 지능을 적절한 어떤 수준까지 개발시킬 수 있다. 가드너는 모든 사람들이 적절한 여건(용기, 좋은 내용, 좋은 교육)만 주어진다면, 비교적 높은 수준의 성취를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가 예로 든 스즈키 재능 교육 프로그램은 이를 잘 보여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여덟 가지 지능들은 여러 가지 복잡한 방식으로 함께 작용한다. 지능들은 항상 서로 교류하면서 작용하기 때문에, 특정 활동을 할 때 여러 지능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 여러 지능들을 각각으로 분리하여 어떤 특출한 하나만을 집중적으로 계발하자는 것이 아니라, 서로 협응하여 작용하는 방식으로 계발해야 한다는 것이 다중지능이론의 핵심 내용이다.
넷째, 각 지능 영역 내에서도 그 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많은 방법들이 있다는 것이다. 어떤 지능 영역에 있어서 지능적이라고 간주되어질 수 있는 한 가지 표준화된 특성은 없으며, 개인마다 서로 다른 방식으로 지능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다중지능이론은 개개인이 가진 독특한 지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풍부한 방법을 추구할 뿐만 아니라 각 지능들 사이의 관계를 통한 지능 향상 방법을 추구한다.
1.2. 다중지능의 이론적 배경
다중지능이론의 이론적 배경은 전통적인 단일 지능관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전까지 지능은 언어적 능력과 논리수학적 능력으로 국한되어 왔지만, 가드너는 이러한 관점이 너무 협소하다고 보았다"" 그는 인간은 단순한 지적 능력의 차이가 아니라 서로 다른 유형의 지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각 지능은 독립적이고 동등한 가치를 지닌다고 주장하였다""
가드너가 제안한 다중지능 이론의 이론적 배경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기존의 단일 지능관을 비판하고 지능의 다양성을 강조한 것이다"" 가드너는 단일 지능관이 언어적, 논리수학적 능력에 편중되어 있다고 보았으며, 이는 인간의 능력을 지나치게 협소하게 해석한 것이라고 지적하였다"" 둘째, 뇌 손상 환자에 대한 관찰을 통해 특정 영역의 지능이 손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영역의 지능은 정상적으로 발휘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가드너는 지능이 서로 독립적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문화적 상대주의의 관점을 도입하였다"" 가드너는 지능의 개념이 문화마다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따라서 지능을 평가할 때에는 문화적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가드너는 기존의 단일 지능관을 비판하고 다중지능이론을 제안하였다"" 그는 인간의 지적 능력을 언어, 논리수학, 신체운동, 공간, 음악, 대인관계, 자기성찰, 자연친화 등 8개의 독립적인 지능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는 지능의 개념을 확장하고 인간의 다양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