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자원봉사활동은 이전에는 자선적, 시혜적 성격으로 이루어졌지만 이제는 이와 같은 자원봉사에서 나아가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 수혜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고 사회적으로도 부족한 국가의 사회복지서비스를 보충하고 민주주의 사회를 실현하는 실천 운동으로서도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국가에서도 자원봉사활동에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들을 마련하고 있는데 본론에서는 자원봉사의 역사가 우리나라보다 먼저 시작된 영국, 미국, 일본의 자원봉사활동의 역사와 실태를 설명할 것이다.
2. 영국의 자원봉사활동 역사와 실태
2.1. 기초기: 비조직화시기
영국의 자원봉사활동 초기 단계인 기초기 시기는 16세기부터 18세기 말까지로, 이 시기에는 국민복지와 관련하여 국가의 책임이 부분적으로 수행되었다. 당시 영국 사회에는 휴머니즘 철학과 사상, 중상주의가 등장하였고, 신흥 종교 신자들을 중심으로 개별적이고 집단적인 자선활동이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영국 식민지에서 자국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군대에 입대한 지원병들을 자원봉사자로 간주하였으며, 경제적으로 안정된 일부 신흥 종교 신자들을 중심으로 자선 활동이 전개되었다. 이처럼 영국의 기초기 자원봉사활동은 국가책임이 제한적이었으며, 개인과 민간 차원의 자선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2.2. 형성기: 민간 차원의 조직화 시기
19세기부터 1900년까지의 '형성기: 민간 차원의 조직화 시기'는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빈곤과 실업 문제가 발생하면서 민간 차원에서 자발적인 활동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이 시기 영국에서는 시민들이 활발하게 자발적 활동을 하며 자선조직 등 민간 활동이 급성장하게 되었다. 1869년에는 자선조직협회가 만들어졌는데, 이는 민간사회복지를 비판하면서 등장한 것이다. 또한 우애방문원이 활동하면서 최초의 조직화된 자원봉사활동이 이루어졌다. 이처럼 영국 사회에서는 산업화로 인한 폐해를 극복하고자 하는 중류층의 이타주의와 사회개량주의를 기반으로 자발적인 자선활동이 전개되었다. 이러한 민간의 자발적 노력은 자원봉사활동의 시발점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2.3. 확대기: 정부 주도 아래의 육성시기
확대기: 정부 주도 아래의 육성시기에는 1905년부터 1978년까지의 시기로, 복지국가가 등장하면서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국가 책임이 강화되었다. 민간사회복지기관의 역할도 새롭게 전환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으로 민간활동이 더욱 촉진되었으며, 1924년에는 전국자원봉사조직협의회를 창설하였다. 1942년 발표된 베버리지 보고서를 통해 복지국가 서비스 보완을 위한 개인의 자발적 노력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1960년에는 자선법, 지방정부사회복지서비스법이 발표되면서 자원봉사활동을 지원하였고, 1962년에는 지역사회봉사 자원봉사자특별위원회, 청년자원봉사자가 발족되었다. 1968년에는 자원봉사자가 증가하면서 훈련과 원조와 관련된 실천적 전문가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1975년에는 자원봉사자와 유급 사회복지사 간 관계를 규정한 드레인 지침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영국의 자원봉사활동이 정부 주도 아래 육성되어 온 시기였음을 알 수 있다.
2.4. 재정립기: 공/사 협력시기
영국의 자원봉사활동은 1979년부터 현재까지의 재정립기에 접어들며 자원봉사활동 육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는 복지국가의 침체기에서 복지다원주의가 강조되는 전환기로, 자원봉사활동의 육성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특히 1992년에 개정된 자선 법을 통해 소규모 지방 자원봉사단체들의 활동이 현대화되었으며, 이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법적 체계가 마련되었다.
또한 기업, 개인, 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