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의료팀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보건의료팀 내 전문분야 간 협력 및 업무조정
1.1. 보건의료의 정의와 보건의료인
1.2. 병원조직의 특징과 협력의 필요성
1.3. 성공적인 협력관계의 특징
1.4. 업무조정의 역할
1.5. 업무조정 역할의 중요성
1.6. 병원조직에서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안
2. 간호단위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분야 간 협력관계 사례
2.1. 간호단위의 협력부서 파악
2.2. 간호단위의 협력관계 내용
2.3. 건강문제해결을 위한 전문분야 간 협력관계 증진방안
3. 의료진 및 타부서와의 협력하여 진단, 치료계획 수립 및 조정에 참여
3.1. 병원조직의 구성
3.2. 협력 및 상호의존성
3.3. 진단, 치료계획 수립, 조정에 참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보건의료팀 내 전문분야 간 협력 및 업무조정
1.1. 보건의료의 정의와 보건의료인
"보건의료"란 국민의 건강을 보호, 증진하기 위하여 국가, 지방자치단체, 보건의료기관 또는 보건의료인 등이 행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 보건의료기본법 제3조 1항에 따르면 "보건의료"는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하여 국가, 지방자치단체, 보건의료 기관 또는 보건의료인 등이 행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보건의료인"이란 보건의료 관계 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격, 면허 등을 취득하거나 보건의료서비스에 종사하는 것이 허용된 자를 말한다. 보건의료기본법 제3조 4항에 따르면 "보건의료인"은 보건의료 관계 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격, 면허 등을 취득하거나 보건의료서비스에 종사하는 것이 허용된 자를 의미한다.
보건의료인에는 의료인, 의료기사, 그리고 그 외 기타 의료 계통 면허 및 자격이 있는 직업이 있다. 의료인이란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은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 및 간호사를 말하며, 의료기사란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지도 아래 진료나 의화학적 검사에 종사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의료기사에는 임상병리사, 작업치료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치과기공사, 치과위생사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의한 관계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취득한 면허 또는 자격의 범위 안에서 응급 환자에 대한 응급의료를 제공하는 의료인과 응급구조사로 구성된 응급의료종사자도 보건의료인에 포함된다.
특히 의료인 중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및 간호사는 면허 취득 후 각종 수련과정을 통해 전문의 또는 전문간호사로서의 자격을 취득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보다 전문적인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2. 병원조직의 특징과 협력의 필요성
병원조직은 다양한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업무를 진행하는 전문조직집단이다. 병원 조직은 다양한 전문 인력들로 구성되어 있고 그들의 교육배경이 다양하며 맡은 직무의 직종도 타 조직체보다 다양하다. 이에 따라 병원 내 집단들은 자기중심적 성향이 강하며, 환자진료와 치료라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경쟁적 갈등이 초래되기 쉽다. 병원의 업무는 진료기능과 보조기능 그리고 관리기능이 다양하게 분산되고 업무의 전문성으로 인한 복잡성을 보이고 있다. 그러다 보니 상호간의 협력이 절대적 요소이며, 협력을 통해 최고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구조와 기술, 일과 사람들 사이에서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는 조직은 일의 효율성도 높게 나타나지만, 그렇지 못한 조직은 효율성도 떨어지고 여러 가지 부작용도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중복의 노력이 들지 않도록 의료팀은 역할수행을 하면서 오는 갈등을 서로 개방적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문제해결 통한 새로운 변화와 의료팀원 내의 업무조정이 필요하다.
1.3. 성공적인 협력관계의 특징
팀 구성원 간 신뢰 수준이 높고, 의사소통이 개방적이며, 조직의 미션과 목표를 공유하고, 팀 구성원이 각자의 역할을 이해하고, 스스로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이 성공적인 협력관계의 특징이다.
팀 구성원 간 신뢰 수준이 높다는 것은 팀원들이 서로를 믿고 존중하며, 책임감 있게 행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팀원들 간 솔직한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팀 구성원들이 개방적으로 의사소통을 하여 서로의 의견을 자유롭게 피력하고 경청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팀원들 간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더불어 팀 구성원들이 조직의 미션과 목표를 공유하고 있다는 것은 팀원들이 공동의 목표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이는 팀 내 결속력을 높이고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팀 구성원들이 각자의 역할을 이해하고 스스로 역량 개발을 위해 노력한다는 것은 팀원들이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인지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팀 내 균형 잡힌 역량 분배가 가능해지며, 팀 전체의 성과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1.4. 업무조정의 역할
업무조정의 역할은 조직 구성원으로 하여금 조직의 공동목표 달성을 위해 모든 활동을 집중하도록 통합화해 주는 것이다"" 병원 조직 내에서 업무조정자는 조직 전체의 질 관리 업무를 기획, 조정, 수행, 평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조직 내부로 관련 직종 및 관련부서와 연계하고, ...
참고 자료
Nursing Management 간호 관리학, 퍼시픽 학술편찬국, 퍼시픽북
학습 성과 기반 간호 관리학, 임영희 외 공저, 수문사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윤혜상(1998), 청구문화사
손은정 『간호사의 역할갈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종래 『병동에서의 전문 인력 간 업무협력에 대한 의사 및 간호사의 인식』
장금성 외 7명 『간호 윤리학과 전문직』 현문사
염영희 외 공저 . 개정 5판 학습 성과 기반 간호 관리학. 수문사
서문경애 외. 간호관리학. 2판. 서울 : 현문사. 2020. p420-423.
권의옥, 이명하, 정석희. 간호사-의사 협력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Acad Nurs Adm. 2019;25(3):186-197. https://doi.org/10.11111/jkana.2019.25.3.186
이임선, 김창희. 병원 간호사와 의사의 갈등관리유형과 의사소통능력 및 협력 간의 관계. Korean J Rehabil Nurs. 2017;20(1):69-78. https://doi.org/10.7587/kjrehn.2017.69
이은경, 김옥현. 간호사의 전문 인력 간 협력과 대인 의사소통 능력. 의료커뮤니케이션. 2009;4(1):49~57
긴화영, 정연진, 강지연, 문현숙. 간호사의 SBAR 환자보고가 의사소통의 명확성과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에 미치는 영향: 단일군 전후실험 설계. J Muscle Jt Health. 2016;23(2):105-113. http://dx.doi.org/10.5953/JMJH.2016.23.2.105
권지은, 박애령, 김순주, 나현오. 영양집중지원팀 자문 순응도에 따른 영양상태 개선효과 비교.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17;34(2):147-156.
홍지연 외. 2009. 간호사-의사 협력, 직무자율성과 조직몰입의 관계.
김종래 외. 2009. 병동에서의 전문인력간 업무협력에 대한 의사 및 간호사의 인식
병원전략경영개발원(신광출판사). 200. 병원경영학
대한병원협회지(채영문 외). 2006. 병원의 지식관리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