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만2세 발달특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아(1세 ~ 2세) 발달 특징
1.1. 신체발달 특징
1.2. 인지발달 특징
1.3. 언어발달 특징
1.4. 사회성발달 특징
1.5. 정서발달 특징
2. 24개월 ~ 36개월 영아 발달 특징
2.1. 신체발달 특징
2.2. 사회성 발달 특징
2.3. 정서발달 특징
2.4. 인지 발달 특징
2.5. 언어 발달 특징
3. 만 2세 반 환경 구성과 자료
3.1. 화장실 가기
3.2. 낮잠 및 휴식 영역
3.3. 역할 놀이 영역
3.4. 쌓기 놀이 영역
3.5. 탐색 활동 영역
3.6. 언어활동 영역
3.7. 미술 활동 영역
3.8. 실외 놀이 영역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아(1세 ~ 2세) 발달 특징
1.1. 신체발달 특징
만 1세 영아의 신체발달 특징은 다음과 같다.
걸음마기 영아는 걷기 시작하고 두 손으로 큰 물건을 집어 올릴 수 있다. 12개월의 영아는 3개의 블록을 쌓아 올릴 수 있다. 18개월에서 24개월이 되면 안정감과 조절력을 보다 많이 획득하여 안정적으로 서고 앉을 수 있으며, 계단을 오르내릴 수도 있다. 또한 빨리 걸을 수 있고 뛸 수 있으며, 양발로 점프하고 공을 차며 자전거 페달도 밟을 수 있다. 18개월이 지나면 소근육 운동이 발달하여 손가락과 손목의 통제력이 증가되어 사물을 비틀고 돌릴 수 있으며, 사물을 놓거나 던질 수 있게 된다. 이 시기 영아는 블록 쌓기, 쏟기, 모으기, 퍼즐 맞추기, 그리기 등의 활동이 가능하다. 또한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어느 한쪽을 보다 우세하게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 시기에 영아는 벗고 입는 등의 자조 기술을 배우게 된다.
1.2. 인지발달 특징
만 1세 영아의 인지발달 특징은 다음과 같다.
영아들은 좋아하고 싫어하는 음식을 구별할 수 있으며, 상징적 표상 능력이 급속하게 발달하고 자신의 세계에 대해 광범위한 영역의 지식을 구성하고 조직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호기심이 왕성해진다. 사라지거나 숨겨진 사물을 다시 찾을 수 있는 대상 영속성이 확고해지면서 영아는 사물이나 사람이 그들이 볼 수 없더라도 존재하고 있음을 안다. 영아들은 타인이 행동을 야기시킨다는 것을 인식하고, 타인의 행동을 모방하는 것이 놀이의 일부가 되고, 또한 지나간 사건도 모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아의 얼굴을 씻어주는 교사의 행위는 나중에 영아가 인형의 얼굴을 씻어주는 모방 형태로 나타난다."만 2세 영아의 인지발달 특징은 다음과 같다.
영아들의 인지 수준은 전개념적 수준에 있다. 그들은 물건을 분류하고, 양(조금, 없다, 크다를 이해하기 시작한다) / 수(더 많음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 공간(위로, 아래로, 뒤로, 앞으로의 방향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 시간(지금, 곧의 개념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등의 개념에 대해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사고의 발달이 시작된다. 대상 영속성의 개념이나 지연된 모방 활동이 완전하게 형성되며, 상징 기능의 발달이 시작되는데, 이는 이후의 정신적 표상 능력의 시작이다. 즉 이 시기의 영아는 행동하기 전에 생각하거나 머릿속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호기심이 많기 때문에, 무엇이 소리를 나게 하는지, 물건들이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그리고 움직임들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발견하기 위해 탐색하며, 탐색의 과정에서 초보적인 관찰, 질문, 조작, 분류 그리고 측정의 활동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영아는 소유한 사물들에 관한 물리적인 지식들을 계속 형성해 가며, 연관성에 관한 논리·수학적 지식을 형성하고, 언어와 사회 규칙과 가치에 관한 임의적인 사회적 지식도 형성하게 된다."
1.3. 언어발달 특징
만 1세 영아의 언어발달 특징은 다음과 같다.
영아는 언어적 발달이 매우 급속히 일어나는 시기로 두 단어를 조합하여 사용하면서 유아들의 언어 모방능력이 급격히 발달한다. 영아는 자신의 언어를 사용해서 요구를 표현하고, 다른 사람에게 지시하며, 질문한다. 특히 걸음마기는 영아가 사물의 이름을 계속 질문함으로써 양육자를 그들 주변에 묶어두게 되는 시기이다. 영아들은 그들이 듣는 단어를 열심히 발음하고 그 단어의 사용을 탐색한다. 또 걸음마기 영아는 성인의 간단한 한두 단계의 발화 지시를 따를 수 있다.
교사는 영아의 언어발달을 촉진하기 위해 영아에게 짧은 문장으로 말하고, 보다 더 분명하게 발음하며, 영아가 포함되는 상황에 대해 이야기해야 한다. 또한 영아의 말을 확장시키고, 모방하는 등의 반응을 해주어야 한다. 읽기와 책은 이 시기 영아들에게 즐거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유아용 도서를 영아들에게 제공하고 함께 읽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만 2세 영아의 언어발달 특징은 다음과 같다.
언어 발달이 가장 활발한 시기이다. 사물의 이름에 관한 흥미가 아주 강하며, 끓임 없이 사물의 이름을 물어보고 다른 사람의 이름을 알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호기심이 강해 이 시기에 가장 아이들이 많이 사용하는 말은 "이게 뭐야?"가 가장 많을 것이다. 끓임 없이 물어보면서 5~6개의 새로운 낱말을 익히고 천여 개의 낱말을 사용해서 말을 할 수 있게 된다. 어휘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2~3개의 낱말로 된 문장을 활용할 수 있으며, 존댓말 부정문 사용이 가능해진다.
만2세 전후가 되면 아이들은 말로 자기 의사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명사 혹은 형용사와 명사를 연결하여 말을 하며, 명사와 동사만을 연결시켜 사용하던 언어에 동사와 조사가 붙기 시작하고, '나', '너'라는 대명사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자주 듣는 단어에 한정돼 있기는 하지만 형용사와 부사도 섞어 쓸 수 있다.
교사는 영아들의 쓰기 행동 모델이 될 수 있다. 즉 교사는 영아가 보는 앞에서 영...
참고 자료
유아건강교육 /양서원/ 정미라, 배소연, 이영미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치사/ 이숙재
아동발달 /창지사/ 유효순
유아 언어교육 /창지사 /정남미
유아 언어교육 /창지사 /이경화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저자: 정옥분
영유아의 발달과 교육/ 창치사/ 이숙재, 이봉선
이기숙, 강숙현 저,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정민사 2014
김수영, 김수임 외 저,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양서원 2013
황해익, 송연숙 외 저,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공동체 2013
김진원 저, 나눔과 채움 사회복지학 개론, 탑 2012
- 최미현 외 5명 2000 『영유아 보육의 이해』 창지사
- 서영숙, 김경혜 공저 1996 『영유아보육론』 양서원
- 이명조 2008 『영유아 발달과 교육』 양서원
- 조성연 2006 『영유아보육의 이해』 학지사
- 문미옥, 이혜상 공저 2003 『동서양이 만난 유아교육개론』 교육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