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죽음과 죽어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죽음과 죽어감
1.1. 죽어가는 환자에 대한 간호
1.1.1. 죽음에 대한 의료진의 태도
1.1.2. 환자와의 소통과 정서적 지지
1.1.3. 환자의 감정 표현 격려
1.1.4. 통증 완화 간호
1.1.5. 가족과의 의사소통 증진
1.2. 죽음의 5단계
1.2.1. 부정과 고립
1.2.2. 분노
1.2.3. 협상
1.2.4. 우울
1.2.5. 수용
1.3. 희망과 죽음에 대한 태도
1.4. 가족의 대처와 슬픔의 해소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죽음과 죽어감
1.1. 죽어가는 환자에 대한 간호
1.1.1. 죽음에 대한 의료진의 태도
의료진은 죽음을 앞둔 환자들과의 관계에서 종종 감정적 거리를 두고자 한다. 죽음은 의료진들에게도 큰 부담감과 무력감을 안겨주기 때문이다. 그들은 환자를 살리고 병을 치료하는 것이 자신들의 역할이라고 생각하며, 환자가 결국 죽음을 맞이하게 될 때 마음적으로 큰 혼란을 겪게 된다.
의료진들은 자신들이 경험한 무수한 환자의 죽음에도 불구하고, 죽음과 죽어감에 대해 여전히 상당한 두려움과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환자들이 자신의 죽음에 대해 이야기하려 할 때, 의료진들은 이를 피해 가거나 회피하는 태도를 취하게 된다.
환자들이 자신의 죽음을 받아들이고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지만, 의료진들은 오히려 환자들의 죽음을 부인하거나 외면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의료진 자신들이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의료진들은 자신들의 한계를 인정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회복 불가능한 환자의 경우, 더 이상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래서 그들은 무의미한 연명 치료를 지속하거나, 환자와의 대화를 회피하는 등의 태도를 보이게 된다.
이처럼 의료진의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은 환자들의 편안한 임종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의료진들은 자신의 감정을 인정하고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환자들의 임종을 돕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1.1.2. 환자와의 소통과 정서적 지지
환자와의 소통과 정서적 지지는 말기 환자 간호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죽음을 앞둔 환자는 다양한 심리적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환자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서적 지지가 필요하다.
먼저, 의료진은 환자와의 소통 시 환자의 상태와 준비도에 맞추어 접근해야 한다. 퀴블러-로스에 따르면 환자는 죽음에 대한 부정, 분노, 협상, 우울, 수용 등의 단계를 거치는데, 환자가 어느 단계에 있는지 파악하고 그에 맞는 대응이 필요하다. 환자가 죽음을 아직 받아들이지 못한 부정의 단계라면 무리하게 죽음에 대해 이야기하기보다는 환자의 감정을 인정해주고 지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분노의 단계일 경우에는 환자의 분노에 공감하고 이해하려 노력해야 하며, 협상의 단계에는 환자의 소망을 존중하고 이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또한 환자와의 대화 시 환자의 입장에 서서 이해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환자가 느끼는 불안, 두려움, 절망감 등의 감정을 헤아리고 공감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의료진은 환자의 감정을 비난하거나 회피하지 않고 적절히 반응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환자가 분노를 표출할 때는 분노의 근원이 무엇인지 이해하려 노력하고, 환자가 우울해할 때는 그 감정을 인정하고 함께 슬퍼하는 반응을 보일 수 있다.
나아가 환자와의 소통에 있어 정서적 지지도 매우 중요하다. 죽음을 앞둔 환자는 외로움과 고립감을 느끼기 때문에 의료진의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 의료진은 환자의 이름을 불러주고, 침상 곁에 머무르며 환자와 함께 있어주는 등의 행동으로 정서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가족들과의 의사소통도 증진시켜 준다면 환자의 심리적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한편 죽어가는 환자와의 의사소통은 의료진에게도 큰 부담을 줄 수 있다. 환자의 고통과 죽음을 목격하면서 느끼게 되는 무력감, 분노, 우울 등의 감정을 스스로 잘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의료진 자신만의 '통곡의 공간'을 마련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 또한 동료들과 서로의 감정을 공유하고 지지받을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말기 환자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서적 지지는 환자의 심리적 안녕과 편안한 임종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의료진은 환자의 심리 상태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태도로 접근해야 하며, 동료들과의 정서적 지지 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1.1.3. 환자의 감정 표현 격려
환자의 감정 표현을 격려하는 것은 죽어가는 환자에 대한 간호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죽음을 앞둔 환자들은 다양한 감정의...
참고 자료
죽음과 죽어감,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이진 옮김, 청미 출판사, 2018
죽음과 죽어감에 답하다,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이진 옮김, 청미 출판사, 2018
영적 간호중재가 입원한 노인 암 환자의 영적 안녕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주윤선 외, 노인간호학회지, 2020, p. 95-104
선호 음악 감상의 음악치료가 말기암환자의 통증 정도에 따른 정서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이은해 외, 힌국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지, 2012, p. 77-87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