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맥추감사절
1.1. 맥추감사절의 배경과 유래
맥추감사절의 배경과 유래는 다음과 같다.
창조 시대의 아담과 하와는 수고하지 않고도 에덴동산의 풍족한 양식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을 어기고 선악과를 따먹음으로 인해 에덴동산에서 쫓겨나게 되었고, 그 후에는 자신이 수고한 대가로서 땅의 소산을 먹게 되었다. 인류가 씨를 뿌리고 수고함으로 수확을 얻고 그로 인하여 하나님께 감사제를 드린 것은 아담과 하와의 직속 자손인 가인과 아벨의 제사 기사(창 4:3,4)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때 가인은 땅에서 얻은 곡물을, 아벨은 양의 첫 새끼를 하나님께 바치는 제사를 드렸다. 이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추수한 산물과 그것을 주신 이에게 감사하는 풍습은 아주 오랜 전부터 인류에게 있어 왔던 일이다.
그러나 이러한 감사제가 하나의 절기로 자리를 잡은 것은 오랜 시간이 흐른 후였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애굽에서 430년 동안 노예생활을 하다가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받아 모세의 인도로 애굽에서 나오게 되었다. 그리고 모세의 인도를 받아 애굽에서 나온 이스라엘 백성들이 50일째 되던 날, 시내광야에 도착했을 때 하나님께서 모세를 시내 산 위로 부르신 후 십계명을 주셨습니다. 이때 하나님께서 맥추절을 지킬 것을 명령하셨다. 이에 유대인들이 가나안 땅에 정착한 이후, 곡물 추수 감사제를 맥추절이라고 하여 하나의 절기로 기념하였다.
이처럼 백성들이 가나안 땅에서 거둔 곡물의 처음 것을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드리는 것은 그 땅의 진정한 주인이신 하나님께 그 땅에서 생산된 소산물을 돌려드려야 한다는 율법에 기초한 것이다. 이렇게 백성들이 드린 곡식단은 제사장에 의해 하나님께 바쳐졌는데, 바쳐진 제물의 일부는 제단에 드려졌고 그 나머지는 제자상의 몫으로 주어졌다. 그러나 이 절기가 유대의 전통 절기로 확고히 자리를 잡고 연례적인 순례 축제로 정착된 것은 그보다 뒤인 솔로몬 시대였다(대하 12-14장).
이와 같이 맥추감사절은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은혜에 감사함을 나타내는 유대인들의 전통 절기였으며, 그 기원이 창조 초기부터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1.2. 맥추감사절의 성경적/신학적 의미
맥추감사절의 성경적/신학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맥추절은 '초실절' 또는 '첫 열매를 드리는 절기'를 의미한다. 맥추절은 모든 처음 것, 새로 수확한 것, 사람들이 먹거나 쓰지 않은 처음 것을 하나님께 구별하여 드리는 절기이다. 이것은 하나님 제일주의로 사는 것을 말한다. 맥추절을 지킨다는 것은 하나님 제일주의 신앙을 배우는 것이며, 첫 믿음을 찾고 첫 마음을 드리는 것이다. 즉, 처음 것, 첫 마음, 첫 시간, 첫 재물, 첫 기회, 첫사랑 등 모든 처음 것을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 맥추절의 신학적 의미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맥추절은 하나님께 대한 감사를 드리는 절기이다. 맥추절은 한 해의 수확을 끝낸 기쁨 속에서 그 수확을 가능케 해주신 하나님께 기쁨과 감사를 드리는 축제였다. 이를 통해 인생의 모든 것은 오직 여호와께로만 말미암는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고백하고, 일상의 모든 생활을 하나님 중심으로 살아가야 함을 다짐하는 날이기도 하다. 따라서 맥추절은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며, 범사에 감사하는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한 신학적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맥추절은 '계속'의 의미를 지닌다. 맥추절은 7주간 동안 계속되는 절기이며, 이는 첫 열매의 신앙, 감사의 생활, 헌신의 자세, 봉사의 마음이 계속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즉, 우리의 신앙은 끈질기게 계속되어야 하며, 가정과 교회, 나아가 국가와 세계 복음화 사역 또한 계속되어야 한다는 것이 맥추절의 신학적 의미라고 할 수 있다.
넷째, 맥추절은 '성령 강림'을 상징한다. 오순절은 맥추절과 동일한 절기로, 이 날 성령께서 강림하셔서 교회가 탄생하고 예수께서 부활의 첫 열매가 되심으로 성도들도 첫째 부활에 참여하게 될 것을 뜻한다. 따라서 맥추절은 성령의 강림과 교회의 탄생을 기념하는 절기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맥추감사절은 성경적으로 처음 것을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며, 신학적으로는 하나님 제일주의 신앙, 감사의 생활, 계속의 의미, 성령 강림을 상징하는 의미 있는 절기라고 할 수 있다."
1.3. 맥추감사절의 지키는 방법
맥추감사절의 지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맥추감사절은 유대인들의 전통적인 추수감사절로, 초봄에 보리를 수확한 후 가을에 맥추를 수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