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초급, 중급, 고급에 해당되는 어휘 평가 문항을 각각 1문항씩 출제해 보십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어능력시험(TOPIK) 개요
1.1. TOPIK 시험의 목적
1.2. TOPIK 응시 대상
1.3. TOPIK 시험 관리 및 시행 기관
1.4. TOPIK 시험 종류 및 시간
2. TOPIK 시험의 변화
2.1. TOPIK 개편 전 시험 구성
2.2. TOPIK 개편 후 시험 구성
2.3. 등급 판정 방식 변화
3. TOPIK 시험의 평가 기준
3.1. 유형 구분
3.2. 평가 등급
3.3. 평가 영역 및 문항 구성
3.4. 성적별 등급 평가 기준
4. TOPIK 쓰기 영역 분석
4.1. 쓰기 영역 문항 유형 분석
4.2. 쓰기 영역 문항 구성 및 특징
5. TOPIK 쓰기 영역 평가 범주
5.1. 내용 및 과제 수행
5.2. 글의 전개 구조
5.3. 언어사용
6. 한국어능력시험 평가의 중요성
6.1. 한국어능력시험 활용도
6.2. 한국어능력시험 개선 방향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어능력시험(TOPIK) 개요
1.1. TOPIK 시험의 목적
TOPIK 시험의 목적은 크게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외국인 및 재외동포들에게 한국어 학습 방향을 제시하고 세계 속에 한국어를 보급 확대하는 것이다. 즉, 한국어의 국제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 한국어 사용능력을 객관적으로 측정, 평가하여 그 결과를 유학, 취업 등에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 인증을 지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TOPIK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언어적 성취도를 평가하고 인증하는 대표적인 시험이라고 할 수 있다.
1.2. TOPIK 응시 대상
TOPIK 응시 대상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외국인 또는 재외동포로서 한국어 학습자 및 국내외 대학 유학 희망자, 국내외 한국기업체 및 공공기관 취업 희망자, 외국 학교 재학 또는 졸업자(재외국민)이다. 즉, TOPIK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한국어를 모르거나 부족한 외국인 및 재외동포들이 주 응시 대상이라 할 수 있다.
1.3. TOPIK 시험 관리 및 시행 기관
TOPIK 시험 관리 및 시행 기관은 다음과 같다.
TOPIK 시험의 사업 지도 및 감독은 교육부가 담당하며, 시험 출제, 인쇄, 채점 등의 업무는 국립국제교육원이 수행한다. 그리고 시험 시행기관은 국내 53개 지역과 해외 82개국 238개 지역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지역에서 시험이 실시되고 있다.
1.4. TOPIK 시험 종류 및 시간
TOPIK 시험은 크게 초급, 중급, 고급의 두 종류로 나누어져 있다. 초급에 해당하는 TOPIK I은 듣기와 읽기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총 40문항에 60분의 시험 시간이 주어진다. 중급에 해당하는 TOPIK II는 듣기, 읽기, 쓰기의 3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90문항에 140분의 시험 시간이 주어진다. 따라서 TOPIK 시험은 그 종류와 시간이 각 급별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2. TOPIK 시험의 변화
2.1. TOPIK 개편 전 시험 구성
TOPIK 개편 전 시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회에서 9회차까지 TOPIK 시험은 4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1교시에는 어휘 및 문법 30문항 45분, 쓰기 14문항 45분이 있었고, 2교시에는 듣기 30문항 45분, 읽기 30문항 45분이 있었다"".
중급과 고급 수준의 TOPIK II 시험 또한 4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었는데, 1교시에는 어휘 및 문법 30문항 45분, 쓰기 15~16문항 45분이 있었고, 2교시에는 듣기 30문항 45분, 읽기 30문항 45분이 포함되었다"".
따라서 TOPIK 개편 전 시험은 어휘 및 문법, 쓰기, 듣기, 읽기 등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를 통해 종합적인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고자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2. TOPIK 개편 후 시험 구성
TOPIK 개편 후 시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014년 7월 35회 시험부터 새로운 형태로 개편된 시험이 시행되었다. TOPIK |와 TOPK ||로 구분되어 있던 시험이 통합되어 TOPIK으로 일원화되었다. TOPIK |은 초급 수준에 해당되었으며 평가영역이 4개 영역(어휘 및 문법, 쓰기, 듣기, 읽기)에서 2개 영역(듣기, 읽기)으로 변경되었다. TOPK ||는 중급·고급 수준에 해당되었으며 4개 영역(어휘 및 문법, 쓰기, 듣기, 읽기)에서 3개 영역(읽기, 듣기, 쓰기)으로 변경되었다. 즉, 쓰기 영역이 유일하게 초급과 중·고급 시험 모두에 포함되게 되었다"
2.3. 등급 판정 방식 변화
개편 후 종합점수에 의해 등급이 판정되는데, 이는 기존의 토픽과 달리 등급별 합격점수를 미리 공고하지 않고 출제가 완료된 후에 등급 판정을 위한 수준 설정을 하게된다. 따라서 탈락 점수와 등급 분할점수가 출제 완료 후에 산출된다""개편 전 토픽 시험은 등급별 합격점수를 미리 공고했으나, 개편 후 토픽 시험은 출제가 완료된 후 문항별 수준 설정을 통해 등급 판정에 필요한 수준을 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탈락 점수와 등급 분할점수가 출제 완료 후에 산출되는 것이 변경점이다. 이러한 등급 판정 방식의 변화는 기존 시험 방식에 비해 보다 유연한 평가 체계를 갖추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3. TOPIK 시험의 평가 기준
...
참고 자료
김선정(2011),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제 분석」, 새국어생활 21 제3호, 국립국어원
라-스미스 안젤라, 변우영(2011),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어휘문법 영역의 문항 목록 분석」, 한국어교육 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박석준(2011), 「한국어능력시험(TOPIK) ‘어휘문법’ 영역에 대한 논의」, 문법교육15, 한국문법교육학회
안주호(2017), 「한국어교육을 위한 상대높임법 등급 체계에 대한 제안」, 동악어문학 72, 동악어문학회
우창현(2018), 「다문화 학습자 대상 한국어 읽기 능력 평가-한국어능력시험 52회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다문화 8,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유해준(2012), 「한국어 능력 시험 문항 유형 분석: TOPIK을 중심으로」, 한국어정보학 14, 한국어정보학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0), 「한국어능력시험 15년사」, 2010
TOPIK 홈페이지 http://topik.go.kr
김민경. (2012). 학문 목적 한국어능력시험을 위한 평가 유형 연구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국어교과교육연구, 20, 103-139.
김금숙. (2019). 한국어능력시험(TOPIK) 쓰기 완성형 문항 분석 및 개선 방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55, 57-86.
오빛나래. (2013)."한국어능력시험의 쓰기 문항 분석 및 개선방안." 국내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광주
한국문화사, 한국어 교육론3, 민현식 외(2005)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외국으로서의 한국어교육론, 우형식(2006)
박이정출판사, 외국으로서의 한국어교육학, 허용 외(2005)
박이정출판사, 한국어 어휘교육 연구, 조현용(2000)
유씨엘, 한국어교육의 실제, 조현용(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