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공공도서관 독서문화프로그램 현황조사 및개선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도곡정보문화도서관 '도곡서화' 서비스 평가
1.1. 평가 개요
1.1.1. 평가 대상
1.1.2. 평가 목적
1.2. 선행연구 분석
1.3. 평가 실행 방법
1.3.1. 모집단 및 참여 대상
1.3.2. 평가 기법
1.3.3. 평가 문항 구성
1.3.4. 사후 인터뷰 문항
1.3.5. 평가 일정
1.4. 평가 준비과정
1.4.1. 피드백 결과
1.4.2. 평가 방법 및 문항 개선점
1.5. 예상되는 평가 결과
1.6. 서비스 개선 방향 제안
1.7. 참고문헌
2. 도곡정보문화도서관의 교육서비스 평가
2.1. 문제점 확인
2.2. 분석 범위 결정
2.3. 선행연구 분석
2.4. 분석 방법 결정
2.5. 필요 데이터 결정
2.6. 분석 실행 및 보고서 작성
2.7. 서비스 개선을 위한 활용
2.8. 참고문헌
3. 지역대표도서관 분석 및 사회적 평가
3.1. 연혁과 역사, 조직과 인력, 장서 현황
3.1.1. 전남도립도서관
3.1.2. 제주한라도서관
3.2. 연면적과 공간규모, 층수, 층별 도면, 공간구성과 특징
3.2.1. 전남도립도서관
3.2.2. 제주한라도서관
3.3. 건축 및 공간구성의 문제와 개선방안
3.3.1. 건축 및 공간구성의 개념
3.3.2. 전남도립도서관
3.3.3. 제주한라도서관
3.4. 사회적 평가
3.4.1. 전남도립도서관
3.4.2. 제주한라도서관
3.4.3. 종합적인 평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도곡정보문화도서관 '도곡서화' 서비스 평가
1.1. 평가 개요
1.1.1. 평가 대상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도곡정보문화도서관에는 도서를 다양한 주제대로 추천하고, 이를 목록집으로 묶어 제공하는 서비스인 도서 추천 서비스 '도곡서화'를 운영 중에 있다. '도곡서화'는 2013년에 처음 시작되었고, 2017년, 그리고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꾸준히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시간의 흐름을 거쳐 여러 이용자 조사와 연구를 통해 매년 새로운 목차를 추가하는 등 계속해서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1.2. 평가 목적
평가 목적은 우선 이용률 확대를 위한 현황 분석이다. '도곡서화' 서비스는 내용의 풍부함에 비해 인지도가 높지 않은 편이다. 도곡정보문화도서관 홈페이지의 '도곡서화' 페이지 조회수가 매년 100명대에 그칠 정도로 부진한 편이기 때문에, 이용률 개선을 위해 현재의 문제점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목적은 더욱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배포 플랫폼 개선 방향 제시이다. '도곡서화'는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찾기가 쉽지 않아 배포 플랫폼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도서관의 SNS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하여 배포 경로를 확대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는 영향력 확대를 위한 콘텐츠 내용 개선 방안 구성이다. 이용자 관점에서 현재 제공되는 콘텐츠의 충분성을 평가하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도출하고자 한다.
1.2. 선행연구 분석
김경옥에 따르면, 시민에게 양질의 도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공공도서관의 주요 역할이며 도서관 서비스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위해서는 타 서비스와 구별되는 특화된 도서 추천이 필요하고, 도서 추천은 여러 계층의 시민에게 필요한 도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기에 다양한 종류의 추천 도서가 필요하다고 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타 서비스와 구별되는 다양한 종류의 추천 도서를 담은 '도곡서화' 서비스가 김경옥의 기준에 적합한 서비스라는 것이다.
또한 김주희에 따르면 권장도서목록은 학생들의 독서능력과 독서흥미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현재 권장 도서 목록의 활용도가 매우 저조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서관 프로그램 및 행사를 통해 활용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보면, '도곡서화'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품질 자체의 개선보다는 홍보나 활용 방안 제시 부분을 확충하는 것이 더 좋은 길이라는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1.3. 평가 실행 방법
1.3.1. 모집단 및 참여 대상
모집단은 '2021 도곡서화 서비스를 이용해 '도곡정보문화도서관을 한 번 이상 이용해본 이용자들'로 변경되었다"이다. 평가 참여 대상은 도곡정보문화도서관에 위치한 강남구의 주민들 중 도곡정보문화도서관을 한 번이라도 이용해본 이용자들로 선정되었고, 계획하는 표본의 수는 50명이다.
1.3.2. 평가 기법
평가 기법은 양적 기법인 설문조사와 질적 기법인 인터뷰를 활용할 계획이다.
먼저 설문조사는 워드로 문항을 제작할 것이며, 프린트하여 실물로 공유하고 응답을 받을 계획이다. 응답은 도곡정보문화도서관의 출입구에서 5일 가량 직접 받을 것이다. 또한 기술 통계를 활용하여 간단한 통계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다.
인터뷰의 경우 이전에 진행한 설문조사의 응답자 중 성실하게 응답한 5명을 선정하여 대면으로 사후 인터뷰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도곡서화' 서비스를 이용해보지 않은 응답자에게는 직접 책자를 제공하여 읽어보고 평가하게 할 계획이다. 인터뷰 결과에서는 키워드를 추출하여 이용자들의 전체적인 관심과 선호를 분석할 것이다.
1.3.3. 평가 문항 구성
평가 문항 구성은 다음과 같다"" 설문지에서는 파트를 나누어 포괄적인 인적사항부터 서비스에 대한 세부적인 의견까지 질문한다. 먼저 1번에서 귀하의 성별과 2번에서 연령대, 3번에서 직업을 물어본다. 이어서 I. 인적사항 파트에서 도서관 이용 빈도와 주된 이용 목적에 대해 질문한다. 다음으로 II. 서비스 인지 및 이용 파트에서 '도곡서화' 서비스에 대한 인지 경로와 홍보 정도에 대해 묻는다. III. 서비스 이용 현황 파트에서는 실제 서비스 이용 여부와 이용 이유, 선호하는 주제 등을 조사한다. IV. 서비스 만족도 파트에서는 접근성, 편의성, 전반적인 만족도와 추천 의향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의 전반적인 의견과 선호도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1.3.4. 사후 인터뷰 문항
사후 인터뷰 문항은 다음과 같다:
1. 인적사항 (자기소개)
이용자들의 인적 사항을 파악하여 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집하고자 한다. 설문지에서 제공된 기본적인 정보 외에도 이용자들의 직업, 생활 패턴 등 심층적인 내용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다양한 관점을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2. (서비스를 이용해본 적이 있다면) 읽어 본 추천 도서가 있는가?
2-1. (있다면) 해당 도서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하였는가?
2-2. (만족 또는 불만족의) 이유는 무엇인가?
이용자들이 직접 경험한 '도곡서화' 서비스의 내용과 만족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특정 추천 도서에 대한 의견을 통해 서비스의 콘텐츠 구성이 이용자들의 기대에 부합하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만족도가 높거나 낮은 이유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향후 서비스 개선에 활용하고자 한다.
3. 타 도서 추천 서비스를 이용해본 적이 있는가?
3-1. (있다면) 어떤 서비스가 더 유용했는가?
3-2. 그 이유는 무엇인가?
'도곡서화' 서비스와 다른 도서 추천 서비스를 비교하여 상대적인 장단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용자들이 다른 서비스를 경험해본 경우, 어떤 점에서 더 유용했는지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도곡서화' 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 해당 도서관의 정보를 얻는 창구로 어떤 것을 주로 활용하는가?
이용자들이 '도곡서화' 서비스를 포함한 도서관 정보를 얻는 주된 경로를 파악하고자 한다. 홈페이지, SNS, 오프라인 매체 등 다양한 접근 채널 중 어떤 경로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지 확인하여, 향후 서비스의 효과적인 배포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5. 배포 플랫폼을 확대한다면 어떤 플랫폼이 접근하기 편하다고 생각하는가?
'도곡서화' 서비스의 배포 플랫폼 확대와 관련하여, 이용자들이 어떤 플랫폼을 통해 접근하는 것이 편리할지 의견을 수집하고자 한다. 도서관 홈페이지 외에 SNS, 모바일 앱 등 다양한 채널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을 것이다.
6. 추천 도서 독서를 통해 참여할 수 있는 이벤트가 진행된다면 참여할 의향이 있는가?
6-1. 의향이 없다면, 어떤 보상이 있어야 참여할 것인가?
'도곡서화' 서비스와 관련된 독서 이벤트에 대한 이용자들의 참여 의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벤트 참여 의사가 있는지, 없다면 어떤 보상이 필요할지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이용자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7. 추천 도서를 직접 읽을 수 있는 정기적인 프로그램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가?
'도곡서화' 서비스의 추천 도서를 직접 다루는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자들의 참여 의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8. 기타 서비스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부분이 있었다면?
설문 내용 외에 이용자들이 제안할 수 있는 '도곡서화' 서비스 개선 방안을 자유롭게 수집하고자 한다. 이용자 의견을 종합하여 서비스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제안사항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1.3.5. 평가 일정
평가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6주차 10/6~ 평가 제안서 작성
7주차 10/13~ 설문지 작성
8주차 10/20~ 설문조사 파일럿 테스트
9주차 10/27~ 설문지 피드백 및 수정
10주차 11/3~ 인터뷰지 작성
11주차 11/10~ 인터뷰 파일럿 테스트
12주차 11/17~ 인터뷰 피드백 및 수정
13주차 11/24~ 발표 자료 제작
14주차 12/1~ 보고서 피드백 및 수정
15주차 12/8~ 개별 보고서 작성
1.4. 평가 준비과정
1.4.1. 피드백 결과
'1.4.1. 피드백 결과'에 따르면 평가 문항 작성과 관련하여 총 4명의 타인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피드백을 받았다.
첫째, 10대 고등학생(남)은 각 파트 별로 숫자를 붙여서 단락을 나누었으면 좋겠다고 하면서 문항들이 주제도 다르고 넘나드는 부분도 많아 헷갈린다고 하였다.
둘째, 20대 대학생(여)은 '1.3. 평가 실행 방법'의 2, 3번 문항이 비슷한 맥락이라 2번은 삭제하고 3번만 물어보는 것이 나을 것 같다고 피드백하였다.
셋째, 20대 대학생(남)은 '1.3. 평가 실행 방법'의 3번 문항의 의도가 조금 애매한 것 같다며, 주로 이용하는 주제에 대해 물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하였다.
넷째, 50대 주부(여)는 직접 책자를 보여주기보다는 요약된 설명과 간단한 이미지를 첨부하여 조사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하면서, 직접 책자를 읽게 하는 것은 시간도 오래 걸리고 응답자들이 귀찮아할 것 같다고 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피드백을 바탕으로 설문지의 가독성, 문항의 유사성, 문항 의도의 명확성 및 설문 진행 방식 등 문항 구성과 평가 방법 전반에 걸쳐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1.4.2. 평가 방법 및 문항 개선점
피드백 결과를 수용하여 평가 방법과 문항을 개선하였다. 먼저 평가 방법 개선 부분에서는 '도곡서화' 서비스를 이용해보지 않은 대상에게 직접 책자를 전달하여 읽게 하는 것이 번거롭다는 피드백을 받아들여, 책자에 대한 구두 설명과 요약된 실물 이미지 제공으로 과정을 간소화하였다. 다음으로 문항 개선 부분에서는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파트를 숫자로 구분하였고, 특정 문항의 의도가 애매하다는 피드백을 수용하여 문항을 수정하였다. 예를 들어 "2. 귀하는 어떤 이유로 '도곡서화' 서비스를 이용하고 계십니까?"를 서술형에서 객관식으로 변경하였으며, "'도곡서화' 서비스에서 주로 이용하는 주제를 우선순위대로 표기해 주세요."에서 보기 항목을 추가하였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의 보다 명확한 응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비이용자 대상의 사후 인터뷰 문항을 별도로 구성하여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과 홍보 등의 개선점을 함께 파악하고자 하였다.
1.5. 예상되는 평...
...
참고 자료
김경옥. "공공도서관 도서추천제의 비판적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부산
김주희. "초등학교 도서관의 권장도서목록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서울
윤현수.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서비스품질이 이용자의 만족도 및 삶의 질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서울
서범규. "국방 분야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평가를 통한 이용자 만족도 및 충성도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대전
최선희. "공공도서관 특화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도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경기도
이옥희. "공공도서관 바로대출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경기도
도곡정보문화도서관, "2021 도곡서화." 2021. 서울 (13, 17, 19, 20년도 모두)
도곡정보문화도서관. "2021 도도한 소식." 2021. 서울 (13, 17, 19, 20년도 모두)
이지연, 안준범, 오혜영, 서혜린, 「공공도서관 어린이청소년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35권 제3호, 한국정보관리학회, 2018, 203
성은혜, 김수정, 「LibQUAL+를 적용한 어린이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32권 제4호, 한국정보관리학회, 2015, 45
강정아, 노영희, 「어린이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사회적 효과 측정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49권 제1호,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8, 262
도곡정보문화도서관, 「2021 도도한 소식」, 2021
한국 공공도서관을 말하다, 윤희윤, 태일사, 2020
허준영. "영국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와 건축적 대응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서울
전라남도도립도서관, “전남도립도서관발자취”, https://lib.jeonnam.go.kr/menu/subpage_01/sub02.php, (21.11.19)
전라남도도립도서관, “전남도립도서관직원”, https://lib.jeonnam.go.kr/menu/subpage_01/sub03.php (21.11.19)
전라남도도립도서관, “전남도립도서관장서현황”, https://lib.jeonnam.go.kr/menu/subpage_01/sub03_2.php(21.11.19)
제주특별자치도공공도서관, “한라도서관연혁”, https://is.gd/WVHUji (21.11.19)
제주특별자치도공공도서관, “한라도서관조직”, https://is.gd/IPJYBA (21.11.19)
제주특별자치도공공도서관, “한라도서관장서현황”, https://is.gd/ddFuBD(21.11.19)
국가한옥센터, " 한옥 공공건축물", https://is.gd/O2t3CG , (21.11.07)
전라남도도립도서관 ,"층별안내", https://lib.jeonnam.go.kr/menu/subpage_02/sub08.php , (21.11.07)
국가법령정보센터, “도서관법”, https://www.law.go.kr/, (21.11.07)
제주특별자치도 공공도서관 , "시설현황 및 안내" , https://www.jeju.go.kr/lib/lib/halla/facilities.htm , (21.11.07)
디지털제주문화대전, "한라도서관" ,https://is.gd/WhTsFu ,(21.11.07)
위키백과, “한라도서관”, https://ko.wikipedia.org/wiki/, (21.11.28)
제주시, “제주도 자동차 등록현황”, https://is.gd/Gd0g2S, (21.11.07)
제주특별자치도, “주민등록인구통계”, https://jeju.go.kr/open/stats/list/population.htm, (21.11.07)
배동식,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과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영남이공대학교 건축과, 2019, 176p
최만호, 공공도서관의 실내 공간구성요인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경영학부, 2017, 44-45p
오동근, 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9, 178-179p
유상보 기자, “도립도서관 이용자,‘문화사랑방으로 만족’”, 퍼스트뉴스, (2015.01. http://www.firs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648
홍창빈, “제주 한라도서관에 국제문화교류 '아메리칸코너' 개관”, 헤드라인 제주, http://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7257, (21.11.2
행정공제회 네이버 블로그, ‘한라도서관 아메리칸 코너’, https://blog.naver.com/pobain/222161702731, (21.11.29)
도서관건립계획지원시스템, ‘좋은 도서관 건축’, https://is.gd/XK06CN, (21.11.29)
구석체육쌤, 전남도립도서관 방문후기., https://blog.naver.com/vusdks2468/222402060840, (2021. 6. 18).
목포무안영암토지33, 주말은 사색하는 날, 전라남도 도립도서관 방문(후기), https://blog.naver.com/bbi4u/221332355113, (2018. 8. 4)
김치훈, [전라남도 도립 도서관] 후기 및 느낀점, https://kcshare.tistory.com/88, (2015.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