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교폭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개념을 토대로 현재 우리사회 복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용되고 있는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를 찾아 어떠한 과정을 통해 사회복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장단점을 평가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학교폭력 문제의 심각성
3. 학교폭력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및 전달체계의 필요성
4. 사회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
4.1.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와 관련한 주무기관
4.2.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4.3. 학교사회복지의 역할
5. 전달체계상의 장점과 단점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에서 학교폭력은 오랫동안 해결해야 할 사회적 문제로 지적되어 왔으며, 그 심각성은 다양한 측면에서 드러나고 있어서 최근에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었다. 학교폭력은 학생들 간의 물리적, 언어적, 심리적 폭력과 괴롭힘을 포함하며, 이는 피해 학생에게 심각한 정신적, 신체적 피해를 줄 수 있다. 한국교육개발원이 2022년에 발표한 교육여론조사 결과에 의하면, 국민 10명 중 6명이 초중고교에서 발생하는 학교폭력을 심각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 비율은 2020년보다 상승했으며, 학교폭력을 심각하게 보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심각해지고 있는 학교폭력을 근절하기 위해서는 예방과 교육이 중요하다. 학생들 간의 상호 존중과 공감 능력을 기르는 교육이 필요하며, 교사와 부모의 역할도 중요하다. 또한 피해 학생들이 안전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학교폭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 서비스와 전달체계가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학교폭력 문제는 그 심각성 때문에 개인의 문제를 넘어선 사회 전체의 문제로 다루어져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학교, 가정, 사회 모두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2. 학교폭력 문제의 심각성
학교폭력은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폭력의 유형과 특징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어린 학생사이에서의 성추행과 성적 괴롭힘, 성폭력, 휴대전화와 인터넷 등의 사이버폭력, 졸업빵, 빵셔틀, 은따 등 신종 학교폭력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폭력은 처음엔 장난과 충동으로 시작되지만 나중에는 학생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건이 되기도 한다.
정부는 이러한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다양한 실태조사를 해왔다. 여기에서 밝혀진 최근의 학교폭력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최초 발생 연령이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둘째, 중학생의 학교폭력 발생 빈도가 특별하게 높다. 셋째, 신체적 폭력보다는 정서적 폭력, 단순 폭력보다는 지속적 폭력이 증가하고 있다. 그만큼 폭력 유형이 다양해지고, 폭력의 후유증이 크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학교폭력은 당사자들의 일시적인 일탈행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장차 성인범죄로 연결될 소지가 크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3. 학교폭력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및 전달체계의 필요성
학교폭력 문...
참고 자료
최칠성, 전재현 외 2명 저, 사회복지행정론, 공동체, 2024
노병일 저, 학교사회복지론, 양서원, 2024
김안나, 노미향 외 1명 저, 사회복지행정론, 공동체, 2023
천정웅, 박주현 외 1명 저, 학교사회복지론, 양서원, 2023
조경자, 안진숙 저,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의 이해, 정민사, 2020
노희선 저, 학교폭력예방 및 학생의 이해, 어우리, 2020
정여주, 선혜연, 신윤정 외 4명 저,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의 이해, 학지사, 2018
김영종(2007),『사회복지행정론』, 학지사.
김형식․이영철․신준섭(2002), 『사회복지행정론』, 동인.
최성재․남기민(2007), 『사회복지행정론』, 나남출판.
현외성(2005),『사회복지정책강론』, 양서원.
조흥식(2004a), “학교사회복지제도화의 필요성과 방향”, [각 정당초청 학교사회복지제도화 토 론회 자료집],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조흥식(2004), “학교폭력 해결을 위한 지역사회와 전문가의 역할”, [‘학교폭력예방및대책에 관한법’ 시행령 제정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학교폭력대책국민협의회
이순래(2002). 학교폭력의 원인 처방안에 한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이승출(2011).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학교폭력에 한 연구.
청소년문화포롬, 29, 116-135. 이춘화(1999).
학교 내 비폭력문화로그램개발. 한국청소년개발원. 정미경(2008).
http://www.ksste.or.kr/data/file/ksste02_02/3024451085_PLjFu1aU_26_EBA598EC9881EC8899.pdf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hsm7777&logNo=80200836035&proxyReferer=http:%2F%2Fwww.google.co.kr%2Furl%3Fsa%3Dt%26rct%3Dj%26q%3D%26esrc%3Ds%26source%3Dweb%26cd%3D2%26ved%3D2ahUKEwjkwIrXiqjpAhVKyYsBHfIUDcAQFjABegQIARAB%26url%3Dhttp%253A%252F%252Fm.blog.naver.com%252Fshsm7777%252F80200836035%26usg%3DAOvVaw0MJMFEJJsyvo9tSH8Z0E-3
http://uri-i-happy.or.kr/files/2016/01/학교폭력-예방과-지혜로운-대처방법-교육부.서울교육청.조정실.pdf
손능수,김순양,학교폭력 대처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제19권 제3호(2015 가을): 437-468
안윤숙,김흥주,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를 위한 학교사회복지의 실천과제,인문사회과학연구, 제14권 제2호(2013.10.31): 387-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