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쓰다를초급학습자에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어휘 능력의 구조
2.1. 추론 능력
2.2. 지시 능력
3. 초급 학습자에게 '쓰다'를 교수하는 방안
3.1. '쓰다'의 의미 파악
3.2. '쓰다'의 활용 연습
4. 수업 목표 및 내용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언어의 의미와 형식의 이상적인 결합은 하나의 형식에 하나의 의미만 결합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이상에 불과하다. 인간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의 현실은 전혀 그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물론 처음에는 이상적인 상태처럼 고정된 한 개의 의미로만 사용되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점차 주변 다른 대상에까지 번져나가면서 단어의 의미는 더 많아지게 되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새로운 문물이 생기면서 인간이 하는 행위와 생각이 다양해진 현실에서 기존 단어가 의미 영역을 확장하여 나가면서 더 많은 개념을 수용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인간이 수용 가능한 적정한 어휘로 최대한 많은 개념을 표현코자 하는 언어의 경제성 원리에 부합된 일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다의(多義)'의 개념과 관련된다. '다의'라는 것은 한 단어가 2개 이상의 뜻을 갖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화자가 언어를 사용할 때 화자는 자신의 인식 속에 2개 이상의 의미가 존재하는 것을 변별하게 된다. 2개 이상의 의미가 어느 정도 독립적이며 고정적인 영역을 가지고 있다고 판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단순히 상황 및 문맥에 따라서 임의적으로 해석이 되는 것이 아니라 의미들 간 의미의 영역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단어 형태만 같으며 의미가 상관없는 언어적 현상을 갖는 단어를 가리켜 '동음어'라고 한다. 형태에 따라서 동음어라고 하나 의미 쪽에서 보면 '이의어(異義語)'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특성을 용합해 '동음이의어'로 지칭되기도 한다. 동음성도 다의성처럼 언어가 갖고 있는 특성이 언어의 기본적 현상 중 하나이다. 즉, 언어는 의미와 음성은 이원적인 체계로 되어 있으면서도 상호 분리가 되어 있기 때문에 음성은 동일하지만 의미가 전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언어 습득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시기에 삶 속에서 이를 습득했다면 그를 활용하는 것에서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성인이 된 이후 이를 배우고자 할 경우 혼론이 클 수 있...
참고 자료
이충우 외, 한국어의 교육 연구(어휘 문제를 중심으로), 박이정, 2016.
강경민,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서술어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2013.
후성, 다의어 '쓰다'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동국대학교, 2018.
방금숙. (2004). [연변대학 외국어학원 조선어학부 전문란] 초보한국어학습자들의 긴장심리 산생요인과 제거방법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2004(6), 19-22.
허재영. (2010).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글 교육의 의미. 교양교육연구, 4(1), 219-236.
공하림, 부수현. (2016). 재외동포 교육용 한국어 교재 문화 요소 분석 및 단원 구성 방안. 문화와융합, 38(2), 37-63.
최은경. (2013). 한국어 교육에서 구어의 중요성. 동악어문학, 60, 395-420.
이충우 외, 한국어의 교육 연구(어휘 문제를 중심으로), 박이정, 2016.
강경민,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서술어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2013.
구본관, 한국어 어휘 교육론, 아카넷,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