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SANA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정기용 건축가의 사회성과 공동성
1.1. 건축의 사회성과 공동성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무주프로젝트의 과정과 결과
2.1. 프로젝트의 흐름
2.1.1. 면사무소
2.1.2. 무주 공설운동장
2.2. 프로젝트의 특징
2.3. 결과
3. 정기용 건축의 특징
3.1. 감응
3.2. 건축가의 역할
4. Alvaro Siza, Malagueira Housing
5. SANAA, Gifu Housing
6. Herman Hertzberger, De Drie Hoven
7. Alvar Aalto, Paimio Snatorium
8. Louis Kahn, Salt Lake Institute
9. 비트라 뮤지엄
9.1. 시대배경 및 양식
9.2. 건축 및 기타 특징
10.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기용 건축가의 사회성과 공동성
1.1. 건축의 사회성과 공동성
오늘날 건축의 흐름은 점차 모더니즘에서 벗어나 약한건축, 랜드스케이프 건축으로 관심이 기울어지고 있다. 어디에나 적용될 수 있다는 모더니즘의 장점이 전 세계 서로 다른 정체성을 가진 사람과 도시, 문화를 반영하지 못한 채 천편일률적인 풍경을 만들며 우리의 환경을 단조롭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랜드스케이프 건축은 현재진행형이기 때문에 아직 완전히 정의내려지지 않은 건축의 흐름이지만, 대지의 맥락과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주변과 어우러지는 건축이라는 점에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랜드스케이프 건축은 자연과 사람, 시간을 중요시 여긴다는 점에서 정기용 건축가의 건축과 닮아있다. 정기용 건축가의 건축은 사람과 자연, 시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의 사회성과 공동성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의 건축 흐름에 있어서 건축에 대한 깊이있는 시선을 갖게 해줄 것이다.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정기용 건축가의 건축적 세계관을 알기 위해서는 생전 집필한 논문과 출연한 다큐멘터리, 제3자의 논문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이다. 연구 범위는 정기용 건축가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하고 자주 언급되는 무주 프로젝트로, 무주 프로젝트 분석을 통해 첫째, 정기용 건축가의 주요 건축개념을 파악하고, 둘째, 개념을 통해 정기용 건축가의 사회성과 공동성을 발견하고자 한다"이다.
2. 무주프로젝트의 과정과 결과
2.1. 프로젝트의 흐름
2.1.1. 면사무소
무주 안성면사무소는 공설운동장과 함께 무주 프로젝트에서 가장 유명한 작업이다. 안성면민의 특성을 고려한 주민시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전까지만 해도 동사무소는 해당 지역의 행정업무를 담당하기 위한 공공업무시설로서 주민들을 위한 공간이 아니었다. 정기용 건축가는 이 딱딱한 공공시설 속에 지역민 모두가 함께할 수 있는 또 다른 공공성을 포함하는 기능으로 목욕탕을 선택했다. 이것은 건축가의 선택이라기 보다 지역민의 요구에 건축가가 반응하고 순응했다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단순한 기능의 추가에서 그치지 않고, 주변과 반응했다는 부분에서 의미를 지닌다.
2.1.2. 무주 공설운동장
무주 공설운동장은 처음 건설 당시 본부석에만 지붕이 있는 권위적인 시설물이었다. 상석을 차지한 공직자들을 제외하면 편히 이용하기 무리가 있는 상황이었다. 이에 무주군수는 주민들의 의견에 반응하여 240여그루의 등나무를 심어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 해결책은 미흡하였고, 정기용 건축가는 군수의 조치를 다듬어 늘어진 등나무 사이로 스탠드를 조성하였다.
스탠드 철재 파이프의 직경은 등나무 평균 굵기인 60mm로, 자연과 인공의 단순하고 필요에 의한 조합에서 한단계 더 나아가 자연요소와 인공물이 서로 어떤 관계를 맺고 균형을 이루는지 건축가가 고민한 흔적이 돋보인다. 스탠드의 철재 파이프들은 흰색철재임에도 불구하고 고동색 등나무 줄기와 자연스럽게 어룰리고, 등나무는 그 파이프를 타고 올라 운동장을 위한 그늘과 멋진 산책로를 제공한다. 마지막 열 산책로 또한 본부석과 관람석을 막구조로 대체하여 자연과 조화롭게 어우러진다.
이처럼 정기용 건축가는 기존의 권위적인 운동장 형태에서 벗어나 주민들의 이용 편의성을 고려하고, 자연과 인공의 조화를 이루는 공간을 조성하였다. 이는 건축가의 세심한 배려와 지역 주민들과의 소통을 통해 실현된 것이다.
2.2. 프로젝트의 특징
당시 무주는 내륙 깊숙한 땅에 위치한 청정한 곳으로 자연...
참고 자료
전진삼, [건축]건축가 정기용, 그의 마지막 전시가 남긴 생각들, 황해문화, 새얼문화재단, 2011
정기용, 가장 일상적인 것부터 가장 대중적인 것까지, 월간 건축문화사, 1998
김무경, 건축에서의 일상성과 공공성 – 정기용의 공공건축 연작을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한국문화사회학회, 2014
계획안 - 건축의 공공성과 지역성, 정기용, 기용건축
무주프로젝트 : 주민을 위한 공공건축의 실현, 정기용, 대학건축학회, 2005
디지털 건축의 도입에 따른 프랭크 게리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비선형적 표현의 기법의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이행우 / 국민대학교, 테크노 디자인 전문대학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29520&cid=55651&categoryId=5565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29518&cid=55651&categoryId=55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