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캄필로박터 장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정의
2.2. 원인
2.3. 증상
2.4. 진단 및 검사
2.5. 치료 및 간호
3. 연구기간 및 방법
4. 간호과정
4.1. 간호건강사정
4.1.1. 일반적 사항
4.1.2. 현재 건강력 및 신체검진
4.1.3. 연령별 성장발달과업
4.1.4. 진단을 위한 검사
4.2. 치료 및 경과
4.3. 간호과정 적용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캄필로박터 장염은 전 세계적으로 설사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 특히 겨울보다 여름철에 주로 발생하며, 코로나19 유행과 겹치면서 발열이 있는 환자가 내원할 때 감별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 질병은 장내 감염으로 급성 장염과 담낭염, 췌장염, 복막염 등을 일으킬 수 있고 드물게는 뇌수막염, 심내막염, 관절염 등의 장외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다. 면역력이 낮은 신생아와 유아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어 예방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캄필로박터 장염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 등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정의
캄필로박터균(Campylobacter jejuni, Campylobacte coli)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을 말한다. 캄필로박터 박테리아는 지금까지 약 20종의 균이 발견되었고, 식중독과 관련된 질환은 대부분 캄필로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에 의해 발생한다. 캄필로박터 감염증의 주요 원인은 조리가 불충분한 닭고기, 돼지고기의 섭취이다. 그 외 거위, 소독되지 않은 우유와 같은 음식이나 오염된 물을 통해서 감염된다. 감염된 생닭은 씻은 물 한 방울로도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손, 도마 등의 주방기구 오염에 의한 2차 감염은 캄필로박터 장염 예방에 중요하다. 사람 간 전파는 잘 일어나지 않지만, 감염자 대변과 접촉할 경우 감염될 수 있다.
2.2. 원인
캄필로박터균(Campylobacter spp.)은 사람과 동물에게 감염을 일으킨다. 캄필로박터 감염증의 주요 원인은 조리가 불충분한 닭고기, 돼지고기의 섭취이다. 그 외 거위, 소독되지 않은 우유와 같은 음식이나 오염된 물을 통해서 감염된다. 감염된 생닭은 씻은 물 한 방울로도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손, 도마 등의 주방기구 오염에 의한 2차 감염은 캄필로박터 장염 예방에 중요하다. 사람 간 전파는 잘 일어나지 않지만, 감염자 대변과 접촉할 경우 감염될 수 있다.
2.3. 증상
잠복기는 대개 2~5일이며 1~10일까지 가능하다. 2~7주간 균을 배출할 수 있고, 처음에는 12~48시간 정도 발열, 두통, 근육통, 전신 쇠약감이 나타난다. 초기 증상 이후 심한 복통, 설사가 발생하며, 때로는 오심과 구토가 동반된다. 하루 10번 이상의 설사, 혈변을 보기도 한다. 균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한 양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고 특히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 경우라면, 감염과 재발의 위험이 크며 증상이 심해 만성 보균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장염: 캄필로박터에 노출되면 평균 3일(1-7일 사이) 정도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데 감염된 1/3 정도의 환자에게서 증상이 나타나며, 열과 두통, 어지럼증, 근육통으로 증상이 시작된다. 그리고 1-3일 뒤 심한 복통과 함께 설사, 혈변, 점액변 등이 나타난다. 특히 학령기 어린이는 설사가 없기도 하며 어릴수록 구토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고, 돌 전후의 어린 유아는 열성 경련이 동반되기도 한다. 복통이 매우 심한 증상 중 하나인데 설사 증상이 호전되고 나서까지도 복통이 지속되기도 ...
참고 자료
최신 아동간호학 II (김영혜 외 공저, 수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원종순, 김남초, 박수현, 송민선 외, 현문사, 2016년)
Meg Gulanick, Judith L. Myers,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2019)
A still valid help in medical practice and clinical research G Riegler, I Esposito – Techniques in coloproctology , 2001 – Springer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네이버 지식백과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26303&cid=51000&categoryId=51000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의료정보 의약품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보건복지부 www.mohw.go.kr
부산광역시 감염병관리지원단,[제4급-19-바] 캄필로박터 감염증(Campylobacterosis) 알아보기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제대로 손씻기 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18#
아동간호학 교재 (김미예, 강지순, 권윤정 등 2018년, 아동건강증진간호, 수문사)
아동간호학 교재 (김미예, 구현영, 권윤정 등 2020년, 수정판 신생아건강간호, 수문사)
성장과 발달 교재 (박충선, 2021년, 인간발달의 이해, 퍼시픽북스)
성인간호학 교재 (윤은자, 김숙영, 소향숙 등 2020년,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간호과정 교재 (정향미, 성미혜, 박은영 등 2020년, 개정판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기본간호학 교재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등 2021년 제4판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삼성서울병원 건강정보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321&CONT_SRC=CMS&CONT_ID=3471&CONT_CLS_CD=001020001013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7080100024
강경아(2019), 아동청소년 간호학Ⅱ, 군자출판사
서울 아산병원 > 질환백과 > 캄필로박터 감염증
박은영(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