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사회복지법제와 지방자치단체
우리나라에서는 독립적인 사회법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사회복지법은 사회보장기본법에 명시된 법을 의미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법이 존재하는 형식과 명칭에 관계없이 법규범의 내용과 목적, 기능들이 사회정의, 사회형평, 사회연대, 사회통합, 인간다운 생활, 행복권 등과 같이 사회복지 법규범에 내재하는 공통된 법원리 또는 가치에 부합되는 법규를 의미한다. 지방의회제도는 91년 지방선거로 부활해 올해 30년을 맞이하였는데, 지방의회는 지역주민들의 청원을 처리하고, 여러 가지 권한을 가진 주민대표의 기관이다. 또한 지방의회는 법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행정 사무업무를 독자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며, 사무에 관한 조례를 발의하고 의결할 수 있는 법적인 권한을 가졌다. 이러한 지방의회제도에서 중요하게 결정해야하는 것이 바로 '조례'이며, 이러한 조례는 지역주민들과 가장 밀접하게 연결되어있으며, 지역주민들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반영하고, 주민들의 복리를 위해 올바른 조례를 제정해야한다. 올바른 조례를 제정하는 것이 곧 그 지역사회의 발전과도 관련이 있다.
1.2. 조례의 정의와 기능
조례는 지방자치단체가 법의 범위 내에서 지방의회의 의결을 거쳐 제정하는 법률이다. 조례는 일정 수 이상의 지방의원, 위원회 또는 지자체장이 발의할 수 있으며, 지역주민들과 가장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조례는 지역주민들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반영하고 주민들의 복리를 위해 제정되어야 하며, 이는 곧 해당 지역사회의 발전과도 관련이 있다.
조례에는 크게 네 가지 기능이 있다. 첫째, 지역의 불완전하고 미성숙한 규범을 제정하는 창조적 기능이 있다. 둘째, 일부 지역의 조례가 전국의 쟁점이 되어 전국 단위의 입법화를 이끄는 선도적 기능이 있다. 셋째, 추상적인 지방자치 행정이나 지역사회관련 법규범을 보완하는 보완적 기능이 있다. 넷째, 법질서와 행위규범 간의 괴리를 제거하여 현실에 적합하게 만드는 법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