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인력 부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인력 부족의 문제점
1.1. 과중한 업무량
1.2. 간호대학생의 학습권 침해
1.3. 태움 문화
1.4. 한정적인 간호 제공
2. 간호인력 부족의 원인
2.1. 현행 진료비 지불제도의 문제
2.2. 간호사 인식의 문제
3. 간호인력 부족의 해결방안
3.1. 간호사 고용 증대
3.2. 간호사 인식 개선 필요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인력 부족의 문제점
1.1. 과중한 업무량
간호사들의 과중한 업무량이 간호인력 부족 문제의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많은 선행 연구에 따르면 간호사 1인당 담당 환자 수가 많아지면 환자 사망률, 합병증 발생률 등의 의료 서비스 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실습 현장에서도 간호사들이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환 환자 접수, 수술일정 관리, 검사실 이송, 투약 및 물품 정리 등 다양한 업무를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간호대학생들도 학습보다는 수동적인 업무지원 인력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과중한 업무로 인한 간호사들의 피로와 스트레스는 의료사고 위험을 높이고, 간호사 자신의 건강 문제로도 이어지고 있다. 잦은 야간 근무와 휴식 부족으로 발생하는 수면장애, 불규칙한 식사로 인한 위장장애 등이 대표적이다. 이는 고스란히 간호사의 직무 만족도와 이직률의 악화로 나타나고 있다.
결국 간호사 1인당 담당 환자 수 증가는 간호서비스 질 저하, 의료사고 위험 상승, 간호사 개인의 건강 악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근본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1.2. 간호대학생의 학습권 침해
실습현장에서 간호대학생들은 간호사들의 과중한 업무로 인해 학습권이 침해받고 있었다. 아무것도 모르는 갓 3학년생이 들어가 봐도 간호사들이 바쁘게 돌아다니는 모습이 곳곳에서 관찰되었다. 환자 상태 확인, 검사실 이송, 액팅, 약물 및 물품 정리 등의 업무를 간호대학생들이 담당하고 있었는데, 이는 간호대학생들의 실제 임상실습 및 학습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간호대학생들은 실습 현장에서 단순 업무 보조 인력으로 전락하여 제대로 된 실습과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임상실습의 본래 목적인 환자 간호를 체험하고 배울 기회가 제한되는 것이다. 간호인력 부족으로 인해 간호대학생들의 학습권이 침해받고 있는 상황은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간호사 양성 교육의 질적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1.3. 태움 문화
간호사들 사이에서 태움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태움은 선배 간호사가 신규 간호사에게 교육을 명목으로 가하는 정신적·육체적 괴롭힘을 말한다. '영혼이 재가 되...
참고 자료
“고 박선욱, 서지윤 간호사의 죽음이 우리에게 남긴 질문”, <민중의소리>, 2019.02.15.
http://www.vop.co.kr/A00001379175.html
"서울대 병원 간호사 눈물의 호소", <오마이뉴스>, 2021.11.11.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2&oid=047&aid=0002332435
이상윤 외,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병원 인력 구조개선 방안 - 간호 인력을 중심으로 -」, 연구공동체 건강과대안, 2008, 17~18쪽.
“부족한 간호사, 응급구조사가 메우는 상황, 정부가 방치”
http://www.hnews.kr/news/view.php?no=40282
“간호사 부족문제, 간호조무사 활용해야” vs “의료 질 고려 않은 발상”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6324
RISS- 병원 간호사 확보를 위한 정책평가(박보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2012.2)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20
간호 인력 확보수준 및 구성이 병원 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의 병원 특성별 비교, 윤경일, 2017
간호관련비용의 실증적 사례분석 연구, 고유경 외, 2017
알기 쉽고 현장감있는 간호관리학, 정면숙 외, 현문사,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