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가상현실 기획안 설계
1.1. 미래형 시범 연구유치원 사례 분석
미래사회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및 다양한 테크놀로지, 네트워크 기반의 교육을 추구하게 되면서 교육 환경의 변화로 교수·학습 방법이 변화되고 있다. 이를 알기 위해 인공지능과 멀티미디어 교수매체, 스마트 교육환경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 증강현실을 이용한 교수·학습 방법 등이 담긴 다양한 미래형 시범 연구 유치원의 운영 결과보고서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원에서 디지털 교육 환경 구축, 블렌디드 러닝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 교수·학습 방법이 소개가 되었지만, 그 중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원은 "제주 동화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OK놀이"의 운영 과정이었다. 모든 원 중 가장 긴 결과 보고서 분량(72page)도 인상깊었으나 연구기간이 2021. 3월부터 2022. 2월 연간 활동 내용이 담겨있어 운영 개요부터 설계, 실행, 결과까지의 과정을 자세히 알 수 있었다.
동화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서 운영하는 "OK놀이"는 "On&Off Kindergerten"의 약자로 On은 가정과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놀이를, Off는 유치원과 오프라인 놀이를 뜻하며 분리되지 않고 연계되는 놀이를 의미한다. 2019개정 누리과정 방향에 부합하도록 교사가 주제별로 계획하는 놀이가 아닌 유아 스스로 만들어가는 놀이이며, 가장 인상 깊게 보았던 부분은 유치원과 가정 연계를 통한 "유아 놀이의 경험의 공유"를 위한 체계적인 기획과 설계, 진행 과정이다.
다양한 놀이 경험을 공유하며 시·공간의 제약을 줄이기 위해 학급 플랫폼을 구축하고, 다양한 콘텐츠와 놀이 안내 자료를 제공하여 유아 놀이 경험을 확장시킴으로써 온·오프라인 상 서로 연계되는 유아·놀이중심이 실현되는 미래형 교육과정을 구현해 내었다. 가정과 유치원에서 쌍방향 플랫폼 등을 통한 유아 놀이의 경험 공유를 위해 실태분석과 기초 조사, 실행 목표 선정, 연구 계획서 수정 보완 등의 체계적인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놀이의 공유가 원활하게 진행되고 온·오프라인을 넘나들며 수업이 진행되면서 높은 만족도를 얻을 수 있었다.
실행 과정에서는 교육환경 조성, 교육공동체 역량 강화, 운영 방안 수립 등 다양한 업무분장을 통해 진행되었다. 무선인터넷망 구축, 증강현실 교육자료, 스마트 패드 비치, 학급 플랫폼 등의 교육환경이 조성되었으며, 교사들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 운영을 통해 놀이안내도 제작, 영상 촬영과 편집, 놀이 사례 나눔 등 놀이 경험의 공유를 지원하였다. 또한 학부모 원격교육, 플랫폼 활용방안과 놀이피드백 등을 지원하여 유치원과 가정의 연계를 도모하였다.
이처럼 OK놀이는 유아 스스로 주도적으로 만들어가는 놀이이며, 유치원과 가정이 연계되어 유아의 놀이 경험을 공유하고 시·공간적 제약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안되었다. 교사의 전문성과 교육공동체의 역량강화가 뒷받침된 체계적인 운영과 기획, 실행 과정을 통해 온·오프라인 상 "놀이의 공유"가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1.2. 미래 인재상 및 역량과의 연계성
미래사회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테크놀로지, 네트워크 기반의 교육을 추구하게 되면서 교육 환경의 변화로 교수·학습 방법이 변화되고 있다. 이를 위해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