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실리카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리카겔의 합성
1.1. 실리카겔의 정의와 특성
1.2. 실리카겔의 합성 원리
1.3. 실험 목적과 방법
2. 실험 과정 및 결과
2.1. 실험 준비
2.2. 실리카겔 합성 과정
2.3. 실리카겔의 물리적 특성
2.4. 실험 결과 분석
3. 실리카겔의 용도와 응용
3.1. 실리카겔의 주요 용도
3.2. 실리카겔의 산업적 응용
3.3. 실리카겔의 일상생활 활용
4. 결론 및 고찰
4.1. 실험 결과 요약
4.2. 실리카겔 합성 과정의 개선 방안
4.3. 실리카겔 활용의 미래 전망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리카겔의 합성
1.1. 실리카겔의 정의와 특성
실리카겔은 규산 나트륨의 수용액을 산으로 처리하여 만들어지는, 규소와 산소가 주 성분인 투명한 낱알 모양의 다공성 물질이다. 실리카겔은 미세한 구멍들이 서로 연결되어 방대한 그물로 연결된 과립형 비결정상 입자이며 광대한 표면적에 따른 자연적인 흡착 현상과 응축 현상으로 물과 알코올, 하이드로 카본, 기타 화학물을 흡수하는 흡착 능력이 아주 뛰어나다. 특히 무색·무취로서 취급상 인체에 무해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실리카겔은 화학적으로 말하면 수정의 주 성분인 실리카의 특수형이며, 황산과 규산 나트륨의 화학 반응으로 형성된다. 실리카겔은 경우에 따라 A-TYPE, B-TYPE, AB-TYPE 등으로 구분되며, 용도에 따라 제습, 습도 조절, 수분 흡수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1.2. 실리카겔의 합성 원리
규산 나트륨(물 유리)과 산과의 반응에 의해 실리카겔이 생성된다. 반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규산 나트륨(Na2OxSiO2)이 물에 녹아 규산 용액이 된다. 여기에 염산(HCl)이나 황산(H2SO4) 등의 산을 넣으면, 규산이 분리되어 실리카 sol이 생성된다.
실리카 sol이 겔화되면서 실리카겔이 형성된다. 산을 넣어 pH를 낮추면 규산의 축합반응이 촉진되어 규산중합체가 생성되고, 이 중합체들이 서로 결합하여 3차원 망상구조의 실리카겔이 만들어진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Na2OxSiO2 + H2SO4 → xSiO2 + Na2SO4 + H2O
Na2OxSiO2 + 2HCl → xSiO2 + 2NaCl + H2O
규산 나트륨 용액에 산을 첨가하여 pH를 낮추면 규산의 중합반응이 진행되어 규산 입자들이 응집되면서 실리카겔이 형성된다. 이 때 산의 농도, 온도 등의 반응조건에 따라 겔의 물리적 특성이 달라진다.
산 촉매 하에서는 가수분해 반응이 상대적으로 빨리 진행되어 생성된 규산 입자들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서로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3차원 망상구조의 실리카겔이 만들어진다. 반면 염기 촉매 하에서는 축합반응이 빨리 진행되어 덩어리 형태의 실리카겔이 만들어진다.
1.3. 실험 목적과 방법
실리카 나트륨을 산으로 처리하여 규산의 하이드로젤 및 제로젤(Xerogel)을 만들어 그 성질을 알아보는 것이다. 실리카 나트륨, 증류수, 2N 묽은 염산, 염화 코발트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리카 나트륨을 증류수에 녹인 후 염산을 서서히 가하여 중화하는데, pH 측정을 통해 중화점을 확인한다. 이어서 염화 코발트를 첨가하여 얻어진 규산 젤을 침전 후 건조하여 실리카겔을 제조한다. 실리카겔의 물리적 특성을 관찰하고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보고한다.
2. 실험 과정 및 결과
2.1. 실험 준비
규산 나트륨 10g을 달아서 넣고 증류수 50mL를 가하여 잘 저어 녹인다. 위의 액을 저어주면서 2N 묽은 염산을 가한다. pH paper를 이용하여 중화점에 이를 때까지 염산을 가한다. 얻어진 규산젤에 증류수 250mL를 넣는다. 염화 코발트 0.25g을 증류수 5mL에 녹여 위의 비이커에 넣어준다. 유리봉으로 섞은 후 방치하여 젤은 침전시킨다. 비이커를 움직이지 않으며 조심해서 웃물을 피펫으로 제거한다. 웃물을 다시 버리고 오븐에서 120 °C로 건조한다. 유리봉으로 적당한 크기로 분쇄한다.
규산 나트륨 수용액에 2N 묽은 염산을 넣어 교반하며 ...
참고 자료
Brown, 일반화학 제13판, 자유 아카데미, 2018. 2. 10, P463, 577, 989
Daniel C. Harris, 분석화학 제9판, 자유 아카데미, 2017. 2. 15, P75, 547
‘실리카겔’,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 (2021-04-16)
‘Tetraethyl orthosilicate’, 위키피디아(영문), https://en.wikipedia.org/ (2021-04-16)
‘Sol(솔)’, ‘젤(gel)’, ‘콜로이드’, 네이버 지식백과(화학백과), https://terms.naver.com/ (2021-04-16)
‘겔화’,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 (2021-04-16)
김창은, 이해욱, 정형진, 김구대, & 박노경. (1988) “합성한 Aluminuim Sec-Butoxide로부터 알콕사이드졸겔법에 의한 알루미나 미분말의 제조”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Vol 25 No.6, 585-592
이수진, 최석범, 곽형섭, & 백승욱. (2006) “Propylene Oxide를 이용한 졸-겔법에 의한 MO∙Fe12O18 (M/Ba, Sr) 나노 분말의 합성과 물리적 특성” J. Korean Ind. Eng. Chem Vol 17 No.4, 420-425
한원택, 이병우, 윤영권, &황태진 (1998) “Sol-Gel법을 이용한 유기∙무기 복합재료의 제조와 응용기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66-68
최진석 &안성진. (2015) “물유리를 이용한 나노실리카 제조 시 pH가 미치는 영향” 한국재료학회지 Vol 25 No.4, 209-213
이경희, 이병하, 오부근, 안광훈 & 김종옥. (1989) “졸-겔법에 의한 실리카 유리의 제조와 온도 의존성 및 활성화에너지 변화”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Vol 27 No.4, 471-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