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괴사 소장 대장염은 미숙아나 저체중아에게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질병이다.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감염성 질환으로, 소장과 대장의 점막층 또는 전층의 괴사가 특징이다.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장의 허혈, 장관 영양, 장내 세균 증식의 세 가지 요인이 상호작용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고농도 수유, 저산소증, 너무 빠른 영양법, 적혈구 증가증, 감염증 등이 장 점막의 손상, 이차적 세균 감염, 장의 괴사를 일으키는 데 작용한다. 증상은 복부팽만, 위 잔여량 증가, 수유 후 담즙 섞인 구토, 혈변, 대변 양상의 변화, 기면, 무호흡, 체온저하, 이상출혈 등이 나타나며, 생후 5일 이내에 대부분 발현된다. 의료진은 임상증상, 검사 결과를 토대로 진단하며, 치료 방법은 내과적 치료와 외과적 치료로 구분된다. 내과적 치료로는 금식, 위관 삽입, 수액 요법, 항생제 투여 등을 시행하고, 외과적 치료로는 장을 절제하는 수술을 진행한다. 예방법으로는 모유 수유, 천천히 늘리는 영양법 등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증상과 활력징후, 검사 결과를 세밀하게 관찰하고 모니터링하여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질병의 원인, 증상, 치료 과정 등을 교육하여 이해도를 높이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2. 간호과정 및 실무
2.1. 문제 확인
2.1.1. 대상자 일반정보
재태기간: 32주 / 출생 2주 후 NEC 진단 / 출생시 체중: 2050g / 출생시 신장: 44.7cm
박간호는 여자 환아로 본 병원에서 C/S 분만 후 바로 NICU로 입원하였다. 환아는 NICU 입원 중 복부팽창과 혈변 증상을 보여 방사선 사진 결과 NEC(괴사소장대장염)로 진단받았다. 환아는 수유를 지속적으로 거부하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치료로 인해 구강섭취가 중단되었다. 환아는 창백하고 건조한 피부, 설사, 감소된 장음, 10초 가량의 무호흡이 관찰되며, 얕은 호흡이 지속되고 입을 벌리고 목부분을 경련하듯이 호흡하는 모습을 보인다.
2.1.2. 현병력
대상자는 본 병원에서 C/S 분만 후 고위험 신생아로 분류되어 바로 NICU로 입원하게 되었다. 대상자의 증상은 출생 26일 후(2022.5.15.)부터 시작되었으며, 복부팽만, 활동성 감소, 날카로운 울음소리 등이 관찰되었다. 2022.5.17.에 NEC(괴사 소장대장염)을 진단받았다. 대상자는 분유를 잘 넘기지 못하는 모습과 가끔 기침을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고, 미열(37.2°C)이 있었다. 대상자는 허약한 상태이며 늘어져 있는 모습을 보였다. 대상자는 TPN, SMOFlipid, Metronidazole, Vancomycin, Vitamin K1 등의 약물 치료를 받고 있다.
2.1.3. 영양 및 식이
괴사소장대장염 환아 김OO는 출생 시 체중이 1.4kg으로 미숙아였다. 현재 NEC 증상으로 인해 금식 중이며, 정맥 영양 공급을 받고 있다.
정상적인 체중 증가와 성장을 위해서는 적절한 영양 섭취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NEC 환아의 경우 장관 내 병변으로 인해 경구 섭취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때 정맥 영양 공급이 필수적이다.
정맥 영양 공급액에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