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교재 및 문형선정
1.1. 인적사항
이름은 아이디이다. 교재정보는 다음과 같다. 교재명은 '세종한국어 3'이고, 저자는 김정숙, 이해영, 박선희, 이준호, 장미라, 최은지이며, 출판사는 국립국어원 세종학당재단이고, 출판년도는 2021년 3월 8일이다. 선택한 문형은 '-아도/-어도 되다'이며, 이 문형은 동사 뒤에 붙어서 그 행위의 허락이나 허용을 나타낸다. 이 문형을 선택한 이유는 초급 수준의 학생이 한국어로 개인적인 허락을 구하거나 사회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것에 대해 질문하고 답할 때 사용하는 필수적인 표현이기 때문이다. 또한 예절을 중요시하는 한국 문화 특성 상 공공장소에서 주의할 일, 공공예절에 대해 말할 때도 반드시 알아야 하는 표현이기도 하다. 수업 지도안은 도입, 제시, 연습, 활용, 마무리의 단계로 구성할 계획이다.
1.2. 교재 및 문형정보
세종한국어 3은 국립국어원 세종학당재단에서 출간한 교재이다. 국립국어원 세종학당재단은 국외 한국어·한국문화 교육기관인 세종학당을 지원하는 공공기관으로, 이곳에서 편찬한 교재의 구성과 내용은 가장 신뢰할 수 있다. 또한 세종한국어 3에 수록된 여러 가지 문형 중 '-아도/-어도 되다'를 선택한 이유는, 초급 수준의 학생이 한국어로 개인적인 허락을 구하거나 사회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것에 대해 질문하고 답할 때 사용하는 필수적인 표현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예절을 중요시하는 한국 문화 특성 상 공공장소에서 주의할 일, 공공예절에 대해 말할 때도 반드시 알아야 하는 표현이다. 따라서 수업 지도안은 교실 상황을 이용하여 허락을 구하는 장면을 보여주고, 학습자가 허락을 구하는 상황에서 쓰는 '-아도/-어도 돼요?' 문형을 학습하며, 허락하는 대답으로 '-(으)세요', 허용/금지의 표현으로 '돼요', '안 돼요', '-(으)면 안 돼요'를 연습하는 등의 방식으로 작성할 계획이다.
1.3. 문형정보
선택문형의 용법
'-아도/-어도 되다'는 동사 뒤에 붙어서 그 행위의 허락이나 허용을 나타낸다. 이는 초급 수준의 학생이 한국어로 개인적인 허락을 구하거나 사회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것에 대해 질문하고 답할 때 사용하는 필수적인 표현이다. 또한 예절을 중요시하는 한국 문화 특성 상 공공장소에서 주의할 일, 공공예절에 대해 말할 때도 반드시 알아야 하는 표현이다.
1.4. 문형정보의 선택이유와 활용방법
문형정보의 선택이유와 활용방법이다. 제가 선택한 교재는 세종학당재단에서 출간한 '세종한국어 3'이다. 세종학당재단은 국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