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환경미화원 직무기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환경미화원 직무기술서
1.1. 산업간호과정 적용
1.2. 현장순회 점검일지
1.3. 산업간호진단
1.4. 산업간호계획
2. 직무평가 방법 비교
2.1. 비량적 방법
2.1.1. 서열법
2.1.2. 분류법
2.2. 양적 방법
2.2.1. 점수법
2.2.2. 요소비교법
2.3. 직무평가 방법 비교 및 분석
3. 사회복지조직이론
3.1. 조직이론의 특성
3.2. 현대조직이론 예시
3.3. 사회복지에서의 적용과 한계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환경미화원 직무기술서
1.1. 산업간호과정 적용
산업간호사정을 통해 근로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작업환경 특성, 건강수준 특성 등을 파악하였다. 근로자들의 평균연령은 약 60세이며, 성별 구조는 남성 16명, 여성 64명으로 성비가 1:4 수준이다. 작업환경은 조명, 환기, 소음, 온열조건 등이 양호하며, 화학물질 관리도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작업 중 부자연스러운 자세와 반복적인 동작으로 인해 근골격계 부담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병동 파트와 외래 파트 근로자들이 무릎, 허리, 어깨 관절에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또한 근로자들의 건강 행태 면에서도 문제가 있어, 체중 및 영양, 음주, 흡연 등의 불량한 습관이 나타났다.
현장 순회 점검결과, 전반적인 작업환경과 보건관리 상태는 양호한 수준이다. 화학물질 관리와 보호구 지급, 건강검진 실시 등의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근골격계 부담 요인이나 근로자 건강 행태 개선에 대한 보건관리는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산업간호진단 결과, 근골격계 부담이 가장 시급한 문제로 나타났다. 이는 반복적인 미화 작업과 부적절한 자세로 인한 것으로, 신경-근육-골격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근로자들의 불량한 건강 행태 또한 영양 및 약물 사용 관련 문제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산업간호계획으로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수립하였다.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성과 예방을 위한 올바른 자세 및 스트레칭 방법을 교육하여 근로자들의 자발적인 실천을 유도할 것이다. 또한 영양 개선과 약물 사용 관리를 위한 상담 및 치료 지원도 병행할 예정이다.
1.2. 현장순회 점검일지
사업장명은 ㈜OOOOO이며, 총 근로자 수는 80명(남: 16명, 여: 64명)이다. 교대근무를 실시하고 있으며 야간 근무도 포함되어 있다. 근무시간은 오전(06:00~15:00), 점심시간(11:30~12:30), 오후(14:00~22:00), 야간(22:00~06:00)이다. 작업환경측정 대상이 아니지만, 관리 대상 유해물질인 limestone과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하고 있어 제품 함유량이 1% 미만으로 측정 대상에서 제외된다. 특수건강검진 대상은 총 9명이며, 그 중 CN 2명, DN 1명, U 1명(퇴사자)이 있다.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 대상이기도 하다.
근로자 휴게실의 정리, 정돈, 청결, 청소상태는 양호하며, 최근에 에어컨 설치 등 시설 개보수가 이루어진 상태이다. 취급 중인 화학물질에 대한 MSDS가 적절하게 작성되어 있고, 게시판에 게시되어 있으며 교육도 실시한 것으로 확인된다. 화학물질 별 추천 보호구에 대한 안내 자료도 게시되어 있다.
외래 파트와 병동 파트 근로자 26명에게는 안전 장갑을, 사다리 작업 근로자 3명에게는 안전모와 안전화를, 폐기물 수거 파트 근로자 16명에게는 안전모, 안전화, 안전장갑을 지급하고 있다. 하지만 보호구의 직접적인 관리상태는 확인하지 못했다.
작업 자세와 관련하여 대걸레나 빗자루, 왁스용 마대의 길이가 짧아 허리를 숙인 채로 작업해야 하는 문제, 청소도구와 용품을 보관하는 캐비닛이 바닥에 위치해 높이가 낮아 반복 사용 시 허리에 무리가 가는 문제, 락스 청소 작업 시 쪼그리고 앉아서 진행하여 무릎 관절과 허리에 무리가 가는 문제, 병동 청소 작업 시 팔꿈치가 몸통으로부터 들리거나 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리는 경우가 많아 어깨와 팔 관절에 무리가 가는 문제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작업통로 확보 여부는 확인하지 못했으나, 조도는 150Lux로 적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조명으로 인한 빛 번짐도 없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650ppm으로 적정 수준이다. 휴게실과 화장실은 청결하게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폐기물 수거 파트 근로자의 경우 왁스 머신기 등의 기계 사...
참고 자료
박윤희, 유규창 외2명, 2018, 업종별 직무평가 도구개발(활용 사례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이홍민, 2020, 직무급 설계와 운영, 중앙경제.
장수용, 직무분석과 직무평가 실무(성과체계 인사를 위한, 예스폼.
유규창, 이혜정. 2018, 「산업별 직무평가 도구의 개발에 대한 방법론과 산업 적용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Doverspike, D., Carlisi, A. M., Barrett, G. V. & Alexander, R. A, 1983, 「Generalizability analysisof a point-method job evaluation instru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68, pp.476∼483.
Heneman, R. L, 2003, 「Job and work evaluation:A literature review」, Public Personnel Management32(1), pp.47∼71.
박원희, 「졸업후 취업까지 11개월 '역대 최장'…3년 이상 미취업자 24만명」, 연합뉴스, 2024.07.16.
오규택, 2018, 「직무중심 임금체계를 위하여」, 2018년 9월호 노동리뷰 통권 제162호, pp.3∼4.
문영규, 『사회복지행정조직론』, 청목출판사, 2009.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