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합리·정서·행동상담의 주요개념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합리·정서·행동상담의 주요개념
2.1. 인간관
2.2. 자기언어
2.3. 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
2.4. 성격형성
3. 상담의 목표
4. 치료기법
4.1. 인지적 기법
4.2. 정서적 기법
4.3. 행동적 기법
5. 내가 가진 비합리적 신념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합리·정서·행동상담(REBT)은 임상심리학자 앨버트 엘리스가 1950년대에 발전시킨 성격 이론이자 심리치료 이론이다. REBT에서는 인간에게 어떤 사실에 접하여 경험하는 정서는 그 사실 자체가 아니라 그 사실에 대해 개인이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고 본다. 인간은 합리적이면서도 정확한 사고를 할 가능성과 왜곡된 사고의 가능성을 동시에 지니고 태어났다고 여긴다. 합리적인 생각은 어떤 일을 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생각을 의미하고, 그렇지 않은 생각을 비합리적인 생각으로 본다. 엘리스는 생각이 행동과 정서를 이끌어낸다고 여기기 때문에 합리적인 생각은 적절한 정서와 행동을 불러일으키고, 비합리적인 생각은 부적절한 정서와 행동을 불러일으킨다고 본다. 심리적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비합리적 신념을 찾아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신념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REBT 이론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합리·정서·행동상담의 주요개념
2.1. 인간관
인간은 합리적이며 올바르게 사고를 할 수도 있고, 비합리적이고 왜곡되어진 사고를 하게 될 수도 있는 잠재적인 기능을 가지고 태어났다. 또한 모든 인간은 생각을 하고, 감정을 나타내고 행동하는 것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첫째, 인간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하기보다는 자기 자신에 의해 방해를 받게 된다. 둘째, 인간은 왜곡되게 생각하고자 하는 생리, 문화적인 경향이 나타나며 자기 자신이 스스로를 방해하고 있다. 셋째, 인간은 자기 자신의 왜곡되어있는 신념을 만들어가며 자기 자신의 문제에 관련하여 계속해서 방해를 받게 만들어가는 경향이 존재한다. 넷째, 인간은 자기 자신의 인지, 정서, 행동적인 과정을 변화시켜갈 수 있는 역량을 지니고 있다. 다섯째, 인간은 성장 및 자아실현이라는 경향성을 지니고 태어났다.
2.2. 자기언어
자기언어는 일어나게 될 사건에 대하여서 스스로가 하는 일련의 평가사고를 말한다. 합리정서행동치료는 모든 정서적인 문제의 주요한 원인이 그 상황에 관련하여서 스스로가 말하는 자기언어에 따라서 감정 및 행동이 달라지게 되기 때문에 자기언어가 변화가 되면 감정 및 행동도 변화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예를 들자면, 오랜만에 만나게 되었던 친구가 새로 구입을 한 내 옷을 보며 이 옷을 어디서 샀는지에 대해서 물어볼 때, 자기언어가 내 옷이 촌스럽다라고 비웃는 것이다라고 느껴지면 그때부터 감정은 불쾌해지게 되거나 화가 나고, 이때 보이는 행동은 친구가 하는 말에 대꾸를 하지 않고 무시하는 것으로써 나타나게 될 것이다. 반면에, 자기언어가 내 옷이 너무 괜찮아 보여...
참고 자료
생활지도와 상담, 강의교안 참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창지사, 2012, 천덕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급기본서,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 2017, 나눔의집
SD 청소년상담사 수험연구소, 2021 청소년상담사 3급 한권으로 끝내기, 시대고시기획, 2021, p.475~480
박은희, 2007, REBT를 적용한 집단상담이 고등학교 학습부진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p.6~11
노성덕(2013), 「전문상담교사 길라잡이」, 학지사.
양명숙 외(2019),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오신택(2015),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에서 키에르케고어 철학의 수용」, 해석학연구 36, pp.159-183.
주은선(2011), 「인간중심 상담의 교육 및 수련프로그램에 관한 국제적 동향」, 인간이해 32(2), pp.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