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합리·정서·행동상담의 주요개념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합리·정서·행동상담(REBT)의 개념과 특징
2.1. 주요 개념
2.1.1. 인간관
2.1.2. 자기언어
2.1.3. 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
2.1.4. 성격형성
2.2. 상담의 목표
2.3. 치료기법
2.3.1. 인지적 기법
2.3.2. 정서적 기법
2.3.3. 행동적 기법
3. 본인의 비합리적 신념 탐색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생활지도는 교육이 가지고 있는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기 위한 방법이다. 학생이 일상생활에서 해결을 해나가야 하는 교육, 직업, 사회, 신체, 도덕적인 문제들을 자신의 힘으로 해결하게 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활동을 말한다. 학생이 가지고 있는 흥미와 적성, 소질, 개성, 인격 등의 인성적인 특성과 잠재력을 발견하고 이해하여 이를 최대한으로 발전시켜 나가며, 현명한 선택 및 적응을 시킬 수 있기 위하여 조직적 봉사가 이뤄진다. 자기지도와 자아실현을 도와줄 수 있기 위한 활동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과의 상담을 진행하여서 학생들의 올바른 성장을 돕게 된다. 그렇다면 이제부터는 이론 중 한 가지인 합리, 정서, 행동상담의 주요개념 등과 내가 가진 비합리적 신념에 대해서 파악해보면서 생활지도와 상담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보고자 한다.
2. 합리·정서·행동상담(REBT)의 개념과 특징
2.1. 주요 개념
2.1.1. 인간관
인간은 합리적이며 올바르게 사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비합리적이고 왜곡된 사고를 할 수도 있다. 모든 인간은 생각하고, 감정을 나타내며,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인간은 외부적인 요인보다는 자기 자신에 의해 방해를 받는 경향이 있으며, 왜곡된 신념을 만들어 자신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인간은 자기 자신의 인지, 정서, 행동 과정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역량을 지니고 있으며, 성장과 자아실현의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 즉, 인간은 합리적이면서도 비합리적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 자신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2.1.2. 자기언어
자기언어는 일어나게 될 사건에 대하여서 스스로가 하는 일련의 평가사고를 의미한다. 합리정서행동치료는 모든 정서적인 문제의 주요한 원인이 그 상황에 관련하여서 스스로가 말하는 자기언어에 따라서 감정 및 행동이 달라지게 되기 때문에 자기언어가 변화가 되면 감정 및 행동도 변화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예를 들자면, 오랜만에 만나게 되었던 친구가 새로 구입을 한 내 옷을 보며 이 옷을 어디서 샀는지에 대해서 물어볼 때, 자기언어가 내 옷이 촌스럽다라고 비웃는 것이다라고 느껴지면 그때부터 감정은 불쾌해지게 되거나 화가 나고, 이때 보이는 행동은 친구가 하는 말에 대꾸를 하지 않고 무시하는 것으로써 나타나게 될 것이다. 반면에, 자기언어가 내 옷이 너무 괜찮아 보여서 친구도 사려고 하는구나라고 느껴졌다면 그때의 감정은 유쾌하다거나 우쭐해지며, 행동은 옷을 샀었던 장소를 친절하게 알려 주게 되는 것이 될 수가 있겠다. 결국에 우리가 가지고 있는 정서 및 ...
참고 자료
생활지도와 상담, 강의교안 참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창지사, 2012, 천덕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급기본서,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 2017, 나눔의집
SD 청소년상담사 수험연구소, 2021 청소년상담사 3급 한권으로 끝내기, 시대고시기획, 2021, p.475~480
박은희, 2007, REBT를 적용한 집단상담이 고등학교 학습부진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p.6~11
노성덕(2013), 「전문상담교사 길라잡이」, 학지사.
양명숙 외(2019),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오신택(2015),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에서 키에르케고어 철학의 수용」, 해석학연구 36, pp.159-183.
주은선(2011), 「인간중심 상담의 교육 및 수련프로그램에 관한 국제적 동향」, 인간이해 32(2), pp.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