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생활체육지도자 연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생활체육지도자의 의의
1.2.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의 실태
1.3. 생활체육지도자 현 문제 해결의 필요성
2. 본론
2.1. 생활체육지도자의 임무와 생활체육 활동의 필요성
2.2. 스포츠 선진국과 비교한 우리나라의 생활체육 활동
2.3. 생활체육지도자 연수를 통한 육성 및 현업배치
3. 결론
3.1. 우리나라 생활체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생활체육지도자의 의의
국가는 생활체육을 건강과 체력 증진을 위하여 행하는 자발적이고 일상적인 체육 활동으로 정의한다. 국가 및 지방자치 단체는 국민의 일상 생활 안에서의 체육 활동을 권장하고 육성하여야 할 책임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이벤트와 지역대회 등을 개최하며 로컬사회 지역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도모한다. 또한 국가는 공가 공인의 생활체육지도자를 육성하여 배출하고 각 지역에 배치함으로써 학교, 직장, 지역사회 또는 체육단체 등에서 지역주민들에게 체육을 지도하여 국민의 체력을 증진하는 도우미 역할로써 체육지도자를 학교체육교사, 생활체육지도자, 경기지도자 등으로 임명하고 사회에 배치하고 있다. 국민체육진흥법으로 지정되고 육성된 체육지도자는 앞서 말한 이유들로 지역주민에게 정확한 정보전달 및 체육 지도가 가능한 전문가이며 국민의 체육증진의 다양한 활동으로 맡은 임무에 최선을 다하여야 한다. ()
생활체육지도자는 지역주민들에게 체육을 지도함으로써 국민의 체력 증진을 돕는 전문가이다. 국가와 지자체는 생활체육지도자를 육성하고 배치하여 국민의 건강과 체력 향상을 도모한다. 생활체육지도자는 지역사회에서 체육 활동을 지도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국민의 체육증진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1.2.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의 실태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을 보유한 대다수의 자격 취득 목적은 자기계발로 나타나며, 취업을 위해서나 현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취득한다는 응답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대부분의 자격증이 취업을 위한 수단이라는 인식과는 달리 체육지도자 자격증은 자신의 능력 개발을 위해 취득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생활체육지도자 자격 취득이 점점 용이해짐에 따라 1987년 2급 783명이 양성된 것을 시작으로 2005년 12월 현재 1급 447명, 2급 5,341명, 3급 83,385명이 양성되었다. 이 중 대부분이 학생으로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을 최초의 자격증으로 취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국민의 체육을 지도할 수 있는 전문가들은 전체의 20%에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사유로 점차 생활체육지도자들의 자질과 능력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고 있으며, 현업 배치 시에도 능력보다는 인성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국민들로 하여금 생활체육지도자들의 능력과 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3. 생활체육지도자 현 문제 해결의 필요성
생활체육지도...
참고 자료
Henry Otis Kendall 외 4인(1999).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제 5판), 한국통합의학연구소 장훈재 감수, 한미의학, 453쪽,
Ropper, Allan H., and Ross D. Zafont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5
Chad Starkey 외 2인(2013). 『스포츠 손상 해부학적 평가』(개정 3판), 대한운동교육평가원, 영문출판사, 481쪽
주상화(2020). 『운동의 정석 상지, 코어, 하지』, 머스트무브, 374-403쪽
체중조절프로그램이 중년비만인의 체중감량과 식습관에 미치는 효과 (정은실,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근력운동을 병행한 유산소운동이 비만아동의 체지방량과 골격근량에 미치는 영향 (임종식,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여성비만관리센터의 체중감량프로그램이 식습관, 수면습관,스트레스지수 및 혈관나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 박희정,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