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원봉사자의 배치는 무엇보다 적재적소의 원칙에 의거하여 진행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에 대해 토론해 봅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원봉사 개념과 의미
1.1. 자원봉사의 정의 및 특성
1.2. 자원봉사자의 개념 및 역할
2. 자원봉사 관리
2.1. 자원봉사 모집 및 배치
2.2. 교육 및 훈련
2.3. 동기부여와 보상
2.4. 관리의 유의점
3. 자원봉사자의 역량 개발
3.1. 성과관리와 평가
3.2. 교육훈련 체계
4. 봉사학습의 개념과 특성
4.1. 봉사학습의 개념
4.2. 봉사학습의 구체적 운영과정
5. 자원봉사의 사회적 역할과 과제
5.1.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과제
5.2. 자원봉사의 사회적 가치 증진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원봉사 개념과 의미
1.1. 자원봉사의 정의 및 특성
원래 자원봉사라는 말의 라틴어 근원은 볼런타스(Voluntas)로, 이는 인간의 자유의지와 마음속 깊이 우러나는 의사를 뜻한다. 즉, 자원봉사는 의무감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행하는 활동이다. 자원봉사는 개인이 선택한 자원봉사활동기관을 통해 활동과 창조, 실험을 하며 새로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이다. 이는 최대의 자유와 민주적인 과정 속에서 독특한 역할을 하며, 공익에 대한 이익요소를 증진 및 촉진시키기 위한 자발적이고 사적인 노력에 의해 나타난다. 자원봉사자는 자원봉사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자유롭게 시간과 재능을 사용하는 사람이다.
자원봉사는 사회복지분야에서 자발적으로 활동하는 사람을 의미하지만, 최근에는 공공복지분야에서도 중요성이 대두되어 자신의 기능과 시간을 무보수로 제공하는 사람들을 포괄하게 되었다. 자원봉사는 사회문제의 예방과 해결, 국가의 공익사업 수행을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무보수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회의 공동선을 고양시키고 이타심을 구현하여 자기실현을 성취하려는 활동이다.
따라서 자원봉사는 가치이념과 민주적 방법에 의한 자주적이고 협동적인 실천노력이며, 개인과 집단,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사회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며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공사의 조직체를 통해 무보수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1.2. 자원봉사자의 개념 및 역할
자원봉사활동은 오랫동안 자발적인 형태보다 강압적인 형태로 인식되어 왔으며 비자발적인 행동이라는 오명을 받아왔다. 하지만 자원봉사는 기본적으로 자발적인 행위를 수반하며 내가 아닌 타인을 위해 시간과 노력을 들인다는 점에서 매우 고귀한 가치를 지닌 행동이다. 자원봉사의 개념은 개인이 선택한 자원봉사활동기관을 통해서 활동과 창조 그리고 실험하고 또한 새로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통해, 최대의 자유와 민주적인 과정 속에서 독특한 역할을 하고, 공익에 대한 이익요소를 증진 및 촉진시키기 위해서 자발적 그리고 사적인 노력에 의해서 나타나는 봉사활동이다.
자원봉사자는 자원봉사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사람으로, 그들의 시간과 재능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사람이다. 구체적으로 자원봉사자는 개인과 집단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예방 및 통제하거나 개선하는 일에 종사하는 공·사의 여러 조직체에 대해서 주어진 여러 가지 참여활동에 대해서 가치에 상응하는 보수가 없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사람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자원봉사자를 '사회복지분야에서 자발적으로 활동하는 사람으로서 최근 공공복지분야에서도 그 사업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그 사업을 돕기 위해 자신의 기능 및 시간을 무보수로 제공하는 사람들'로 정의하고 있다.
이처럼 자원봉사자는 자신이 선택한 자원봉사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활동하며, 개인과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공익적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자원봉사자들은 무보수로 자신의 시간과 재능을 제공하여 활동에 참여하며, 이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증진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자원봉사자는 자발성, 무보수성, 공익성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은 단순히 개인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와 사회 전체의 발전을 위해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고 있다.
2. 자원봉사 관리
2.1. 자원봉사 모집 및 배치
자원봉사 모집 및 배치는 자원봉사자를 모집하고 적절한 업무에 배치하는 것이다. 자원봉사자는 공공복지를 향해 사회봉사를 자발적으로 하는 사람들이다.
자원봉사 모집은 자원봉사 프로그램에 적합한 인력을 발굴하여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모집 전 단계에서...
참고 자료
프로그램 안내, 고양시 건강가정지원센터, 2019.06.21. 확인.
https://www.familynet.or.kr/fn_areacenter/program/tab1.do#program
자원봉사계의 현황과 문제점, VOLUNTEER21, 2003, pp.3~5.
배기효 외 4/자원봉사론/지식공동체/2020
이근홍/자원봉사론/지식공동체/2020
구창서. (2004).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평정규칙개정안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자치발전, 2004(1), 92-98.
안양호.(2009). 정부인력관리계획의 성공적 정착방안. 한국인사행정학회보, 8(1): 121-143
김성수. "공무원 성과급제도의 동기부여효과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02. 서울
유연정. "가족 친화적 근무 제도가 공무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서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656335&cid=42131&categoryId=4213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6045&cid=43667&categoryId=43667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23513&cid=46625&categoryId=46625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23513&cid=46625&categoryId=46625
http://www.joongbo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087246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EC%9D%98_%EA%B3%B5%EB%AC%B4%EC%9B%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