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통합연구방법의 필요성과 개념
통합연구방법은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장점을 결합하여 연구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는 방법이다. 기존의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는 서로 다른 패러다임과 강점, 약점을 가지고 있어 연구 문제에 따라 적합한 연구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통합연구방법은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제3의 연구방법론으로 주목받고 있다.
질적 연구는 현상학과 해석학, 자연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참여자의 관점에서 대상을 파악하는 것에 주력한다. 반면 양적 연구는 논리실증주의와 행동주의를 기반으로 변인 간 관계를 규명하고 객관적 실체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둔다. 따라서 두 연구방법은 서로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개별적으로 사용하기보다는 통합하여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통합연구방법은 연구문제, 자료수집, 분석절차 등을 혼합하여 활용함으로써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장점을 동시에 살리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연구 주제에 대한 보다 심층적이고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연구 내에서 다양한 관점을 적용함으로써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
요컨대 통합연구방법은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연구 문제를 보다 폭넓게 탐색할 수 있는 유용한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1.2.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특성 비교
양적 연구는 논리 실증주의와 행동주의 이론을 근간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반면, 질적 연구는 현상학과 해석학 그리고 자연주의 이론을 근간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양적 연구는 연구과정에서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결정하고 객관적 실체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지만, 질적 연구는 참여자의 관점에서 조사대상의 실상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또한 양적 연구에 있어 조사자는 비관여와 객관성을 준수하게 되지만, 질적 연구에 있어 조사자는 참여자이자 관찰자로서 조사에 대한 공감적 이해가 요구된다. 이와 같이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는 연구의 기반, 목적, 조사자의 역할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최근 사회복지조사 영역에서는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통합하여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통합연구를 통해 조사자는 사회문제를 보다 잘 탐구할 수 있고, 실체를 더 명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최적의 개입방법을 모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회복지조사에 있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통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2,3]
1.3. 통합연구의 유형과 접근
통합연구는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장점을 활용하는 접근법이다. 통합연구의 유형과 접근에는 다양한 모델이 있다.
대표적인 통합연구 모델로는 모스(Morse) 모형, 크레스웰과 클라크(Creswell & Clark) 모형, 타샤코리와 테들리(Tashakkori & Teddlie) 모형 등이 있다.
모스 모형은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방식이다. 먼저 양적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양적 연구의 결과를 보다 깊이 있게 탐색할 수 있다.
크레스웰과 클라크 모형은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동등한 비중으로 다루는 삼각화 설계를 제시한다. 또한 양적 연구 결과를 질적 연구로 설명하는 설명 설계, 질적 연구 결과를 양적 연구로 일반화하는 탐색 설계 등을 제안한다.
타샤코리와 테들리 모형은 병렬적, 순차적, 전환적, 다층적, 완전 통합 등 다양한 유형의 통합 설계를 제시한다. 연구자가 연구 목적과 특성에 따라 적절한 통합 모형을 선택할 수 있다.
이처럼 통합연구의 유형과 접근은 다양한데, 연구 목적과 대상, 자료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모형을 선택하고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합연구를 통해 연구 문제에 대한 보다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2. 통합연구방법의 주요 모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