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복지론) 도시재생사업을 로스만의 세 모형과 연계해 논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도시재생사업의 개념과 필요성
3.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실천모형
3.1. 지역사회개발 모형
3.2. 사회계획/정책 모형
3.3. 사회행동 모형
4. 도시재생사업과 로스만의 모형 연계
4.1. 원주 협동조합운동 사례
4.2. 부산 시민공원 조성 사례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도시재생사업은 기계적인 대량생산 위주 산업에서 IT와 하이테크 등을 이용한 신산업으로의 구조적 변화로 인해 신시가지 및 신도시 위주의 도시가 확장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는 기존의 도시를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고 창출하여 사회적, 경제적, 물리적으로 부흥시키는 사업이다. 기존 철거 위주의 도시개발 사업과는 다르게 물리적 환경의 개선뿐만 아니라 주민의 역량 강화를 통하여 도시 자체를 종합적으로 재생시키는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도시재생을 통해 쇠퇴한 구도심과 노후화된 주거지를 지역 주민 및 구성원들의 주도로 활성화하여 도시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로스만의 세 가지 모형은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다양한 모형 중 가장 기본이 되는 모형으로, 지역사회개발 모형, 사회계획/정책 모형, 사회행동 모형을 의미한다. 이에 본론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을 로스만의 세 모형과 연계해 논해보도록 하겠다.
2. 도시재생사업의 개념과 필요성
도시재생사업이란 신도시 위주의 도시 확장에 따라 발생하는 도심 공동화를 극복하고 침체된 도시 경제를 개선하기 위해 물리·환경적으로뿐만 아니라 산업·경제적, 사회·문화적으로 도시를 다시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즉, 도시지역의 경제·사회·문화·환경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종합적인 계획이다. 기존 건물과 기반시설을 재개발, 정비 또는 갱신하는 것은 물론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공간과 시설을 만드는 것을 포함한다. 지역 특성에 따라 도시 경제 기반형과 근린형 재생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어 추진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신도시의 개발로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지만 곳곳에서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도시개발로 주택난을 해소하거나 산업지역을 확보하였지만 기존의 도심은 구도심으로 쇠퇴하고 있다. 또한 도시외곽이 개발로 인해 교통과 물류비용이 증가하였으며, 도시주변의 녹지가 감소하는 등 자연 환경에 부담을 주고 있다. 사업성이 있는 수도권의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도시는 정비 사업에 대한 추진이 저조하고 지역주민의 재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쇠퇴한 도시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의 생활여건은 농어촌보다 열악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도시재생사업이 필요한데, 이는 수익성 위주의 철거 방식으로 거주주민 간 갈등이 발생하고 공동체의 붕괴로 인해 각종 사회문제가 발생한 기존 도시개발 사업과는 달리, 물리적 환경의 개선뿐만 아니라 주민의 역량 강화를 통...
참고 자료
유해숙, 《지역사회복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김주석, 《수원시 마을만들기 과제 3 –마을만들기공모사업-》, 수원시정연구원, 2016.
남원석 외, 《마을만들기, 성공의 조건》, 이슈&진단 제47호, pp.1-25, 2012.
이왕건 외, 《도시재생사업의 미래전망과 발전방안》,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기본17-24, 2017.
조혜진 외, 《지역사회복지관이 주도하는 마을만들기 사업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지 제66권 제3호, pp.159-183, 2014.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도시재생뉴딜》
(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63980)
오정수, 2016, 지역사회복지론, 학지사
조혜진 외, 2014, 지역사회복지관이 주도하는 마을만들기 사업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지 제66권 제3호
이왕건 외, 2017, 도시재생사업의 미래전망과 발전방안,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박경란, 2018, 강릉시 도시재생사업의 주민참여 실태 분석, 강릉원주대학교 경영정책과학대학원, 국내 석사 학위 논문.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강익구(2001), 지역사회개발모델로서의 지역개발회사 연구
전영호(2002), 도시 내 마을에 기반한 지역공동체 만들기 연구
김충식(2009),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고양사
지규옥(2015),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로서의 협동조합운동, 사회복지정책 학술지
방경숙(2015), 지역사회복지 관점에서 본 부산의 마을만들기 사례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