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아킬레스건 파열의 정의와 병태생리
아킬레스건은 발뒤꿈치에 위치해 있는 우리 몸에서 가장 튼튼하고 큰 건 중 하나이다. 아킬레스건은 두 개의 중요한 종아리 근육을 뒤꿈치 뼈에 부착시켜 주어 발목의 움직임과 보행에 큰 역할을 담당한다. 아킬레스건은 길이가 약 15cm이고, 장딴지근의 힘살이 끝나는 장딴지의 중간에서 납작한 널힘줄로 시작된다. 힘줄은 두껍게 시작하여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며, 내려오면서 나선형으로 90도 회전하여 근위부 외측에 있던 섬유가 건의 깊은 곳을 지나, 발꿈치뼈의 위에서는 절단면이 동그란 형태를 취하여 곧장 가운데로 내려와 종골융기의 뒷면에 닿는다.
1.2. 아킬레스건 파열의 원인
아킬레스건 파열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격렬한 운동을 하거나, 발을 헛짚거나 뛰어올랐다가 착지를 잘못했을 때 생기기 쉽다. 이는 아킬레스건에 부자연스러운 방향으로 신장력이 생겨 건에 금이 가는 원인이 된다. 또한 노화에 의한 아킬레스건의 혈액순환장애로 인한 파열이 일어나기도 한다. 아킬레스건은 충분한 준비 없는 격렬한 운동, 높은 곳에서 떨어지면서 발목이 펴진 상태로 발목이 강제로 위로 젖혀질 때, 무릎을 펴서 발 앞부분으로 체중을 지탱하면서 발을 지면에서 뗄 때, 발목이 갑작스럽게 신전되거나, 직접적인 손상을 받는 경우 파열의 위험이 증가한다. 이처럼 다양한 상황에서 아킬레스건이 파열될 수 있으므로, 건강관리와 충분한 준비운동 등을 통해 아킬레스건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1.3. 아킬레스건 파열의 증상
아킬레스건 파열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아킬레스건 파열은 아킬레스건이 끊어지는 소리와 발목이 꺾이는 느낌이 나타난다. 또한 심한 통증, 파열 부위의 급속한 멍, 파열 부위의 부자연스러운 오목한 모양, 파열 부위의 다리를 움직이거나 사용하기 어려움, 체중을 싣기 어려움, 보행은 가능하나 아킬레스건이 파열된 쪽 다리는 발끝으로 설 수 없다. 부분 파열된 경우에는 보행이 가능하며 약간의 통증과 부종이 있다. 이와 같은 증상들이 나타나는 것이 아킬레스건 파열의 특징이다.
1.4. 아킬레스건 파열의 진단
아킬레스건 손상은 톰슨 검사(Thompson test)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이 검사는 환자를 엎드려 눕히고 무릎을 90도로 굽힌 상태에서 종아리 근육을 압박하여 발목의 발바닥 굽힘(족저굴곡) 반응을 확인하는 것이다. 정상적인 경우에는 근육을 압박하면 발목이 발바닥 쪽으로 굽혀지지만, 아킬레스건이 파열된 경우에는 이러한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아킬레스건 파열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과족배굴곡 징후(Hyperdorsiflexion sign)를 살펴볼 수 있다. 이는 파열된 다리의 발목이 정상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족배굴곡된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아킬레스건 파열을 진단할 수 있는 다른 지표이다.
이와 함께 X-ray 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