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쌍화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방간호학과 한의 약차 체험
1.1. 서론
1.2. 약재의 효능
1.2.1. 감초
1.2.2. 계피
1.2.3. 당귀
1.2.4. 황기
1.2.5. 율무
1.2.6. 옥수수수염
1.2.7. 차전자
1.3. 약재의 활용
1.3.1. 감초탕
1.3.2. 당귀작약산
1.3.3. 방기황기탕
1.3.4. 수정과
1.3.5. 옥수수수염차
2. 음식의 대표적인 3가지 기능
2.1. 생태적 기능
2.2. 사회적 기능
2.3. 심리적 기능
3. 우리나라의 특별한 음식문화 중 '통과의례'
3.1. 혼례
4. 떡
4.1. 삶는 떡
4.2. 단자
5. 한과
5.1. 유밀과류
5.2. 강정류
5.3. 엿강정류
5.4. 숙실과류
6. 음청류
6.1. 화채
6.2. 원소병
7. 쌍화차
7.1. 한약재의 효능
8. 시절음식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방간호학과 한의 약차 체험
1.1. 서론
한방간호학 한의 약차 체험학습을 위하여 친구들과 함께 청량리 소재 전통한방다전 경동점에 방문하였다. 상기 다전은 종로 강남 한의원 식품사업부에서 낯설고 어려울 수 있는 한방에 대해 사람들의 접근장벽을 낮추고 친숙하게 접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사실 한방 찻집이라고 하면 보통 단순한 오미자차 정도를 연상하기 마련인데, 이번에 방문한 다전은 생각보다 정말 전통적인 한약재를 사용하고 있었다. 우리는 전통 쌍화차, 여신은 S, 오미자차를 마셔 보았다. 한약재라는 선입견과는 다르게 향이 은은하고 강하지 않아 마시기 좋았다.
1.2. 약재의 효능
1.2.1. 감초
감초는 감초(甘草)의 근(根)을 말린 것으로, 맛이 단맛이 난다. 감초는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며,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모든 혈맥의 소통을 잘 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한다. 감초는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진해·거담, 근육이완, 이뇨작용, 항염작용이 있으며 소화성궤양을 억제한다. 감초는 가루가 잘 묻어나고 부스러지는 것이 좋으며, 밀도가 높고 섬유질이 많은 것은 좋지 않다.
1.2.2. 계피
계피는 계수나무 가지의 껍질을 말린 것으로, 맛이 맵다.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흉복부의 냉증을 제거하며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를 촉진한다. 또한 사지마비 등에 사용된다. 위장의 경련성 통증을 억제하고 위장관의 운동을 촉진해 가스를 배출하고 흡수를 좋게 하기도 한다. 장내의 이상발효를 억제하는 방부효과도 있다. 약리작용으로 개선균 억제작용, 백색염주균병 억제작용, 건위작용, 타액 및 위액 분비촉진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매운맛이 나고 특유의 향이 강한 것이 좋은 계피의 특징이다.
1.2.3. 당귀
당귀는 신감채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맛이 달고 맵다. 뿌리가 굵고 겉껍질이 황갈색을 띠며 속껍질은 연한 황백색이 돌고 향이 강한 것이 좋다. 바짝 마른 것보다 약간 수분기가 있는 것이 좋다.
당귀는 피가 부족할 때 피를 생성해 주는 보혈 작용이 주를 이룬다. 중국당귀나 왜당귀의 뿌리로 만든 당귀는 보혈작용이 뛰어나다. 하지만 참당귀의 뿌리로 만든 당귀는 보혈작용보다는 피를 원활히 순환하게 해주는 활혈작용이 더 뛰어나며, 항암효과 및 혈압강하 작용이 강하다. 또한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키고, 적혈구 생성을 왕성하게 한다.
따라서 당귀는 피가 부족한 경우 피를 생성해주어 빈혈 등의 증상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피를 원활히 순환하게 해주어 혈압과 혈관계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준다. 또한 항암 및 혈압강하 작용이 있어 전반적인 건강 증진에 효과적인 한약재라고 할 수 있다.
1.2.4. 황기
황기는 단너삼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맛이 달다. 황기는 강장, 지한, 이뇨, 소종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 피로권태, 기혈허탈, 탈항, 자궁탈, 내장하수, 식은땀, 말초신경 장애 등에 처방된다. 황기는 씹으면 단맛이 강하고 노란빛이 약간 감도는 것이 좋으며, 잔뿌리가 많고 길며 향이 있는 것이 좋다. 하지만 묵은 황기는 화학물질 냄새가 난다.
황기의 주요 성분은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등이다. 황기의 사포닌 성분은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성분은 항산화 작용을 하여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은 황기의 주요 성분들은 피로회복, 혈압강하, 당뇨 개선 등 다양한 건강상의 효능을 나타낸다.
황기는 특히 중년이나 노년층에게 유익한데, 이뇨 효과와 함께 혈압 강하 작용이 있어 혈관 건강에 도움을 주며, 전립선 비대증 치료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황달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뛰어나 황달성 간염 치료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요약하면, 황기는 한약재로서 강장, 지한, 이뇨, 소종 등의 효능이 있어 다양한 질병 예방과 치료에 활용되며, 특히 중년 및 노년층의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약재라고 할 수 있다.
1.2.5. 율무
율무는 차 등으로 먹거나 이뇨·진통·진경·강장작용이 있으므로 부종·신경통·류머티즘·방광결석 등에 약재로 쓰인다. 생잎은 차 대용으로 쓰고 뿌리를 황달과 신경통에 쓴다. 줄기에 달린 잎은 사료로도 쓰인다. 율무는 차전자(質經), 당귀, 천궁, 계피 등과 함께 한약재로도 사용되며, 차수제로도 활용된다. 평소 쓰임이 제한적이었던 율무가 한약재와 차수제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이와 같이 율무는 한의학적으로 다양한 효능을 가진 약용 식물이자, 조선 시대부터 전통적으로 애용되어온 음식 재료이기도 하다.
1.2.6. 옥수수수염
옥수수수염은 옥수수의 꽃술 부분을 말린 것으로, 한방에서는 '옥촉수(玉蜀鬚)' 또는 '옥촉서예'라고 부르기도 한다. 옥수수는 한약재로 거의 쓰이지 않지만 옥수수수염은 말려서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옥수수수염은 특히 중년이나 노년에게 좋다. 옥수수수염은 이뇨 효과가 있어 부종이나 관절염, 전립선비대증 등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또한 혈압을 낮추는 작용과 함께 황달을 줄이는 데에도 좋다. 황달성 간염 치료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옥수수수염은 당뇨병 관리, 혈압 조절, 배뇨 증진 등의 효능으로 중년층과 노년층에게 유용한 한약재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전립선 건강 개선에 도움을 줌으로써 남성 노년층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1.2.7. 차전자
차전자는 질경이의 여문 씨를 말린 것으로 달고 짠 맛이 난다. 차전은 주로 기에 장애가 있어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나 다섯 종류의 임병에 좋다. 또한 눈을 밝게 하고 간의 풍열과 풍독이 위로 치밀어서 눈에 핏발이 서고 아프며 장예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한편, 잎과 뿌리는 주로 코피, 피오줌, 혈림에 쓴다. 이처럼 차전자는 다양한 증상들에 대한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오줌 배출을 도와주고 눈 건강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1.3. 약재의 활용
1.3.1. 감초탕
감초탕은 감기 등으로 목이 아플 때 혹은 심한 기침, 갑작스런 복통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한방차이다. 이밖에도 목의 혹사, 쉰 목소리, 치통, 급성 인두염, 편도선염, 위경련, 치핵, 탈항으로 인한 통증, 음부통, 배뇨통, 요폐, 약물중독, 식중독 등에도 효과가 있다. 감초는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 약효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진해·거담, 근육이완, 이뇨작용, 항염작용이 있으며 소화성궤양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감초탕은 감초 8.0g을 하루 분량으로 하여 달여 식전 또는 식간에 하루 2,3회 복용하는데, 염증에 가벼운 급성 통증이 있을 때 사용한다. 또한 인두통이나 구내염에는 복용뿐만 아니라 양치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장기적으로 감초만의 단독처방으로 복용 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1.3.2. 당귀작약산
당귀작약산은 허약한 체질이면서 마른 체구에 희고 물렁한...
참고 자료
임현정, 2008, 홍차, 녹차, 허브차, 한방차 54가지 무작정따라하기, 길벗
민족의학연구소, 2007, 88가지 한방약(구하기 쉬운 약재로 처방된), 북피아
두피디아, 두산대백과사전 http://www.doopedia.co.kr/
‘떡 만들기’, 문화재 지정… 떡의 역사와 의미, 한입에 쏙 넣으면 달콤 쫀∼득!
-2021.06.14., 어린이동아-
민주주의와 마음, 음식선택 ⑤ -2021.08.17., 법보신문-
김창민 외 4인, 『한약재감별도감: 외부형태(2015)』, 아카데미서적, p.408
김혜영 외 3인, 『한국음식 조리 및 스타일링』,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9, p.42-55
정재홍 외 8인,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는 고품격 한과와 음청류』, 형설출판사, 2003, p.60
한복진 외 2인,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음식 백가지 1』, 현암사, 2005, p.112-11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초퍼』,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 2019-12-12
두산, 『감초』, 두피디아, http://www.doopedia.co.kr/mo/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2&MAS_IDX=101013000833001, 2019-12-12
두산, 『대추』, 두피디아,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6240, 2019-12-12
두산, 『생강』, 두피디아, http://www.doopedia.co.kr/mo/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2&MAS_IDX=101013000846967, 2019-12-12
서혜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원소병』,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
0040724, 2019-12-12
정현미,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원소병』, http://folkency.nfm.go.kr/kr/topic/detail/4648, 2019-12-12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닷컴, 『원소병』,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309&index_id=cp03090541&content_id=cp03090541
0001&search_left_menu=2, 2019-12-12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외 3인, 우수 식재료 디펙토리, 『생강』, http://naver.me/F
ZOTwxDF, 2019-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