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의식 수준 사정
1.1. 의식의 정의
의식이란 뇌의 여러 기능이 질서 있게 통합되어 자신과 환경을 인식하고 반응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의식은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되는데, 정신기능의 통합을 의미하는 "의식의 내용(자각)"과 깨어있음을 의미하는 "각성(arousal)"이 그것이다. 의식의 내용은 대뇌반구 전체가 관여하여 조절하는 반면, 각성은 뇌간의 망상활성계(RAS) 기능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의식은 피질기능의 민감한 지표이며, 신경계 손상 시 쉽게 파괴되어 무의식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의식수준은 동공반응과 뇌간기능과 함께 신경계 질환의 예후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이다.""
1.2. 의식의 생리
의식의 생리는 크게 의식의 내용(자각)과 각성(깨어있음)으로 나뉜다. 의식의 내용은 정신기능의 통합을 의미하며, 대뇌반구 전체가 관여하여 조절한다. 반면 각성은 뇌간의 망상활성계(RAS) 기능에 의해 자신, 환경, 시간에 대해 지각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RAS는 감각인식을 조절하는 의식중추로서, 뇌간 부분이 자극받게 되면 대뇌만 활성화된다. 이처럼 의식은 피질기능의 민감한 지표이며, 신경계 손상 시 쉽게 파괴되어 무의식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의식수준은 동공반응과 뇌간기능과 함께 신경계 질환의 예후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이다.
1.3. 의식 수준의 단계
의식 수준의 단계는 크게 5단계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 번째는 명료(Alert) 단계로, 이는 정상적인 의식 상태이다. 이 단계에서는 시각, 청각, 기타 감각 자극에 즉각적이고 적절한 반응을 보이며, 자신과 환경, 시간에 대한 지남력이 있다"".
두 번째는 기면(Drowsy, somnolence, lethargy) 단계이다. 이는 졸음이 오는 상태로, 정상적인 목소리로 이름을 불러 깨웠을 때 졸린 상태이지만 질문이나 명령에 적절하게 반응하며 쉽게 깨어날 수 있다. 그러나 자극이 없으면 자고 있으며, 자극에 대한 반응이 느리고 불완전하고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다. 또한 주의가 산만하고 생각에 일관성이 없으며 자발적인 움직임이 줄어든 상태이다"".
세 번째는 혼미(Stupor) 단계로, 계속적이고 강한 자극에만 반응하며 간단한 질문에 한두 마디 단어로 대답할 수 있다. 통각 자극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자극을 피하려는 듯한 의도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네 번째는 반혼수(Semi-coma) 단계로, 표재성 반응 외에는 자발적인 근육 움직임이 거의 없다. 때때로 신음소리를 내거나 말을 중얼거리기도 하지만 의사소통은 불가능한 상태이다"".
마지막 단계는 혼수(Coma) 단계로, 완전 무의식 상태이다. 모든 자극에 반응이 없으며 어떠한 외부적 또는 내부적 자극에도 반응하지 않는다. 가벼운 혼수 상태에서는 반사 활동이 있을 뿐이며 의도적인 움직임은 없다. 그러나 깊은 혼수 상태에서는 어떠한 운동 반응도 나타나지 않는다"".
1.4. 의식 수준 사정 방법
의식 수준 사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변의 일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느냐에 따라 의식 수준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다. 수의적 운동, 반사, 자율신경기능을 관찰하고 통증이나 접촉 자극, 시각자극 등에 대한 반응을 통해 의식 수준을 판단한다.
의식 수준 사정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발적인 움직임이 있는지 관찰한다. 둘째, 자극 제공의 순서는 시각자극 → 청각자극 → 촉각자극의 순으로 한다. 셋째, 시각자극(손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