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주택도시보증공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세입자에 대한 전세금 지급 현황
2.1. 갭 투자자 중심의 전세보증 사고 발생
2.2. 역대 최대 수준의 전세보증금 지급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주택 분양 시장은 소비자와 공급자 간의 정보 비대칭이 극심한 대표적인 시장이다. 특히 선분양제로 인해 건설사가 겪게 되는 사업적 위험이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주택분양보증제도는 건물 준공 및 분양을 보증하거나 계약금과 중도금을 환급 보증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주택분양보증제도는 소비자를 정보 비대칭으로부터 보호하고 부동산 시장의 공급 안정성을 도모하는 데 기여한다. 최근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분양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보증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실제 주택도시보증공사가 투입하고 있는 보증 금액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주택 관련 보증 사고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주택도시보증공사가 제공하는 보증상품의 경쟁력과...
참고 자료
깡통빌라 속출... 전세금 떼여 대신 갚아준 보증금 1700억
김동욱 저, 한국일보, 2023
연합뉴스, 주택 분양보증 HUG 독점체계 깨지나…국토부 검토 착수, 2020.8.23.
연합뉴스, [마이더스] '국민주택' 84㎥ 10억 원? 고분양가 논란, 2019.7.6.
한국일보, 주택분양보증시장 개방 논란 재점화, 2016.8.5.
중앙일보, [조인스랜드] 부동산 불안 방증?…"주택 기업보증사고액 6년 중 최고치",, 2020.10.19.
강민석, 주택분양보증의 이해, KB금융지구 경영연구소, 2013
조흥연, 주택분양보증 : 부동산금융의 현황과 과제, KDI, 2012